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5.11.215

Young Children's Reading Responsiveness to the Pop-up Books and Regular Picture Books  

Lee, Ji Hye (성빈센트 유치원)
Choi, Na Ya (가톨릭대학교 아동학전공)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1, no.5, 2015 , pp. 215-23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s reading results to two types of picture books, focusing on the features of pop-up books. Children's reading time, interests, responsiveness, comprehension, and recall were compared for pop-up books and regular books with the same st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 showed similarly high interests in both versions. Second, children from the pop-up books group read for a longer time, and showed a higher responsiveness level in focusing on the illustrations than their counterparts. Third, children who read regular books displayed better comprehension and recall than children who read pop-up books.
Keywords
pop-up books; regular picture books; reading respons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은진 (1997). 환상동화와 사실동화에 대한 유아의 반응 비교연구: 소집단 그림책 읽기 활동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은진, 현은자 (1998). 환상동화와 사실동화에 대한 유아의 반응 비교연구: 소집단 그림책 읽기활동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19(1), 169-182.
3 공인숙, 김영주, 최나야, 한유진 (2013). 아동문학. 경기: 교문사.
4 곽다정 (2002). 평가 매체가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권기남 (1999). 유아의 성별 및 기질에 따른 동화 선호도: 낭만적, 폭력적 및 무서운 그림동화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권영례 (1986). 이야기 제시 방법이 유아의 주의 집중과 이야기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세희 (2001). 유아를 위한 그림책 비디오에 대한 분석. 어린이문학교육, 창간호, 83-98.
8 김양선 (1997). 소그룹 그림책 읽기에서 그림책에 대한 5세 유아의 반응.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영태, 장혜성, 임선숙, 백현정 (1995). 그림 어휘력 검사.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10 김정옥 (1998). 동화의 제시방법이 유아의 주의집중 및 기억에 미치는 영향: 구연, 그림 동화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현은자, 김세희 (1996). 전래동화와 이솝우화의 인물에 대한 유아의 반응. 유아교육연구, 16(2), 5-25.
12 홍혜경 (1995). 유아 수학학습에 아동문학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탐색. 교육학연구, 33(1), 399-423.
13 DeLoache, J. S. (2000). Dual representation and young children's use of scale models. Child Development, 71(2), 329-338.   DOI   ScienceOn
14 DeLoache, J. S. (2002). Early development of the understanding and use of symbolic artifacts. In U. Goswami (Ed.), Blackwell handbook of childhood cognitive development (pp. 206-226). Malden, MA: Blackwell.
15 Flood, J, E (1977). Parental styles in reading episodes with young children. The Reading Teacher, 30(8), 864-867.
16 Holmes, B, C (1987). Children's inferences with print and pictur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9(1), 14-18.   DOI
17 Judy, D (1991). Symbolic functioning in very young children: Understanding of picture and models. Child Development, 62(4), 36-52.
18 Kim, T., & Yi, S. (In Press). Comprehension by content-related audiovisual feedback in children's story appli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ational Vision and Robotics, In Press.
19 Levin, J. R. & Lesgold, A. M. (1978). On picture in prose.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26(3), 233-243.
20 Many, J. E., & Wisenman, D. L. (1992). The effect of teaching approach on third-grade students' response to literature. Journal of Reading Behavior, 24(3), 265-287.   DOI
21 Meringoff, L. K. (1980). Influence of the medium on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2(2), 240-249.   DOI   ScienceOn
22 김태연 (2014). 읽기매체의 종류에 따른 유아의 이야기 이해도 차이: 종이책과 전자책. 아동학회지, 35(4), 249-262.   DOI
23 김현희 (1995). 아동의 문학작품에 대한 반응: 이론적 고찰(탁아연구 II). 서울: 양서원.
24 김현희, 박상희 (1999). 유아문학교육. 서울: 학지사.
