• 제목/요약/키워드: 제세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8초

자동제세동기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배치 적정성 연구 (A Study of Optimal Location and Allocation to Improve Accessibility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 권필;이영민;유기윤;이원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63-271
    • /
    • 2016
  • 최근 인구 고령화와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률 증가로 인해 매년 급성 심정지 환자가 늘고 있다.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신속한 심폐소생술이 필수적이며, 이에 따라 국가에서는 심폐소생술 처치 시 활용 가능한 자동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의 보급을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설치한 AED는 주로 건물 내부에 비치되어 있어 건물 외부에서 발생한 급성 심정지 환자에 효율적인 대응을 할 수 없다. 실험지역의 급성 심정지 환자의 분포를 확인한 결과, 약 11%의 심정지 사건이 도로 및 주택가를 포함한 오픈 스페이스에서 발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급성 심정지 환자의 소생률을 높이기 위해 41개의 AED를 GIS 입지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추가적으로 배치하였다. 실험 결과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같은 수의 AED를 무작위로 배치한 것이 포함하는 노인층 유동인구 밀도와 본 실험을 통해 배치된 것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지형적 그리고 사회적인 특성으로 인해 발생한 소수의 이상치를 제외하고는, 본 실험 결과로 도출된 AED가 포함하는 노인층 유동인구 밀도가 약 5% 가량 더 높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PC 연동 단말기 기반의 관공서 제세공과금 수납관리 시스템 (PC Interlocked Terminal-based Public Offices Fees Payment Management System)

  • 신동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50-60
    • /
    • 2009
  • 최근 교통카드 이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이를 이용한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제안되고 있다. 특히 교통카드 한 장으로 버스, 택시, 지하철, 주차장 및 톨게이트 요금 결제가 가능하므로 소액의 상품 혹은 수수료를 경제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새로운 대금결제 방식으로 각광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PC 연동 단말기를 통해 민원인들이 각종 민원서류발급 수수료, 인지대 및 제세공과금을 다양한 디지털카드로 납부할 수 있는 새로운 수납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시스템은 단말기부, 미들웨어부, 관리 서버부의 3단계로 구성된다. 단말기부는 선불카드 지불/충전, 신용/체크/직불카드 처리 모듈로 구성되며, 단말기의 조작은 미들웨어부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미들웨어부에서는 미들웨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단말기부와 관리 서버부를 연결하고, 민원업무에 따른 각종 수수료 항목을 처리하며, 단말기를 모니터링하여 처리된 결제 결과를 바탕으로 각종 보고서와 통계자료를 생성한다. 관리 서버부는 민원부서의 사용자 및 수수료 항목과 관할 지역내 모든 거래 내역의 집계와 통계정보를 관리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부산 남구청 및 보건소에서 시범 사용중이며, 다양한 지불수단 제공 및 현금수납에 따른 업무 부담 감소로 제안한 시스템이 기존 업무 방식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함을 보여준다.

119구급대에 의해 소생한 병원 전 심장정지 환자 1례 (Out-of-Hospital Resuscitation of Cardiac Arrest by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 윤형완;이재민;정지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142-149
    • /
    • 2010
  • 심폐소생술이란 인공호흡과 순환보조를 통하여 조직으로의 산소 공급을 유지하여 임상적 사망에서 생물학적 사망으로 진행을 막고, 심장박동과 순환을 회복시켜 환자를 소생시켜주는 술기이다. 심폐소생술이 시행되더라도 모든 심장정지 환자가 소생되는 것은 아니며, 얼마나 신속하고 정확하게 심폐소생술이 시행되었느냐에 따라 환자의 생존률이 결정된다. 현장에서 심장정지가 목격되지 않은 환자는 병원이송 전 현장에서 2분간 5주기 심폐소생술을 수행하고 자동제세동기를 사용하도록 하였고, 목격된 환자에게는 즉시 자동제세동기를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으며 이후 전문적인 심장구조술이 필요하다. 병원 전 단계에서 119 구급대가 이송한 환자 중 자발순환회복(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 ROSC)되어 이송하는 경우와 전문심장구조술을 시행 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현장에서 심장정지가 목격되었으나 심폐소생술이 시행되지 않았고 구급대원이 도착한 후 심폐소생술 시행 및 전문심장구조술로 현장에서 자발순환회복되어 생존퇴원한 1례를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Factors influencing success and safety of AED retrieval in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s in Singapore

