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보활용능력 교육

검색결과 988건 처리시간 0.022초

정보통신기술교육의 수준별 교육과정 적용 방안 연구 (The study on Method of Operating the different Levels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

  • 박시영;문외식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6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63-68
    • /
    • 2006
  • 초등학교 정보통신기술교육은 정보 사회를 살아가는 학생들에게 학습과 일상 생활에서 필요한 최소한의 컴퓨터 활용 능력을 길러 중학교에서 보다 깊이 있게 다루어질 학습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초 기능을 다지는데 목표가 있다. 그런데 정보통신기술교육을 할 때,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학생들의 개인별 ICT 활용능력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나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의 전통적인 일제식 수업으로는 교수-학습을 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으므로 초등학생의 ICT 활용 능력과 개인차를 고려한 정보통신기술교육의 수준별 교육과정 모델을 개발하고, 개발된 교육과정을 수준별 수업모형에 적용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 PDF

길포드의 지능구조모형에 의한 정보활용능력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성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Information Literacy Test by Guilford's Structure of Intellect Model)

  • 이병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81-200
    • /
    • 2013
  • 정보활용교육을 효과적으로 전개하기 위해서는 피교육자의 능력을 진단, 측정하고 교육목표의 도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검사도구가 필수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 중등 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을 종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정보활용능력 측정을 위한 웹기반의 표준화된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검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검사도구의 개발을 위해서 우선 정보활용능력의 구성요인을 추출하고, 길포드의 지능구조모형과 메이커의 학습능력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정보활용능력 검사도구의 프레임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검사도구는 웹 기반의 선다형 3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794명의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검사를 시행하여 문항의 난이도, 신뢰도, 변별력 지수, 타당도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을 진단하고, 평가하기 위한 표준 점수를 제시하였다.

공공도서관의 초등학생 대상 정보활용교육 실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ormation Literacy of Public Librar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승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63-83
    • /
    • 2006
  • 공공도서관에서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정보활용교육이 실시되고 있는 현황에 대해 분석하고 공공도서관의 특성을 고려한 정보활용교육의 개선방안을 모색했다. 공공도서관의 교육적인 기능이 강화되면서 정보활용교육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특성을 고려한 정보활용교육 운영의 개선방안을 시설과 자료, 사서, 학생.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제시하고. 정보활용교육 내용의 개선방안은 교육준비, 교육방법, 교육진행으로 나누어 제시했다.

컴퓨터 원리 교육을 통한 초등 창의성 교재 개발 방안 (Method of Teaching Material to Develop Computer Creativity by Accessing to the Computer Principle in Elementary School)

  • 정은영;김종진;김종훈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81-288
    • /
    • 2004
  • 오늘날 IT의 급속한 진보는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단순한 자원이나 노동력보다는 첨단과학기술을 이용하여 얼마나 의미 있는 정보를 찾아내고 활용하는가에 따라 개인의 경쟁력이 좌우된다. 즉, 개개인의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지식, 정보의 생산과 활용이 앞으로의 국가경쟁력을 좌우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교육계에서도 창의적인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인간상을 추구하고 있다. 전국의 초 중등학교가 정보인프라 구축으로 컴퓨터를 활용하는 교육이 가능하게 되었다. 비로소 미래사회를 대비하여 정보우수인력을 길러낼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된 것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초등 컴퓨터 교재는 소프트웨어의 활용법을 소개하는 데 그치고 있다. 컴퓨터 교육이 활용교육으로 치우치다 보니 창의력 제한,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부족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컴퓨터 활용법에만 두었던 기존의 교육방법을 탈피하여 체계적이고 쉬운 초등 컴퓨터 창의성 교재 개발 연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특히 컴퓨터 구조, 운영체제, 네트워크 등의 동작 원리를 기반으로 한다.

  • PDF

교육대학교의 컴퓨터교육과정 편제에 대한 개선 방안 (Improvement of a Composition of the Computer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 정영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57-166
    • /
    • 2013
  • 교육대학교의 컴퓨터교육과정에 대한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전국의 10개 교육대학교의 컴퓨터교육과정을 교양과정, 전공과정, 심화과정 등으로 구분하여 교육과정 편제 및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전주교육대학교 1학년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정보활용능력을 평가하고, 컴퓨터교육에 대한 인식과 개선 방안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컴퓨터교육과정에 대한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우선, 초등교원양성이라는 교육대학교의 공통된 목적 달성을 위해 표준화된 컴퓨터교육과정을 마련하고, 체계적인 초등학교 컴퓨터교육을 위해서 컴퓨터교육에 대한 전공과정을 늘려야 하며, 예비교원의 정보활용능력을 조사하고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다양한 선택과목을 제공해야 한다.