25 김효영 (2004). 이야기 구조 및 제시 방법에 따른 2, 3세 유아의 이야기 이해.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박영란(2000). 동화제시 방법이 유아의 동화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신현숙 (2000). 그림 이야기 장르에 따른 만 3세와 5세 유아의 그림책에 대한 반응 비교.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신혜영 (2007). 유아의 창의력 개발을 위한 팝업북의 디자인 연구: 0-4세 유아용 "나의 첫 팝업북" 시리즈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3(4), 211-221.
29 유동관 (2001). 어린이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에 포함되고 있는 변형된 형태 연구. 논문집, 14(1), 747-761.
30 유향선 (1997). 어머니와 교사 개입에 의한 상호작용적 문해 프로그램이 유아의 초기 문해 능력발달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이기진 (2007). 어린이의 창의성과 팝업북의 상관관계. 서울산업대학교 IT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유선 (1990). 동화의 제시방법이 유아의 주의집중, 기억 및 이해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이정희 (2005). 팝업북을 활용한 미술 교육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이형아 (1992). 동화의 제시방법과 연령이 유아의 기억과 이해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임영심 (1996). 유아의 동화 표상활동에 대한 지도방안 모색, 유아교육연구, 16(2), 27-47.
36 장미경 (2000). 이미지와 언어의 액센트-팝업북.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6, 99-120.
37 Stephanie, S. (1995). Preschooler's response to picture books in small-group discussions: The role of gen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Texas Austin.
38 Morrow, L. M. (1984). Effects of study-retelling on young children's comprehension and sense of story structure. In J. Niles & L. Harris (Eds.), Changing perspectives on research in reading/language processing and instruction (Yearbook of the National Reading Conference, 33) (pp.95-100). Rochester, NY: National Reading Conference.
39 Morrow, L. M. (1990). Assessi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story through their 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narrative. In L. M. Morrow & J. K. Smith, Assessment for instruction in early literacy (pp. 110-133). Englewood Cliffs, NJ: Peading Association, Inc.
40 Pezdek, K., & Hartman, E, F. (1983). Children's television viewing: Attention and comprehension of auditory visual information. Child Development, 54(4), 1015-1023.   DOI   ScienceOn
41 Tare, M., Chiong, C., Ganea, P., & DeLoache, J. (2010). Less is more: How manipulative features affect children's learning from picture book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31(5), 395-400.   DOI   ScienceOn
42 Yvetta, G. & Barbara, S. (1986). An investigation of imposed-induced imagery methods on kindergarten children's recall of prose content.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mid-south educational association (ERIC ED 278974).
43 조부경 (1996). 문학을 중심으로 한 유아 과학 교육의 통합적 접근: 유아교육 교원 자율연수교재. 서울: 유아인지교육연구회.
44 장은희 (1993). 동화전달 경험이 유아의 이야기꾸미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정민이 (2006). 중학교 생물 수업을 위한 Pop-Up Book 제작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6 조병희 (2006). 유아의 놀이 도구로서 팝업북의 역할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조영미 (1984). 동화전달 양식에 따른 이해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8 지연주, 최나야 (2012). 교사와 어머니의 문해신념, 그림책에 대한 인식 및 읽기활동 빈도가 유아와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6), 5-28.
49 채종옥 (1996). 동화책 읽어주기 접근법에 따른 유아의 반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0 최나야 (2007). 음운론적 인식과 처리능력이 4-6세 유아의 한글 단어 읽기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8(4), 73-95.
51 최나야 (2011). 유아용 그림책의 이용에 나타난 이중독자구조의 탐색- 만 5세 유아 가정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3), 99-118.
52 최나야 (2012). 가정문해환경, 어머니의 문해신념과 양육효능감이 유아와 어머니의 그림책 읽기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3(6), 109-131.   DOI
53 최윤정 (1998). 그림동화책 읽어주기와 토의가 유아의 친환경적 행동 및 추론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4 하양승 (1995). 유아의 이야기 해보기 활동이 이야기 구조 개념과 이해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허두랑 (2011). Pop-Up Book을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적 동기와 과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