  • NG, Jonathan Shen You;HO, Reuben Jia Shun;YU, Jae Yong;NG, Yih Yng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97-111
    • /
    • 2022
  • 연구 목적: 병원 밖 심정지(OHCA)에서 자동제세동기(AED)의 사용은 환자의 생존율을 향상시킨다. 싱가포르는 절도를 막고자 공공 AED를 '브레이크 글래스' 기전의 잠금 박스로 보호하고 있는데 지역사회 대응자들은 AED를 회수하기 위해 유리를 깨면서 부상을 당하곤 했다. 최초로 시도한 본 연구는 성공적인 AED 회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히고 만연한 부상을 문서화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설문지를 작성, 배포하였다. 참가자는 지난 12개월 동안 OHCA에 대처한 자들이다. 비교 검정은 피셔-프리만-할턴 정확 검정 또는 피어슨 카이제곱 검정을 사용하여 5% 유의 수준에서 시행되었고, 로짓링크함수를 사용하여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88명의 참가자가 적격했다. 성공적인 AED의 회수는 직업, 연령, 성별 및 시간 영향을 받지 않았다. myResponder 앱의 활성화로 OHCA에 대응했던 참가자들은 성공적으로 AED를 회수할 가능성이 높았다. (AOR 11.111, 95% CI: 2.141-58.824) 결 론: 모바일 myResponder 앱을 활용할 경우 AED회수 성공률이 훨씬 높았다. AED의 성공적 회수는 시간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성별, 연령, 직업과 무관했다. 싱가포르에서 지역사회 대응자들은 부상 위험에도 불구하고 심정지에 대응할 적극적 자세가 되어 있다.

이어폰 및 헤드폰의 정자기장이 인공심장 박동기 및 이식형 제세동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atic Magnetic Fields of Earphones and Headphones on Pacemakers and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s)

  • 정재원;최수범;박지수;김덕원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1-36
    • /
    • 2015
  •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s of static magnetic fields of earphones and headphones on pacemakers and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s(ICDs). Five pacemakers and three ICDs were subjected to in-vitro test with three headphones which were an in-ear earphone, clip-on headphone, and closed-back headphone. Each implantable device was placed in close proximity(within 3 mm) to the ear-pad of each of the earphone and headphones for 3 min. As a result, no effects were observed on the pacemakers for the earphone and headphones during the test, but an effect was observed on one ICD for the clip-on and closed-back headphone during the test. When the ICD was placed in close proximity to the headphones, the ICD temporarily suspended functions of tachyarrhythmia detection and therapy. The effect was not observed in this study when the headphones were at least 2 cm from the ICD. Based on these findings, patients with ICDs should be advised to keep earphones and headphones at least 2 cm apart from their ICDs.

Merging Algorithm for Relaxed Min-Max Heaps Relaxed min-max 힙에 대한 병합 알고리즙

  • 민용식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4권1E호
    • /
    • pp.73-82
    • /
    • 1995
  • 본 논문은 relaxed min-max heap을 병합시키기 위하여 이용된 새로운 자료구조인 개선된 relaxed min-max-pair 힙으로서, 두개의 relaxed min-max 힙 즉, 크기가 n인 relaxed min-max nheap과 크기가 k인 relaxed min-max kheap으로 구성된 우선 순위 큐를 병합시키기 위한 순차적 알고리즘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방법은 [8]에 제시된 방법에서 relaxed min-max 힙을 병합시키기 위해서 이용된 blossomed tree와 lazying 방법을 제거하여도 병합이 되는 새로운 기법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에서 제세된 방법은 두개의 relaxed min-max 힙의 크기가 서로 다른 경우로서, 이때 크기 $k{\leq}{\lfloor}log(size(nheap)){\rfloor}$인 경우, 시간 복잡도가 O(log(log(n/k))*log(k)) 이고 공간복잡도가 O(n+k)임을 볼수가 있다.

