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점유면적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32초

댐 수몰 및 주변지역의 축척 규모에 따른 오차분석 (The Error Analysis of Scale Effect for Dam Submerged Area and the Surrounded Regions)

  • 이근상;최연웅;황의호;채영강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4호
    • /
    • pp.43-53
    • /
    • 2010
  • 댐은 생활에 필요한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여름철 집중강우에 의한 홍수피해를 저감하는 효과가 있으나, 댐 건설로 많은 토지나 가옥 등이 수몰되고 댐 주변지역의 환경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댐 주변지역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지원하기 위한 사업들이 시행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GIS 공간중첩 기능을 이용하여 공간정보 축척에 따른 용담댐 수몰지역과 댐주변지역 면적오차 특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첫째, 1/3,000 수치지형도를 기준으로 각 축척별 수몰지역 면적오차를 분석한 결과, l/5,000 수치지형도가 1/25,000 수치지형도에 비해 면적오차의 합과 표준오차 그리고 수몰지역 전체면적에 대한 면적오차의 합의 비율에서 각각 9.5배, 9.0배, 10.5배로 정확도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댐주변지역 면적오차를 분석한 결과, l/5,000 수치지형도가 l/25,000 수치 지형도에 비해 진안군 진안읍이 2km 이내 및 2~5km의 집수구역내 지역에서 각각 13.8배와 20.6배로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2km 이내의 집수구역외 지역에서는 점유면적 자체가 매우 작아 오차특성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2~5km 구간의 집수구역외 지역에서는 금산군 남이면이 31.8배로 가장 큰 오차특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댐주변지역 면적오차의 합과 표준오차 그리고 주변지역 전체면적에 대한 면적오차의 합의 비율에서도 1/5,000 수치지형도는 1/25,000에 비해 각각 7.4배, 11.8배, 7.4배로 정확도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전원지역의 녹지구조 현황과 기능개선 방안 - 강원도 양구를 대상으로 - (Structural Conditions of Greenspace in a Rural Region and Strategies for its Functional Improvement - In the Case of Yanggu, Gangwon Province -)

  • 조현길;안태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93-502
    • /
    • 2006
  • 본 연구는 전원지 역 인 양구군을 대상으로 녹지 면적 및 식생구조 중심의 녹지구조를 정량 분석하고, 녹지에 대한 주민태도의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녹지기능을 증진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수목피도는 공원이 약 29%로서 녹지공간 유형 중 가장높았고, 상업지 정원이 가장 낮아 3%에 불과하였다. 양구 전원지역의 수목식재는 개발밀도가 높은 도시의 경우보다 더 빈약하였다. 교목의 흉고직경분포는 20cm 미만의 점유비가 전체의 91%로서 도시지 역과 유사하게 유목 및 성장과정의 수목들이 우점하였다. 식재수종들의 상대우점치를 분석한 결과, 상위권 10개 수종 중4개 수종은 도시에서도 상위 10위권 내인 주요 도시경관수종들이었으며, 일부 우점종만 도시지 역과 상이하였다. 한편, 주거지 및 상업지 정원에선 우점종 대부분이 유실수로서 주로 실용적 수종을 식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녹지면적의 점유비는 공원 약 69%, 주거지 정원 39%, 공공용지 정원 37%, 가로 24%, 상업지 정원 15%등이었다. 향후 수목을 식재할 수 있는 잠재식재공간은 가로가 37%로서 현 수목피도를 약 6배, 주거지와 상업지 정원이 각각 19%,7%로서 현 수목피도를 2배이상 증진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녹지구조와 식재기법, 설문조사분석결과에 근거한 녹지확충 및 기능 개선책은 가로 구간별 테마 창출, 다층구조 조성, 정원 나지에 수목식재 및 건물 주변 에너지 절약적 식재 추진 등으로 요약된다.

