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보그림책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4초

기독교 그림책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국내 학위 논문 중심으로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Christian Picture Books : Focusing on Domestic Dissertations)

  • 김민정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8권
    • /
    • pp.245-277
    • /
    • 2021
  • 본 연구는 기독교 그림책 관련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독교 그림책과 관련된 연구의 연구시기, 연구내용, 연구방법 연구대상을 분석하여 기독교 그림책 분야의 다양하고 균형 있는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기독교 그림책', '성경 그림책', '기독교 동화', '성경 동화'를 주제어로 국회도서관과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통해 검색된 국내 석·박사학위논문 45편을 추출하였다. 기독교 그림책 관련 연구를 연구시기, 연구내용, 연구방법, 연구대상의 네 가지 준거로 분석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독교 그림책 연구논문의 연구시기별 동향은 1999년부터 2021년까지 석사학위 43편(95.6%), 박사학위 2편(4.4%)으로 석사학위 중심으로 기독교 그림책 관련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연구내용별 동향은 기초연구 12편(26.6%), 실천연구 33편(73.4%)로 나타났다. 기독교 그림책 관련 연구는 기초연구보다 실천연구 중심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 연구방법별 동향은 양적연구 33편(73.4%), 문헌연구 11편(24.4%), 질적연구 1편(2.2%) 순으로 나타났다. 기독교 그림책 관련 연구는 양적연구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상대적으로 문헌연구와 질적연구가 낮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넷째, 연구대상별 동향은 인적대상 35편(77.8%), 물적대상 10편(22.2%)으로 인적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가 많았다. 인적대상에서 단일대상 33편(73.4%), 혼합대상 2편(4.4%)로 나타났고, 단일대상 중 유아·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30편(66.7%)으로 높게 나타났다. 즉, 기독교 그림책 관련 연구는 유아-유아, 유아-교사, 유아-부모 간의 혼합대상보다 단일대상인 유아로 이루어진 연구 비율이 높았다.

초등학교 교사의 그림책 접근점 요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s for Access Points for Picture Books)

  • 김혜미;김수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33-258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매체로써 그림책을 탐색하고자 하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접근점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고 학교도서관 DLS(Digital Library System)의 접근점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외 7개 도서관 온라인목록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접근점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220개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그림책의 접근점은 주제, 학년/연령, 내용, 교과/단원, 범교과학습주제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필요성이 높게 나타난 접근점을 DLS의 목록레코드에서 제공하고, 통제어휘집을 개발하고, 시스템의 기능이나 인터페이스를 개선하여 그림책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정보그림책 읽기에 관한 이야기; 네 유아를 중심으로 (The Nature of Young Children's Informational Picturebook Reading)

  • 심향분;현은자
    • 아동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3-49
    • /
    • 2010
  • This case study describes the nature of young children's responses in the informational picturebook reading process through the eyes of 4 young children. Over a twenty week period from September 3, 2007 to February 15, 2008, researcher observed 4 young children while they read informational picturebooks and interacted with one another in terms of what they had read. The young children's personalities, preferences and environments as individual background clearly influenced responses and interaction during the reading process. By acknowledging the response styles of young children, a teacher can assist young children in developing a repertoire of responses to informational picturebooks.

팝업책과 일반평면책에 대한 유아의 읽기 반응 비교 (Young Children's Reading Responsiveness to the Pop-up Books and Regular Picture Books)

  • 이지혜;최나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215-235
    • /
    • 2015
  • 이 연구는 팝업책과 일반 평면그림책에 대한 만 5세 유아들의 읽기 양상을 비교함으로써 그림책 제작방식에 따라 유아의 읽기시간, 흥미, 반응, 이해, 회상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은 팝업책과 일반평면책에 대해 모두 높은 수준의, 유사한 정도의 흥미를 보였다. 둘째, 팝업책을 읽은 유아들은 일반평면책을 읽은 유아들에 비해 자발적으로 책을 더 오랫동안 보았고, 그림에 초점을 두는 반응 수준이 더 높았다. 셋째, 일반평면책을 읽은 유아들은 팝업책을 읽은 유아들에 비해 사실적 이해와 회상에서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 연구는 만 5세 유아의 독립적 그림책 읽기에 초점을 맞추어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한 점과 두 유형의 책을 읽은 유아들의 읽기 반응을 여러 측면에서 비교하여 팝업책의 특징과 관련된 구체적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 어린이 그림책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hildren′s Picture Book as a Communication Medium)

  • 박경희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1호
    • /
    • pp.7-16
    • /
    • 2001
  • 인간은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그들의 생존과 바람직한 사회생활을 영위해 오고 있다. 인간의 커뮤니케이션은 언어에서 문자, 인쇄매체, 전파매체를 통해, 또한 최근에는 통신매체를 통하여 변화하며 확산되고 있다. 문자의 발명 이후 책은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인간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 인간의 정신세계를 보존, 전승해 왔다. 어린이 그림책 역시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 정보의 발신자, 메시지, 매체, 수신자라는 요소로 구성되어 커뮤니케이션의 과정이 이루어진다. 작가, 일러스트레이터, 편집자라는 집합군의 발신자는 어린이라는 특별한 수신대상을 분석하여 메시지를 기호화하고 내용을 구성하며 매체를 선정하고 어린이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어린이라는 수신자의 발달 특성과 그의 욕구를 살펴 볼 때, 그림책의 글과 일러스트레이션이라는 시각매체는 어린이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가장 적절한 것이다. 그래서 그림책은 첫째, 어른과 어린이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어린이가 자아를 발견하고 역할을 수행해 갈 수 있도록 하여 결국 사회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이루게 한다. 둘째, 글과 일러스트레이션의 메시지 해독을 통하여 어린이에게 이 시대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능력 즉 비주얼 커뮤니케이션과 문자 커뮤니케이션을 경험하고 학습하게 한다.

