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의적 조절

검색결과 458건 처리시간 0.025초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수준에 따른 과학의 탐구능력 및 과학의 정의적 영역 특징 분석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Related to Science Inquiry Skill and Affective Domain of Sci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 김순옥;서혜애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5권2호
    • /
    • pp.307-323
    • /
    • 201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수준을 측정하고,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학의 탐구능력, 과학의 정의적 영역의 특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수준이 어떻게 되는가? 둘째,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학의 탐구능력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가? 셋째,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학의 정의적 영역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이다. 연구방법은 첫째, 자기조절학습능력, 과학의 탐구능력, 과학의 정의적 영역의 이론적 배경을 조사하였다. 둘째, 자기조절학습능력, 과학의 탐구영역, 과학의 정의적 영역의 검사지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1) 자기조절학습능력 검사(정현철 등, 2004) (2) 과학의 탐구능력검사 중 문제발견능력검사(정현철 등, 2004) (3) 과학의 정의적 영역설문(서혜애 등, 2008).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소재의 7개 학교 3개 학년 재학생을 무작위로 선정하였으며, 총704명의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수준은 3.02였으며, 둘째, 과학의 탐구능력이 높은 학생들은 자기조절학습능력도 높게 (p<.05)나타났다. 셋째, 과학의 정의적 영역의 특징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자기 효능감을 나타냈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과학의 정의적 영역은 감소(p=.048)하였다. 특히 자기 효능감에서 가장 큰 유의한(p=.002) 차이를 보였다. 넷째,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학의 탐구능력, 과학의 정의적 영역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p=.000) 상관이 있었다. 이는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은 학생은 과학의 탐구능력이 높고, 과학의 정의적 영역도 높다고 볼 수 있다.

  • PDF

수학 학습에서의 메타-정의 유형 탐색 (Explorating Meta-Affect Types in Mathematical Learning)

  • 김선희;박정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3권3호
    • /
    • pp.469-484
    • /
    • 2011
  • 본 연구는 수학 학습의 정의적 영역에서 메타-정의의 개념을 구체화하고 명확히 하기 위해 메타-정의의 유형을 구분하고, 실제 사례를 보여주었다. 메타-정의는 정의의 모니터링, 감정의 평가, 감정의 조절, 정의의 활용 4가지로 구분되었고, 모니터링 후 평가, 조절, 활용이 시간적 순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감정을 평가하고 조절하는 데 수학과 수학 학습에 대한 신념이 중요한 잣대로 작용하였으며, 메타-정의는 정의를 조절하고 학습 전략을 선정하는 등 수학 학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 PDF

수학 학습 동기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분석 (Development of Program for Enhancing Learners' Mathematics Learning Motivation and Analysis of Its' Effects)

  • 김부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2호
    • /
    • pp.397-42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 고등학생의 수학 학습 동기 증진 프로그램을 학습자 특성, 수학 과제 특성, 자기조절학습이론을 고려하여 정의적 측면과 인지적 측면으로 개발하였다. 정의적 프로그램은 수학 학습에서 학생의 조절초점 확인, 수학적 자기조절효능감 향상, 학업스트레스 대처, 수학 불안 감소를 목적으로 개발되었고, 인지적 프로그램은 중 고등학교의 수학 과제난이도에 대한 선호 정도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수학 성취수준과 학업동기유형을 고려하여 프로그램 참가를 희망한 남녀 중 고등학생들 12명에게 10주 동안 적용하였다. 수학 교사의 관찰일지와 4차에 걸친 심층면담을 분석한 결과, 조절초점 확인 프로그램에서 학생의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이 변화하지는 않았으나, 수학적 자기조절효능감 향상 프로그램은 성취수준이나 성차와 관계없이 자율동기, 통제동기가 높았던 학생들에게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학업스트레스 대처와 수학 불안 감소 프로그램에서는 신체적 대처 활동이 학교급, 성차, 성취수준에 관계없이 수학 학습 동기 증진에 효과적이었고, 수학 시험 불안 해소 활동이 학업동기유형과 관계없이 효과적이었다. 인지적 프로그램에서는 오답노트와 문제만들기 활동이 결합된 '수학의 달인' 노트가 수학 학업 성취수준이 중 또는 하인 학생들에게서 수학 학습 동기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수학 학습 메타 정의의 개념 요소와 의미 탐색 (Exploring the Conceptual Elements and Meaning of Meta-affect in Mathematics Learning)