Tb2Bi1GaxFe5-xO12(x=0, 1)의 뫼스바우어 분광연구 (Mössbauer Study of Tb2Bi1GaxFe5-xO12(x=0, 1))

  • 박일진;김철성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7-70
    • /
    • 2008
  • $Tb_2Bi_1Ga_xFe_{5-x}O_{12}$(x=0, 1)의 조성을 가지는 분말 시료를 sol-gel 법과 진공봉합 열처리를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x선 회절기, $M\ddot{o}ssbauer$ 분광기를 이용하여 시료의 결정구조 및 Ga 이온의 점유도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XRD측정결과 $Tb_2Bi_1Ga_xFe_{5-x}O_{12}$ (x=0, 1)의 결정구조는 Ia3d의 공간그룹을 갖는 cubic 구조이며, $Tb_2Bi_1Fe_5O_{12}$$Tb_2Bi_1Ga_1Fe_4O_{12}$의 격자상수 $a_0$는 각각 $12.497\AA$, $12.465\AA$으로 분석되었다. Rietveld 분석법을 이용하여 각 이온들이 점유하는 각각의 부격자 위치를 연구하였다. $Tb_2Bi_1Ga_1Fe_4O_{12}$ 시료의 분석결과, Tb, Bi 이온은 24c 자리에, Fe 이온은 24d, 16a 자리를 점유하였으며, 비자성 이온인 Ga 이온은 모두 16a 자리를 점유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b_2Bi_1Ga_xFe_{5-x}O_{12}$(x=0, 1)의 미시적인 자기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시료들의 $M\ddot{o}ssbauer$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상온에서의 $M\ddot{o}ssbauer$스펙트럼 측정결과 철 이온들의 흡수 면적비는 $Tb_2Bi_1Fe_5O_{12}$의 경우 24d와 16a자리에서 각각 60.8%, 39.2%로, $Tb_2Bi_1Ga_1Fe_4O_{12}$의 경우 24d와 16a자리에서 각각 74.7%, 25.3%로 분석되었다. 철 이온들의 흡수 면적비 분석을 통해 비자성이온인 Ga은 모두 16a 자리를 점유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무환경 실태조사에 관한 연구

  • 박수찬;김진호;이영신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51-455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사무환경 실태조사를 통하여 사무환경 구성이나 사무환경 개선시 활용 할 수 있는 적용기준을 제안하고, 사무실 환경관리규정 설계시 활용하는데 있다. 실태조사는 관공 서 및 정부투자기관 사무실, 일반기업체 사무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조사 내용으로는 개인점유 면적, 가구 재질 등에 대한 일반적인 사무환경 조사와 소음환경, 온/습도환경, 조도환경 등과 같은 쾌적성의 요인이되는 환경을 측정하였다. 조사의 실시는 7월 20일 부터 9원 12일 사이에 이루어졌으며, 조사된 사무실은 총 39개 기관 45개사무실이다. 일반적으로 사무환경을 보면 1인 1PC 사용률은 77.3%, 1인 사무실 면적은 약 7.6M$^{2}$, 조명방식은 직접조명방식이 67.6%로 나타났으며, 별도의 회의 공간을 구획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56.7%로 나타났다. 환경측정은 사무실을 출입구, 중앙, 안쪽(또는 창가) 등 3개 위치를 선정하여 바닥으로 부터 85cm 떨어진 지점에서 각각 3회씩 측정하였다. 조도의 경우 등과 등 사이의 평균 조도를 보면 출입구는 400.11x, 중앙은 481.91x, 안쪽은 629.61x로 나타났으며 등밑에서는 각각 435.81x,518.11x, 666.31x로 나타나 일반 사무실에서의 작업수준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와 습도환경을 보면 측정지점별 각각 평균 27 .deg. C 54.5%, 26 .deg. 55.4%, 26.3 .deg. C 55.4%, 26.3 .deg. C 56.2%로 나타났으며, 소음환경은 측정위치별 각각 52.9db, 54.1db, 53.7db로 나타났다.

