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 활용 능력

Search Result 2,22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n Attitude and Related Skills of Information Literacy among High School Students (자기조절학습 요소가 고등학생의 정보문해에 대한 태도와 정보문해능력에 미치는 영향)

  • Lee, Seung-K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0 no.1
    • /
    • pp.161-187
    • /
    • 2016
  • This study determined 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on the attitude and related skills of information literacy in school library project learning.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 was administered in order to investigate fundamental reasons for such effects. The results are cognitive regulation ability, motivational regulation ability, behavioral regulation ability prov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attitude and related skills of information literacy. In-depth interview analysis yielded the following components: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 in information environment, time pressure, exposure to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motivation, relationship with school teachers, delayed gratification, and prior knowledge.

Design of a PREP-based Mobile System for Improving Reading Skills of Learning Disabled Children (학습장애아의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PREP 기반의 모바일 시스템 설계)

  • Lee, Deuk-Ye;Jun, Woo-Chu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101-107
    • /
    • 2010
  • 컴퓨터와 통신 기술이 발달한 정보화 사회의 현실에서 웹 기반의 프로그램 및 모바일은 중요한 매체로서 자리잡아가고 있다. 읽기는 정보 획득에서 가장 중요한 학습능력이나 학습장애아의 대부분이 읽기능력에서 문제를 가지고 있다. 오늘날 컴퓨터의 발달은 아동의 언어교육 특히 읽기 교육을 위해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 자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모바일 활용 학습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학습장애아들의 읽기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PREP 기반의 모바일 시스템을 설계하는 데 있다. 본 시스템을 통해 첫째, 학습장애아들의 읽기 능력 프로그램이 특수교사, 일반교사, 학생과 상호협력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장애아의 읽기 능력에 대한 진전도를 점검하고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둘째, 학습자의 개별적 수준에 따라 수준별 학습을 제공하여 다양한 학생의 개별적 수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설계함으로써 학습장애아동의 읽기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셋째, 모바일 기기를 통해 공간적, 시간적 제약을 벗어남으로써 기존의 PREP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보다 효과적으로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Analysis of the Vulnerable Class on Digital Divide (디지털 정보격차에 대한 취약계층의 계층별 분석)

  • Sun Hee Kwon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 /
    • v.23 no.4
    • /
    • pp.1-19
    • /
    • 2022
  • As the untact culture spreads, the digital divide, which is a problem of access to digital information for the vulnerable, can appear as information inequality in various fields, including the social and cultural field. This study identified the digital divide level for the vulnerable population and analyzed the effects of information accessibility,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characteristics on the information level. As a result, the higher the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the smaller the digital divide and the greater the digital utilization, so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devices and increase the ability to utilize them. In addition, the higher the age, the more women than men, and the lower the income level, the greater the digital divide, so it is necessary to increase digital capabilities through detailed class-specific programs for the vulnerable.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digital divide and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daily life satisfaction of the vulnerable. The expansion of competency-building education programs to enhance information utilization capabilities by changing the paradigm to a digital inclusion policy should be continuously operated.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omepage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홈페이지 설계 및 구축)

  • Jung, Kwang-Soo;Hong, Ki-Cheo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640-649
    • /
    • 2004
  • 최근 학교 현장에서는 전통적인 교수 학습 방법을 탈피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교수 학습 방법은 거스를 수 없는 정보화 사회의 새로운 교수 학습 모형으로 보편화되어 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실 여건을 개선하고 교육과정이 요구하는 목표 달성을 위하여 학생들의 인터넷 사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커뮤니티 활동을 미니홈페이지라는 공간을 통해 교사와 학생 사이에 학습과 대화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ICT 활용 교육 커뮤니티를 구축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학습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시간과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으며 학생 자신이 주도적으로 학습 과제를 해결하는 학습과정으로 교수 학습 방법의 개선을 통하여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 신장되도록 ICT 활용 교육을 활성화하여 ICT 활용 교육이 우리 학교 현장에 튼튼히 뿌리를 내리는 데에 기여하고자 HTML학습을 위한 홈페이지를 블로그툴을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 PDF

A Comparison Study of Code Generation Capability of Software Design Tools (소프트웨어 설계 툴의 코드자동생성능력 비교 연구)

  • Jo, Soo-Ran;Ka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c
    • /
    • pp.325-330
    • /
    • 2006
  • 소프트웨어 설계 툴은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하여 실무에 도입되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소프트웨어 설계 툴이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어서 이를 잘 활용하면 개발시간을 단축하고 및 개발생산성을 향상 크게 향상 시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용자들은 설계 툴을 단순한 모델링 툴로서만 이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들이 소프트웨어 설계 툴의 코드생성 능력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몇 개의 선정된 설계 툴의 코드자동생성능력의 비교를 통해 설계 툴의 코드 생성능력을 비교 일 분석하였다. 자동 생성된 코드는 Java 소스코드이며, 언어지원능력, 난이도, 생성된 소스 코드의 레벨을 비교기준으로 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

