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부정책지원

Search Result 1,94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창업지원 정책 개선 방안 연구

  • Gil, Un-Gyu;Sim, Yong-Ho;Bae, Hong-Beom;Kim, Seo-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457-457
    • /
    • 2017
  • 창업활성화와 중소기업의 안정적인 성장을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조세 금융의 직접적인 방법과 지원 사업을 통한 간접적인 방법으로 효과적인 지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창업정책에 대한 견해는 여전히 팽팽하다. 지원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으나. 지원 방식과 지원사업의 실효성에 대해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정부 창업지원 사업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정부 창업지원 사업을 경험한 ICT 창업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으며, 이 중 128개를 대상으로 GAP 분석 및 ISA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실제 지원 사업을 체감한 기업의 의견을 반영하여 현실성 있는 보완책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 창업지원 사업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언하여, 정부 창업지원사업의 질적 수준을 개선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 PDF

The Impact of Korean SMEs' R&D Effort on Innovation - The Moderating Effects of Government Policy Supports - (국내중소기업의 R&D 노력이 혁신에 미치는 영향 - 정부정책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 Kang, Seok-Min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2 no.1
    • /
    • pp.1-18
    • /
    • 2013
  • Previous studies relate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R&D and innovation have focused on the role of R&D on innovation, and the empirical results have been not consistent. Although government policy supports have been considered a crucial factor to make innovation, it is true that there are little studies investigat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government policy suppor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D and innovation. The studies related with government policy supports mainly examined the direct effects of government policy supports on innovation. Using 2008 innovation activity table from STEPI,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R&D on innov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government policy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D and innovation. The data used in this study contains 532 Korean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and information was collected over 3 years(2006-2008). The empirical results reports that R&D positively influences innov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government policy on the relationship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R&D is required to firms for innovation and government policy supports are needed for connecting the R&D and innovation.

  • PDF

The Effect of Startups' Trust in Government R&D Policies on Innovation Performance (벤처기업의 정부 R&D정책에 대한 신뢰가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 Kim, Deokyong;Bae, Sung Joo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9 no.4
    • /
    • pp.95-124
    • /
    • 2021
  • Startups play an important role in economic growth and job creation in niche markets, thus governments regularly expand their research and development(R&D) budgets accordingly. As stratups are more dependent on governments to compensate for insufficient resources and capabilities than large and medium-sized companies, trust in government policies will be important.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impact of startups' trust in government R&D policies on innovation performance. There were three major results. The first result is that government R&D investments in startups increase innovation performance in the manufacturing and high-technology industries but did not affect other industries. The second result is that trust in government R&D policies increased innovation in high-and medium-high technology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The third result is that trust in government R&D policies affects innovation before, during, and after evaluation of support process. We analyzed the importance of trust to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R&D support to determine how to effectively provide it. The results show that governments need to differentiate the types of R&D support they provide according to the target firm's technology level and whether they are a manufacturing company and that appropriate R&D support mechanism should be developed for low-technology and non-manufacturing companies. Finally, governments should allocate resources and make fair and transparent decisions to help companies grow, not to better supervise them.

The Timeliness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Government-supported Information Policies. (정부지원 정보화정책 성과평가 시점)

  • Hong, Hyun-Gi;Kim, Lak-Sang;Oh, Sang-Yo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76-78
    • /
    • 2009
  • 정부는 중소기업의 정보화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지난 수년간 여러 종류의 정책자금을 지원하였다. 정부가 지원하는 정보화 지원 자금의 성격은 대부분 무상 지원으로 중소기업에게는 좋은 기회가 되어 왔다. 또한 정부는 지원하는 정책의 결과에 대한 성과도 관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정부가 그동안 지원한 정보화정책에 대한 평가를 어떠한 단계로 하는 것이 타당한지 실증적 연구를 하였다. 실증 연구는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에 활용한 요인 간의 상관관계 결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화지원 정책을 통한 성과평가 시점에 대한 결과는 조직 전략 분야의 평가가 Step3(장기적), 내부 운영 분야의 평가는 Step2(중기적), 지원과정의 평가는 Step1(단기적)의 평가 단계로 나타났다.

  • PDF

A Sequence Analysis on Contents of School Arts and Culture Education Policy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내용 계열성에 관한 연구)

  • Kim, Young-Soon;Jeon, Young-Eun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 /
    • v.6 no.4
    • /
    • pp.87-11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Korean Arts and Culture Education of School Policy Contents from the Kim Dae-jung government to Lee Myung-bak government are changed. The sequence will be examined by analyzing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of School of Kim Dae-jung government to Lee Myung-bak government. Above all,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of School Business and Policy Contents will be mainly studied. First of all, this study will be deal with two forms that present sequence analyze methode of each government Arts and Culture Education of School Policies. The criterion of the analysis of the sequence are repetition, difference, emphasis, development, and expansion. This study is analysed on the each government policy contents of the books published b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MCST), Korea Arts and Culture Education Service,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particularly the Culture Policy white paper from 2001 to 2009, 2006 Arts and Culture Education Policy white paper.