  • PDF

87년(年) 태풍(颱風) 5호(號)에 의(依)한 경남지구(慶南地區)의 산사태(山沙汰)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Landslides Caused by Typhoon No. 875 in Gyeongsangnam-do Distiricts)

  • 강위평;마호섭;정모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3호
    • /
    • pp.276-282
    • /
    • 1988
  • 1987년(年) 7월(月) 15일(日) 태풍(颱風) 5호(號)에 의하여 서부경남지구(西部慶南地區)에 많은 산사태(山沙汰)가 발생(發生)하였는데 그 발생현황(發生現況)과 원인(原因)을 조사(調査)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산사태발생(山沙汰發生) 개소수(個所數)는 2,490개소(個所), 면적(面積)은 156.53ha였으며, 그 중 산청(山淸), 함양(咸陽), 거창지구(居昌地區)에서의 발생율(發生率)은 94%, 면적(面積)에서는 97%를 차지하였다. 2) I산사태(山沙汰) 발생규모(發生規模) 0.01ha 이하(以下)는 개소수(個所數)에서 49%를, 면적(面橫)에서 6%를 점(占)하였으며, 비교적(比較的) 소규모(小規模)의 산사태(山沙汰)가 많이 발생(發生)하였다. 3) 화강편마암(花崗片麻巖) 및 화강암지구(花崗巖地區)에서 산사태발생율(山沙汰發生率)은 85%, 면적(面積)의 87%를 차지하였다. 4) 산복경사(山腹傾斜) $31{\sim}35^{\circ}$ 범위에서 30%의 발생율(發生率)을, 면적(面積)의 31%를 차지하였으며, 하강사면형(下降斜面形)에서 48%의 발생율(發生率)을, 면적(面積)은 51%를 점유(占有)하였다. 5) 임관밀도(林冠密度)가 40%이하(以下)인 소(疎)에서 81%의 발생율(發生率)을 면적(面積)은 68%를 차지하였다. 6) 강우(降雨), 지형(地形), 삼림(森林)등 비교적(比較的) 동일(同一)한 조건(條件)인데도 화강편마암(花崗片麻巖) 및 화강암류(花崗巖類)에서만 산사태(山沙汰)가 발생(發生)한 것은 지질요인(也質要因)이 큰 영향(影響)을 주었으며, 또한 심층풍화토지대(深層風化土地帶)는 산사태발생(山沙汰發生)의 반복성(反復性)이 있으므로 복구(復旧) 및 예방사방(豫防砂防)을 실시후(實施後)에는 철저한 사후처리(事後處理)가 요청(要請)된다.

  • PDF

배지의 종류 및 급액방법의 차이가 양액재배 오이의 생장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bstrates and Nutrient Supplying Methods on the Growth and Fruit Yield of Hydroponically Grown Cucumber Plants)

  • 이정현;김홍기;이범선;정순주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5년도 특강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100-102
    • /
    • 1995
  • 국내 양액재배 면적은 94년말 53.5ha로 90년의 8.1ha에 비해 급격히 확대되었으며, 이중 오이는 15.5ha로 36%를 점유하고 있다. 오이의 경우 펄라이트경이 58.4%로 고형배지경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근권환경의 안정성이 높아 재배의 위험성을 경감시킬 수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펄라이트의 경우 자체가 갖는 수분보유력은 크지만 입자 직경에 따라 배수성이 지나치게 커서 정식후 초기활착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으므로 금액방법의 적정화, 입자크기의 선택, 왕겨, 훈탄, 입상암면 등 다양한 이종배지를 이용한 혼합배지의 활용 등을 검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중략)

  • PDF

LAI를 고려한 유역 증발산량 분포 분석 (Estimation of Evapotranspiration Distribution using LAI)