  • PDF

일반인 및 의료종사자들의 자동제세동기를 이용한 제세동에서 전극부착 위치에 관한 연구: 마네킨을 이용한 연구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electrode pad placement by the general public and health-care providers : A manikin study)

  • 박시은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3-94
    • /
    • 2016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ssess defibrillator pad positioning by the general public and healthcare providers during basic life support (BLS) renewal education (RE). Methods: A total 130 subjects performed defibrillation using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equipped with electrode pad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and male resuscitation manikins, in order to assess electrode pad placement (EPP) before BLS RE. Subjects included 54 Healthcare providers (HP) and 76 members of the general public (GP). Results: The apex EPP was positioned in the risk area (RA), more than 5 cm distant from the area recommended, by 63.2% of the GP (n = 48). The apex EPP was positioned in the RA by 44.4% of the HP (n = 23). The distance from the apex (GP $5.27{\pm}2.21cm$, HP $4.18{\pm}1.71c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using Student's t-test. Conclusion: For both GP and HP, apex EPP was significantly in error. Thus, to prevent defibrillation failures, EPP education and practice for GP and HP in all BLS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improved, and incorrect Korea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guidelines and related literature should be revised and corrected.

보건계열 대학생의 자동제세동기에 대한 지식과 태도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in students majoring in health-related fields)

  • 정현숙;홍선우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7-33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knowledge and attitudes of students majoring in health-related fields towar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an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knowledge and attitudes in AED use among the stu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346 students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one-way ANOVA, post hoc $Scheff{\acute{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Win 20.0 program. Results: Overall knowledge of AED in health-related major students, except paramedics and physical therapy was relatively low while attitudes were at moderate level.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knowledge according to age, grade, maj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awareness, exposure to AED and CPR education; and differences in attitude according to major, health status, health awareness, CPR awareness, exposure to AED, and CPR education. Significant factors explained 63% of knowledge on AED (F= 43.96, p<.001) and 37% of attitudes on AED (F= 15.84, p<.001). Conclusion: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systemic education programs on AED should be implemented during undergraduate curriculum to improve survival rate of sudden cardiac arrest.

심폐소생술(CPR) 및 자동제세동기(AED)에 대한 웹사이트 내용성 분석 (Analysis of Contents of Website Information about CPR an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 강보라;양현모;이인수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9-4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the users, who wants to know the information about CPR and AED on the Internet, more accurate information which is analyzed and considered with the factors to improve the contents of them. The source of the instrument for this study is from the contents of twenty four websites which is able to join in and searched by the Web Search Engine with four keyword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A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frequency questions of more than 50% among 53 questions on whether to suggest were investigated as 22 questions from content analysis results of the websites, and it showed that the highest frequency, which were examined to that chest compressions and respiratory rate; 79.2%. The correctness of the contents of the all websites of the study is as low as 36.00 point full marks at 100 points.

교사 대상 심폐소생술 및 자동제세동기 교육의 효과 (The effect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education for school teachers)

  • 박정미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9-41
    • /
    • 201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an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education for school teachers by questionnaire survey including the knowledge, self-efficacy and skills of CPR and AED after basic life support (BLS) education. Methods : The subjects were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BLS education from 24 Nov. to 1 Dec. 2012. They completed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based on BLS skill checklist. Results :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knowledge(p <.001), self-efficacy (p <.001) and skills(p <.001) of CPR and AED after BLS education. The correlation existed conspicuously between knowledge versus self-efficacy(r =.409, r =.387), knowledge versus skill(r =.442, r =.084), and self-efficacy versus skills (r =-.148, r =.047) of CPR and AED before and after BLS education. Conclusion : After BLS education, most of the participants found the program was easy and useful to perform. Participants had the willingness to do CPR and AED and wanted to teach BLS to others. It is necessary to provide BLS education for school teachers by systematic appro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