성공적인 사내 분사창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부 지원 프로그램 케이스 스터디

  • Meyer, Marc H.;Lee, Chae-Won;Kim, Ga-Ye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2.04a
    • /
    • pp.17-24
    • /
    • 2022
  • 국내 창업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내벤처 기업의 생존률 및 성과가 일반 창업기업 대비 더 높게 나타난다는 연구결과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우리 정부는 2017년부터 사내벤처 및 분사창업기업 육성을 위한 지원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정부의 개입이 분사창업기업의 창업과 성장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19년 1차년도 사내벤처 육성프로그램에 참여한 7개의 기업 중 11개의 분사기업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주된 영역은 (1)분사 칭업자의 특성에 따른 기업가적 의도 및 (2) 모기업의 지원정책, (3) 정부의 정책 개입에 따른 분사창업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3개월의 이노베이션 부트캠프 과정 이후 2022년까지 해당기업의 CEO 인터뷰 및 기사를 통해 추적한 결과, 사내벤처팀 모두 모기업의 지원정책과 본인의 업무를 기반으로 창업을 시작하였으며, 모기업 및 유통파트너를 첫 소비자로 하는 경우가 다수를 차지하였다. 모기업은 재정직 지원 제공하는 한편, 정부에서 요구한 '실패시 재입사 가능'의 조항을 준수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정부의 정책개입은 중소기업의 사내벤처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정부의 사내혁신을 통한 혁신창업 활성화에 이론적, 실무적,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he Satisfaction Analysis on Governmental Support Policy for SMB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정책의 만족도 분석)

  • Kim, D.J.;Sim, E.M.;Kang, Y.S.;Kang, Y.J.;Jo, J.K.;Sim, H.W.;You, J.H.;Suh, Yong-Seong;Oh, Sang-Y.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a
    • /
    • pp.265-268
    • /
    • 2012
  • 중소기업의 정부지원 정책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여 정부지원 정책을 수립할 때 참조할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정부지원 정책으로 자금지원, 기술개발지원, 인력양성지원, 판로 지원 등 4개 분야로 구분하여 각각 만족도롤 분석하였고, 사업성과, 기술개발 성과, 정부 정책의 성과를 분석하여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The Analysis of Management Performance and Governmental Support Policy for SMB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정책과 기업성과 분석)

  • Oh, Sang-Yo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126-128
    • /
    • 2009
  • 한국정부의 중소기업 정책을 분석하고 기업의 성과 분석을 통해 지원 정책의 유효성을 연구하였다. 중소기업의 지원 정책 과제를 창의와 혁신주도의 역동적인 중소기업군 육성, 기술경영혁신 활동 및 협력활동 강화, 자금 인력 판로 등 성장기반 구축 등 3가지로 분류한 후 기업의 성과(사업성과, 기술성과, 정책만족)와 비교하여 정책의 영향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정부가 추진하는 중소기업 정책에 대한 기업의 성과의 특징은 자금 지원 분야였다. 전체 24개 측정 변수에서 연구 결과 중 가장 유의미한 변수로 선정된 5개 변수는 1)벤처,이노비즈,경영혁신형기업 육성, 2)지식기반서비스 육성자금 지원, 3)기술 연구개발 지원, 4)경영안정자금 지원, 5)공공부문의 중소기업 판로 지원이었다.

  • PDF

A Study on the Influence of Government Support on Corporate Ability and Opportunist Behavior: Focusing on Socially Disadvantaged Business (정부지원이 기업역량과 기회주의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적약자기업을 중심으로)

  • An, Yuk-Bong;Kim, Young-Soo;Kim, Sang-Y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10
    • /
    • pp.378-387
    • /
    • 2021
  •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effect of government support on the capability of socially disadvantaged enterprises (SDBs) and to explain the opportunistic behavior of SDBs to acquire more external resources such as government support. By dividing government support into policies and procedures, the difference in influence on corporate ability is analyzed by clarifying government support, and the impact of corporate capability on opportunistic behavior is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SEM) to provide government supp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olicy direction, the necessity of procedural development of government support, and the preceding factors to avoid opportunistic behavior. As a result of analyzing 261 questionnaires targeting SDB executives and employees,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support policy and corporate ability was rejected. It was found that the government support procedure had a positive (+) effect on corporate ability, and that corporate ability had a negative (-) effect on opportunistic behavior. The implication is that, among the two components of government support, only the government support procedur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ere should be publicity and in-depth consideration of government support policies.

창업자역량과 정부의 창업지원정책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멘토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Kim, Yeong-Tae;Heo, Cheol-M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11a
    • /
    • pp.55-59
    • /
    • 2020
  • 정부는 고용 없는 성장이 이어지는 현재의 경제구조에서 국가 경제의 활력을 위한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기업 활동에 새로운 혁신을 도입하여 국가 경제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으로 창업을 활성화하는 정책개발과 지원에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많은 국가들이 창업을 촉진하여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정부 차원에서 창업 지원정책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창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창업을 기회로 인식하거나 지지하는 문화가 성숙하는 개인의 창업에 대한 인식 개선과 더불어 창업의지 함양 등이 필요하다. 이들 요인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개인적 특성, 심리적 특성, 기업가정신, 창업 교육, 멘토링, 창업지원 프로그램 등의 요인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이들 개별적인 요인들과 창업 의지와의 관계를 잘 확인하기 위해서 자기효능감, 위험감수성, 실패부담감, 환경적 요인 등을 확인하는 연구가 다수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창업자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창업지원정책과 창업가 역량을 중심으로 실증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또한 창업지원정책과 창업가 역량과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멘토링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