  • 손복은;고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5권4호
    • /
    • pp.359-376
    • /
    • 2021
  • 본 연구는 수학 학습에서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으로 발현되는 학습자의 감정이나 학습자가 보유한 수학에 대한 신념, 태도가 수학 학습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에 기반하여 학습자 감정이나 정의적 요소들을 학습자 자신의 학습 목표나 목적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요소를 강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메타 정의에 관련된 연구들을 연결망 분석을 통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메타 정의의 정의적 요소를 추출하고 이에 대한 개념을 분류, 그 의미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메타 정의의 정의적 요소로서 감정, 태도, 신념, 메타 정의의 개념 요소는 알아차리기(자각), 평가, 조절, 활용, 모니터링으로 도출할 수 있으며, 각 개념 요소에 대한 의미를 정의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수학교육 분야에서 의미 있게 다뤄지는 정의적 영역과 관련하여 정의적 요소의 규명이나 특성에 대한 고찰을 넘어, 수학 학습에서 감정적 영역을 조절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의 메타 정의의 개념 요소와 의미를 탐색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대학생의 자율성지지와 자기조절 동기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utonomy Support and Self-Determined Motivation on Learning Outcomes among College Students)

  • 이미옥;김세영;이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223-5231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자율성 지지, 자기조절 동기와 학습인식 즉 학습성과의 정도와 이들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학습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전남과 대전에 위치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31명을 대상으로 편의 추출하였다.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자율성 지지는 자기조절동기의 확인적 조절 동기, 내적 조절 동기, 학습인식의 학습결과와 학습과정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자기조절동기의 외적 조절 동기는 의무조절 동기와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의무 조절 동기는 확인적 조절동기와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확인적 조절 동기는 내적조절동기, 학습결과, 학습과정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내적 조절 동기는 학습결과, 학습 인식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학습결과는 학습인식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학습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율성지지, 의무적 조절 동기, 확인적 조절동기가 학습인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율성 지지와 자기결정동기가 대학생의 학업수행을 강화하는 주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과학 학습을 위한 개별적인 CAI에서 학생들의 인지적.정의적 특성과 개념 이해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 Cognitive .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from Individual CAl for Science Learning)

  • 노태희;김경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728-735
    • /
    • 2005
  • 이 연구는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특성과 컴퓨터 보조 수업을 한 후의 개념 이해도와 관계를 조사하였다. 장의존-장독립성, 학습 전략, 자기 조절 능력, 시각적 학습 선호도, 성취 목적, 능력에 대한 자아 효능감, 개념 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에게 컴퓨터 보조 수업을 실시한 후에 '분자의 운동'에 관한 개념 검사를 하였다. 학생들의 개념 이해도는 인지적 특성들 중에서 장의존-장독립성, 학습 전략, 자기 조절 능력, 정의적 특성 중에서는 시각적 학습 선호도, 성취 목적, 능력에 대한 자아 효능감과 CAl에 대한 태도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개념 이해에 관한 인지적 특성들의 중다 회귀 분석 결과, 장의존-장독립성은 가장 유의미한 예언 변인이었다. 자기 조절 능력과 심층적 학습 전략도 유의미한 예언 변인 이었다. 정의적 특성들에 관한 분석 결과에서는 시각적 학습 선호도, 능력에 대한 자아 효능감이 학생들의 개념 이해에 유의미한 예언 변인이었다.