  • PDF

개인 능력 정보를 이용한 동적 문제 출제 시스템 (A System to Generate Dynamic Test Using the Information of Perconal Ability)

  • 박기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2)
    • /
    • pp.589-591
    • /
    • 2000
  • 현재 인터넷과 컴퓨터를 활용한 web 기반의 원격교육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교육 효과적인 면에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손쉽게 교육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까지의 원격교육의 평가방법은 정적이어서 더 나은 교육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기에 문제를 동적으로 구성하여 출제하여 주는 시스템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 시스템도 학습자의 능력에 따른 학습의 평가가 배제되어 있기 때문에 학습자의 수학 능력을 정확히 평가할 수가 없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의 능력정보를 이용하여 학습자가 더 효과적으로 원격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개선된 동적 문제 출제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디지털교과서 활용 시 정보 활용 능력 수준이 학생의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level of ICT Ability on Social Competency of Student in Digital Textbooks)

  • 안성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65-574
    • /
    • 2018
  • 최근 3년간의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분석 연구를 종합해 본 결과에 따르면 학생의 정보 활용 능력과 비판적 사고력은 디지털교과서 활용의 주요 효과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정보 활용 능력은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교과서 활용에 있어 정보 활용능력이 학생의 사회적 역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먼저 이를 위해서 상, 중, 하로 학생의 정보 활용 능력 수준을 구분하고 각 수준별로 사회적 역량(의사소통 능력, 협업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의 정보 활용 능력은 문사회적 역량(의사소통 능력, 협업 능력)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사회적 역량(의사소통 능력, 협업 능력)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보 활용 능력 수준이 전체 점수에서는 '하'의 그룹이 사회적 역량에 가장 큰 상관관계와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향상도 점수에서는 '상'의 그룹이 가장 큰 상관관계와 영향력(의사소통 능력 제외)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위해서는 다양한 방식의 정보 활용 교육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정보활용능력 교수효과 평가 및 교과설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Information Literacy Program and the Development Ofits Design Principle)

  • 김성원
    • 정보관리연구
    • /
    • 제41권4호
    • /
    • pp.23-40
    • /
    • 2010
  • 급변하는 정보사회를 살고 있는 개인들의 독립적인 평생학습(lifelong learning)의 필요성 대두에 따라 평생학습을 가능케 하는 주요한 자질로서 정보활용능력(information literacy)의 중요성이 널리 인식되고 있다. 몇몇 국가에서는 국가적 차원의 정보활용능력 기준을 제정하고 교과과정에 정보활용능력의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정보활용능력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정규 교과과정의 개설도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고에서는 정보활용능력 관련 교과 수강생들의 자기효능감(self-efficiency) 평가결과를 기반으로 관련 교과의 교수효과를 확인하고, 교과설계 시 반영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로 교과과정이 수강생들의 정보활용능력 증진에 도움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자기효능감 평가를 기반으로 교과과정 설계 시 반영할 수 있는 시사점들을 제시하였다.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정보활용교육 연구주제 분석 및 교육내용 제안 (A Study of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Using Topic Modeling)

  • 윤지혜;정유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1-21
    • /
    • 2022
  • 본 연구는 정보활용교육 분야의 연구주제들을 파악하여 정보활용교육에 제안할 수 있는 요소들이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우선, 정보활용교육과 관련된 문헌정보학 분야의 논문 97편을 대상으로 토픽모델링을 적용하여 '미디어 리터러시', '정보활용교육의 교수학습방법', '정보원 이용 및 판단' 등의 주요 주제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내용 측면에서는 Big 6 정보모형, 교육방법과 관련해서는 미국 사서교사협회의 정보활용 능력기준과 미국 대학 및 연구도서관협회의 정보활용교육 개발지침을 고려하여 정보활용교육 교육내용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정보활용교육 전반의 연구주제와 연관된 교육 요소들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정보원 이용 및 판단', '정보윤리'와 관련된 교육내용을 보다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e-NIE학습이 초등학생의 읽기와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e-NIE Based Study on Reading and Writing skills of Elementary Students)

  • 김희진;이재인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195-202
    • /
    • 2010
  • 현대사회는 지식정보화 사회로서 인간의 지식을 자원으로 하고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하여 지식을 체계적이고 유연성 있는 정보로 가공하는 것을 국가 경쟁력의 핵심요소로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국어과 교육과정는 창의적인 국어사용능력을 배양하고 학습자의 의미 있는 학습을 중요시하며, 실생활과 관련된 교육과정이 되도록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학습자 주변 및 사회적 현상을 다양한 국어 상황에 활용하여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창의적으로 표현하도록 하는 NIE를 학습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인터넷이 보편화 되어 있는 환경과 정보통신기술의 함양 및 활용을 통한 e-NIE(인터넷을 통한 신문활용학습)를 국어과에 적용하여 읽기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