  • 김주훈;김경탁;박정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1276-1279
    • /
    • 2004
  • 수문순환 과정에서 증발산은 물이 유역으로부터 제거되는 주요 기작으로서, 증발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식물은 지구 육지 표면의 약 $70\%$ 정도를 점유하고 있으며, 생태계의 가장 중요한 구성인자로서, 식물의 종류 및 군집의 공간적 분포유형, 생육주기 및 형태적 변화 등과 같은 정보들은 그 지역의 기후, 토양, 지질, 지리적 특성을 밝히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식생관련 정보 중 엽면적 지수란 단위지표면적당 총 엽면적의 비를 나타내는 것으로 환경생태, 기상, 수문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andsat 위성영상과 DEM 등의 GIS 자료를 이용하여 지형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유역의 증발산량을 분포형으론 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대상유역은 한강의 제1지류인 경안천유역으로 하였고, 증발산량 산정에 필요한 기상자료는 월평균기온, 수평면일사량, 상대습도를 이용하였고, 일사량비와 일조시간비 계산을 위해 위도별에 따른 총일조시간과 월평균일사량을 계산하였다. 잠재증발산량 산정은 Penman-Monteith식을 이용하여 산정하였으며, 식생지수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LAI를 고려하여 산정하였다.

  • PDF

BLU 패턴 크기에 따른 LGP 출력 특성 연구 (LGP Output Characteristics Depending in BLU Pattern Size)

  • 김영철
    • 한국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3-47
    • /
    • 2008
  • 현재 TFT-LCD(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에 사용되는 BLU(Back Light Unit) 패턴 크기는 수 십 ${\mu}m$인데 반해, 최근에는 BLU 패턴의 크기를 수 ${\mu}m$ 또는 그 이하로 조절함으로써 출력광의 휘도를 증가시키고 균일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패턴의 크기, 분포 및 점유 면적이 출력광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사립박물관 소방분야 관리 실태에 관한 기초 연구 (A Fundamental Study on the Fire Protection Management for Private Museum)

  • 송창영;이종훈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5년 정기학술대회
    • /
    • pp.331-334
    • /
    • 2015
  • 박물관은 예술과 과학 분야에서 귀중한 문화유산적 가치가 있는 소장품을 보관 전시하는 등 교양, 조사연구, 예술활동 등에 이바지하고 있다. 이러한 박물관의 소장품을 위협하는 요소 중 화재로 인한 피해는 소장품을 순식간에 파괴하여 복구 불능 상태가 될 수도 있어 가장 위험이 큰 재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34조의 6에서는('15년 12월 31일 시행), 다중이용시설 등의 소유자 관리자 또는 점유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위기상황에 대비한 매뉴얼을 작성 관리토록 되어있다. 하지만 연면적 $3,000m^2$ 이상의 대규모 사립박물관만 해당되며 대다수 사립박물관은 재정적으로 취약하고 소규모 시설로 인해 화재를 비롯한 각종 재난안전관리에 매우 취약하여 소중한 문화적 가치를 지닌 유물들이 소실될 수 있는 높은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중 소규모의 사립박물관 50개소를 선정하여 화재안전에 대비한 소방분야의 관리실태를 점검하고 향후 안전관리 교육 훈련 프로그램 또는 안전관리 매뉴얼 개발에 기초 자료로서 활용 될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폐타이어 활용기술의 현대화 (Modern Technologies for recycling Waste Tires)

  • 유택수;장지원;민경화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4권4호
    • /
    • pp.22-36
    • /
    • 1995
  • 현대 문명의 상징인 자동차 수가 매년 증가함에 따라 여기에서 발생되는 폐타이어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이 폐타이어는 환경, 미관상 나쁜 이미지 및 매립에 의한 국토 면적 점유등으로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그래서 이 페타이어를 재활용함으로서 자원의 소모를 줄임과 동신에 부가가치를 높일수 있는데, 이 페타이어들은 원형상태, 및 가공한 상태로 사용되기도 하고 에너지원으로 유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페타이어를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국내외적으로 조사하였다. 또 페타이어를 가공하여 사용하기 위한 전 처리로서 분말 분쇄기술에 대해 사례를 연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