Design of Teaching-Learning Model for Programming Language Education using Advance Programming Assignment (사전 과제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언어 교수 학습 모델 설계)

  • Kim, Kyong-Ah;Ahn, You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1a
    • /
    • pp.327-328
    • /
    • 2016
  • 프로그래밍 교육은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지식 교육부분과 문제해결능력과 연관된 프로그래밍 전략을 교육하는 부분이 함께 필요하다. 프로그램 작성 기술을 교육하는 과정은 단순한 지식 습득과정이 아니므로 수업과정에서 학습자 스스로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유도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특성의 프로그래밍 수업의 대표적인 수업방식은 실습방식으로, 실제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서로 다른 수준을 고려하면서 실습수업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에는 수업시간에 대한 제약이 많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사전 프로그래밍 과제를 활용하여 주어진 학점과 시간 안에서 실습 중심의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교수 학습 모델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한된 실습수업 시간으로 인해 학습자 스스로가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수업을 실시하는데 발생하는 어려움을 해결하여, 학습자가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고 좋은 프로그램 작성 기준에 적합한 프로그램 개발 능력을 배양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A Study of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Using Topic Modeling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정보활용교육 연구주제 분석 및 교육내용 제안)

  • Jihye, Yun;Yoo Kyung, J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9 no.4
    • /
    • pp.1-21
    • /
    • 2022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search topics and suggest an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by analyzing research articles on information literacy. For this purpose, we applied the topic modeling technique to 97 scientific articles and identified the core contents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such as media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and the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e suggested an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by considering the Big 6 model, information literacy standards of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y, and Association of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s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sidered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and 'information ethics' to suggest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A Study on Teaching-Learning about The Information Representation Area using Unplugged Learning Method in Elementary School Computer Education (초등학교 컴퓨터교육에서 언플러그드 학습 방법을 활용한 정보표현 영역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 Park, Yun-Seong;Han, Byoung-R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3 no.4
    • /
    • pp.479-487
    • /
    • 2009
  • In the existing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computer Education emphasizes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and knowledge of informatics. However, current computer education focus on using application program. In order to raise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and logical thinking ability, it is necessary to learning about computer science education. Thereupon, this study applied unplugged learning method to the elementary student. To apply the play-based unplugged learning method to the area of information representation. As a result, unplugged learning method produce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an the lecture model. Also it was more positive in the affective area than the lecture model.

  • PDF

유비쿼터스 환경하에서 지식정보자원의 활용방안 분석;부산지역 시민들을 대상으로

  • Jeong, Chung-Sik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429-434
    • /
    • 2007
  • 이 연구는 공공부문이 구축/관리중인 지식정보자원의 시민활용 실태를 점검하고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지식정보자원의 시민활용성 제고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의 시민 200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지식정보자원에 대한 인지도/활용도/활용장애요인과 유비쿼터스 기술에 대한 인지도/활용도/유용성을 조사하였고, 향후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공공행정, 교육학술, 사회문화/복지, 생활경제 등 4 대부문 16 개분야 32 개의 지식정보자원에 대한 시민활용 의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식정보자원에 대한 인지도와 활용도는 보통보다 낮은 수준에 있으며, 그 이유로는 개인정보유출에 대한 불안, 지식정보자원 소재에 대한 정보부족, 지식정보자원 활용 비용의 부담 및 활용의 불편 등으로 나타났다. 향후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지식정보자원 활용의향에 대해서는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는 교통/기상정보, U-Care 및 U-Health 정보, 금융, 공연예술, 관광여가 등의 정보에 대해서는 높은 의향을 보이나, 실생활과 직접 관련이 적고 전문적인 능력이나 관심이 요구되는 행정정보공개, 정책참여, U-학술연구 등에 대해서는 낮은 의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Development and Performance Measurements of Consumer Health Information(CHI)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Health Literacy among Public Library Users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소비자건강정보(CHI)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성과측정연구)

  • Noh, Yo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3 no.4
    • /
    • pp.391-414
    • /
    • 2012
  • Despite the growth in public concern about health information, the ratio of users who can search for accurate and reliable health information sources has been found to be quite low. Public libraries, as the best contact point to general users, must provide training programs for improving health literacy so that users will have the ability to search and analyze health information, judg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resources, and make informed health-related decisions. This study developed a health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program suitable for Korean public library users.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was measured after administering the program, and necessary improvement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e education program had the following effects: improved public library users' familiarity with CHI-related terms, improved users' ability to find CHI-related information resources on the Internet, and significantly improved knowledge about health-related websites and information sources. In addition, users expressed interest in seminars on a variety of health information sources in the public library and asked that CHI-related education be included in the library's regular programming. However, this research represented the first time CHI-related education for public library users was performed in Korea, and therefore many limitations were present in the education instructor, the diversity of subjects, and the methodology. Development of more advanced CHI-related education programs for users is still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