  • PDF

서평전문지에 나타난 그림책 서평 분석 연구 (Reviews of Picture Books : A Content Analysis)

  • 심향분;현은자
    • 아동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03-216
    • /
    • 2005
  • Many picture books are published every year. Book review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building knowledge about newly published book. This study analyzed data the coverage and content of reviews in journals with a view to helping librarians and parents become more aware of content and coverage of reviews for picture books. Variations of bibliographic and ordering information appeared among all journals. Most reviews typically included a plot summary and a general statement about the illustrations. Overall, journals provided more comments on literary elements than artistic elements. However, reviews provided insufficient information about the background of reviewers. Physical description of the books appeared in 8.81 % of the sample.

  • PDF

경도치매 환자를 위한 그림책 활용 시각화 기억훈련 프로그램의 임상 유용성 연구 (Clinical Utility of Visualized Memory Training Program Using the Picture Book for Mild Dementia)

  • 주유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46-152
    • /
    • 2021
  •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시각화 기억훈련 프로그램의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임상에 적용하기 위하여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경도치매 환자 5명을 대상으로 총 5회기의 시각화 기억훈련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진행 전후 단어 기억력, 전반적 기억력검사, 및 우울감검사를 시행하여 그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 시행 후 전반적 기억력의 향상이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우울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어 기억력에 있어 일부 대상자는 인출 및 재인의 향상을 보였고 일부 대상자는 변화가 없거나 더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프로그램은 일부 경도치매 환자의 기억력 향상에 도움이 되며 우울감이 감소하는 정서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그룹 인지치료 모델로 널리 활용되길 바라며 더 많은 대상자 수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림책과 이야기 구조도식을 활용한 학교도서관 프로그램의 효과 -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문해능력과 도서 대출 빈도의 변화 및 프로그램 만족도 분석 - (The Effects of an School Library Program Using Picture Books and Graphic Organizers - First graders' Literacy Abilities, Book Lending Frequency, and Satisfaction for the Program -)

  • 최나야;정수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177-207
    • /
    • 2013
  • 이 연구는 그림책과 이야기 구조도식을 활용한 학교도서관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초등학교 1학년생들에게 실시함으로써 그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경기도의 한 초등학교에서 1학년생 28명이 학교도서관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11주 동안 총 20권의 그림책을 읽고 이야기 구조도식을 활용하여 책에 대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프로그램 시행 전후에 참여 아동의 문해능력과 도서 대출 빈도의 변화를 살펴보았고, 참여 아동의 어머니들과 프로그램 진행자들을 대상으로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들의 읽기이해력과 쓰기 유창성 및 글의 형식, 조직, 표현, 내용, 주제 면에서의 쓰기능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 이전에 비해 이들이 학교도서관에서 책을 대출하는 빈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참여아동의 어머니들은 아동의 읽기능력과 읽기태도가 향상되고 아동 도서와 도서관에 대한 어머니 자신의 관심이 증가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프로그램을 진행한 대학생 멘토들은 이 프로그램이 자신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응답하였다.

쓰기지도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그림책 유형의 차이가 유아의 기초쓰기와 창의적 쓰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Writing Program and the Type of Picture Book Used on the Early Stages of Writing and Creative Writing in Young Children)

  • 조경선;현은자
    • 아동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91-11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writing program and the type of picture book used on the early stages of writing and creative writing in young children. The different stages of writing amongst young children was divided into an early stage of writing for pre-schoolers and creative writing for spontaneous expression and problem solving. The subjects comprised 36 children aged 5 from a child daycare center in Seoul. Among the KISE-BAAT and Creative tests, the writing test and creative writing test were used. The early stage of writing and creative writing were both analyzed by means of both ANCOVA and T-test. Firstly, in the subscale of the early stage of writing(ability to mark, use vocabulary, create sentences and text construction), the early stage writing of the experiment group scored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ison group. Secondly, in terms of the type of picture books, the group using informational picture books had greater effects on the early stage of writing than the group using narrative picture books. Thirdly, the writing program itself had a positive effect on creative writing. In the subscale of creative writing (fluency, flexibility, novelty), the group using informational picture books made greater progress in fluency and novelty than the group using narrative picture books.

읽기부진아를 위한 체험형 독서프로그램 설계 - 방법 및 효과 - (A Design of Experience-based Reading Program for the Struggling Readers: Methods and Effects)

  • 김수연;강정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57-180
    • /
    • 2012
  • 이 연구는 생각과 경험이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읽기 체험 활동을 통해 읽기부진아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험형 독서프로그램을 설계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 연구를 통해 설계한 체험형 독서프로그램을 적용했을 때 연구 대상자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실제로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읽기부진아를 위한 체험형 독서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교수설계의 ADDIE모형에 따라 그림책을 활용하여 체험형 독서프로그램을 설계하였으며, Kolb의 나선형 체험학습 단계를 체험형 독서프로그램의 장면에 적용하였다. 체험의 과정을 통하여 정서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학습경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심의 증대 ${\rightarrow}$ 구체화 ${\rightarrow}$ 명료화의 흐름을 제공하였다. 둘째, 읽기부진아를 위한 체험형 독서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연구대상자의 사전사후 검증 결과, 전체 자아존중감 점수가 향상되었고, 하위요인별로 학업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는 읽기부진아를 위한 사회적 환경과 독서 환경 즉, 적절한 독서프로그램이 도서관에서 제공되고 이를 제도화시켜 지속적으로 지원한다면, 읽기부진아의 독서태도를 신장시켜 독서습관을 형성하고, 독서를 통한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