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강은진 (1997). 환상동화와 사실동화에 대한 유아의 반응 비교연구: 소집단 그림책 읽기 활동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 |
강은진, 현은자 (1998). 환상동화와 사실동화에 대한 유아의 반응 비교연구: 소집단 그림책 읽기활동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19(1), 169-182.
|
3 |
공인숙, 김영주, 최나야, 한유진 (2013). 아동문학. 경기: 교문사.
|
4 |
곽다정 (2002). 평가 매체가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5 |
권기남 (1999). 유아의 성별 및 기질에 따른 동화 선호도: 낭만적, 폭력적 및 무서운 그림동화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6 |
권영례 (1986). 이야기 제시 방법이 유아의 주의 집중과 이야기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7 |
김세희 (2001). 유아를 위한 그림책 비디오에 대한 분석. 어린이문학교육, 창간호, 83-98.
|
8 |
김양선 (1997). 소그룹 그림책 읽기에서 그림책에 대한 5세 유아의 반응.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9 |
김영태, 장혜성, 임선숙, 백현정 (1995). 그림 어휘력 검사.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
10 |
김정옥 (1998). 동화의 제시방법이 유아의 주의집중 및 기억에 미치는 영향: 구연, 그림 동화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1 |
현은자, 김세희 (1996). 전래동화와 이솝우화의 인물에 대한 유아의 반응. 유아교육연구, 16(2), 5-25.
|
12 |
홍혜경 (1995). 유아 수학학습에 아동문학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탐색. 교육학연구, 33(1), 399-423.
|
13 |
DeLoache, J. S. (2000). Dual representation and young children's use of scale models. Child Development, 71(2), 329-338.
DOI
ScienceOn
|
14 |
DeLoache, J. S. (2002). Early development of the understanding and use of symbolic artifacts. In U. Goswami (Ed.), Blackwell handbook of childhood cognitive development (pp. 206-226). Malden, MA: Blackwell.
|
15 |
Flood, J, E (1977). Parental styles in reading episodes with young children. The Reading Teacher, 30(8), 864-867.
|
16 |
Holmes, B, C (1987). Children's inferences with print and pictur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9(1), 14-18.
DOI
|
17 |
Judy, D (1991). Symbolic functioning in very young children: Understanding of picture and models. Child Development, 62(4), 36-52.
|
18 |
Kim, T., & Yi, S. (In Press). Comprehension by content-related audiovisual feedback in children's story appli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ational Vision and Robotics, In Press.
|
19 |
Levin, J. R. & Lesgold, A. M. (1978). On picture in prose.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26(3), 233-243.
|
20 |
Many, J. E., & Wisenman, D. L. (1992). The effect of teaching approach on third-grade students' response to literature. Journal of Reading Behavior, 24(3), 265-287.
DOI
|
21 |
Meringoff, L. K. (1980). Influence of the medium on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2(2), 240-249.
DOI
ScienceOn
|
22 |
김태연 (2014). 읽기매체의 종류에 따른 유아의 이야기 이해도 차이: 종이책과 전자책. 아동학회지, 35(4), 249-262.
DOI
|
23 |
김현희 (1995). 아동의 문학작품에 대한 반응: 이론적 고찰(탁아연구 II). 서울: 양서원.
|
24 |
김현희, 박상희 (1999). 유아문학교육. 서울: 학지사.
|
25 |
김효영 (2004). 이야기 구조 및 제시 방법에 따른 2, 3세 유아의 이야기 이해.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6 |
박영란(2000). 동화제시 방법이 유아의 동화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7 |
신현숙 (2000). 그림 이야기 장르에 따른 만 3세와 5세 유아의 그림책에 대한 반응 비교.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8 |
신혜영 (2007). 유아의 창의력 개발을 위한 팝업북의 디자인 연구: 0-4세 유아용 "나의 첫 팝업북" 시리즈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3(4), 211-221.
|
29 |
유동관 (2001). 어린이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에 포함되고 있는 변형된 형태 연구. 논문집, 14(1), 747-761.
|
30 |
유향선 (1997). 어머니와 교사 개입에 의한 상호작용적 문해 프로그램이 유아의 초기 문해 능력발달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31 |
이기진 (2007). 어린이의 창의성과 팝업북의 상관관계. 서울산업대학교 IT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32 |
이유선 (1990). 동화의 제시방법이 유아의 주의집중, 기억 및 이해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33 |
이정희 (2005). 팝업북을 활용한 미술 교육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34 |
이형아 (1992). 동화의 제시방법과 연령이 유아의 기억과 이해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35 |
임영심 (1996). 유아의 동화 표상활동에 대한 지도방안 모색, 유아교육연구, 16(2), 27-47.
|
36 |
장미경 (2000). 이미지와 언어의 액센트-팝업북.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6, 99-120.
|
37 |
Stephanie, S. (1995). Preschooler's response to picture books in small-group discussions: The role of gen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Texas Austin.
|
38 |
Morrow, L. M. (1984). Effects of study-retelling on young children's comprehension and sense of story structure. In J. Niles & L. Harris (Eds.), Changing perspectives on research in reading/language processing and instruction (Yearbook of the National Reading Conference, 33) (pp.95-100). Rochester, NY: National Reading Conference.
|
39 |
Morrow, L. M. (1990). Assessi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story through their 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narrative. In L. M. Morrow & J. K. Smith, Assessment for instruction in early literacy (pp. 110-133). Englewood Cliffs, NJ: Peading Association, Inc.
|
40 |
Pezdek, K., & Hartman, E, F. (1983). Children's television viewing: Attention and comprehension of auditory visual information. Child Development, 54(4), 1015-1023.
DOI
ScienceOn
|
41 |
Tare, M., Chiong, C., Ganea, P., & DeLoache, J. (2010). Less is more: How manipulative features affect children's learning from picture book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31(5), 395-400.
DOI
ScienceOn
|
42 |
Yvetta, G. & Barbara, S. (1986). An investigation of imposed-induced imagery methods on kindergarten children's recall of prose content.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mid-south educational association (ERIC ED 278974).
|
43 |
조부경 (1996). 문학을 중심으로 한 유아 과학 교육의 통합적 접근: 유아교육 교원 자율연수교재. 서울: 유아인지교육연구회.
|
44 |
장은희 (1993). 동화전달 경험이 유아의 이야기꾸미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45 |
정민이 (2006). 중학교 생물 수업을 위한 Pop-Up Book 제작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46 |
조병희 (2006). 유아의 놀이 도구로서 팝업북의 역할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47 |
조영미 (1984). 동화전달 양식에 따른 이해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48 |
지연주, 최나야 (2012). 교사와 어머니의 문해신념, 그림책에 대한 인식 및 읽기활동 빈도가 유아와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6), 5-28.
|
49 |
채종옥 (1996). 동화책 읽어주기 접근법에 따른 유아의 반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50 |
최나야 (2007). 음운론적 인식과 처리능력이 4-6세 유아의 한글 단어 읽기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8(4), 73-95.
|
51 |
최나야 (2011). 유아용 그림책의 이용에 나타난 이중독자구조의 탐색- 만 5세 유아 가정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3), 99-118.
|
52 |
최나야 (2012). 가정문해환경, 어머니의 문해신념과 양육효능감이 유아와 어머니의 그림책 읽기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3(6), 109-131.
DOI
|
53 |
최윤정 (1998). 그림동화책 읽어주기와 토의가 유아의 친환경적 행동 및 추론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54 |
하양승 (1995). 유아의 이야기 해보기 활동이 이야기 구조 개념과 이해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55 |
허두랑 (2011). Pop-Up Book을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적 동기와 과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