KMS의 전략 적합성 요인이 정보기술 특성 및 이용자 특성과 비재무적 성과 간에 미치는 조절적 영향 (Moderating Roles of Strategy Suitability Factors between IT Factor and User Factors on Non-financial Performance)

  • 이선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489-498
    • /
    • 2017
  • 본 연구는 전략의 적합성이 정보기술 특성 및 이용자 특성과 비재무적 성과 간에 조절적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정보기술 특성과 이용자 특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성과변수로는 비재무적 성과로 설정하였으며, 기업의 경영 전략과 정보화 전략의 적합성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분석을 하였다. 정보기술 특성의 세부요인은 정보기술 성숙도와 IT/IS 기반구조로 정의하였고, 이용자 특성의 세부요인은 인지된 이익, 학습의 조직화, 사용자 전문성으로 정의하였다. 비재무적 성과는 조직원 만족, KMS 이용도로 정의하였다. 분석 결과 전략의 적합성 요인은 정보기술 특성으로 정의된 정보기술 성숙도와 IT/IS 기반구조, 이용자 특성으로 정의된 인지된 이익, 학습의 조직화, 사용자 전문성 등과 같은 변수와 비재무적성과 간에 조절적인 역할을 하는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독서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중학생의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ading in Mathematics Classroom on Mathematical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 나기윤;손홍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83-10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수학과 독서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학생들에게 정의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였다. 중학교 2학년 100명의 남학생을 대상으로 정의적 특성요소로 흥미, 자신감, 가치인식, 자기조절력, 수학 불안 5개 요인을 조사해보고, 상 중 하 수준별 학생들에게 수학과 독서수업이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또 사전 사후 검사 결과와 학생의 인터뷰를 통해 바람직한 독서를 활용한 수업 방안을 모색하였다.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전략,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적 자기효능감과 과학 핵심역량의 구조적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Attitude toward Science, Scientific Self-Efficacy, and Science Core Competency in Middle School Students)

  • 박기락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51-362
    • /
    • 2023
  • 이 연구는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전략과 같은 인지적 요인과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적 자기효능감과 같은 정의적 요인의 과학 핵심역량에 대한 직·간접 효과를 검증하여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역시 소재 S 중학교의 전학년 학생 438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변인 간의 인과 관계를 살펴보았다.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전략,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적 자기효능감은 과학 핵심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조절학습 전략은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적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전략은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과학 핵심역량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므로 중학생의 과학 핵심역량 함양을 위해서는 인지적 요인인 자기조절학습 전략과 정의적 요인인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적 자기효능감을 고려한 종합적 관점에서 학생들을 교육할 필요가 있다.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과학영재의 과학문제발견력과 정의적.인지적 특성에 미치는 중.장기적 효과 (Effects of University-Based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on the Science Problem-Finding Ability and Cognitive-Affective Factors of Science Gifted Students)

  • 안도희;한기순;김명숙
    • 영재교육연구
    • /
    • 제19권2호
    • /
    • pp.279-30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과학영재들의 정의적 인지적 특성과 과학문제발견력에 영향을 미치는가의 여부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영재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과학영재 고등학생(경험 집단) 69명과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의 교육 경험이 전혀 없는 과학고등학교 학생(비경험 집단) 91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과학 관련 검사도구는 과학문제발견력, 과학 불안도 및 과학태도이며, 학업관련 정의적 특성 검사도구는 자기효능감, 내적 동기 및 시험불안이며, 인지적 특성 검사도구는 인지전략 및 자기조절이다. 과학영재들의 과거와 현재의 과학 관련 특성과 정의적 인지적 특성의 집단별 차이를 검증한 결과, 자기조절 요인에서만 비경험 집단이 경험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영재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 유무에 따른 과거와 현재의 이들 특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 과학 불안도, 자기효능감 요인이 과거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되었으며, 시험불안 요인은 과거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되었다. 또한 비경험 집단의 경우, 내적 동기, 인지전략 및 자기조절 요인이 과거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되었다. 과학문제발견력은 두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의 과학문제발견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한 결과, 경험 집단의 경우, 과학 불안도의 '특성' 요인만이 과학문제발견력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비경험 집단의 경우, 과학 불안도의 '특성' 요인과 과학태도의 '의미' 요인이 과학문제발견력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