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자기후도

Search Result 214,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Land Suitability Assessment by Combining Classification Results by Climate and Soil Information Using the Most Limiting Characteristic Method in the Republic of Korea (기후 및 토양 정보에서 최대저해인자법을 이용한 재배적지 구분의 통합에 관한 연구)

  • Kim, Hojung;Shim, Kyomoon;Hyun, Byungkeu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8 no.3
    • /
    • pp.127-134
    • /
    • 2016
  • Land suitability assessment for apples and pears was conducted with soil and climate information in South Korea. In doing so, we intended to preserve land and increase the productivity by providing valuable information regarding where more suitable areas for apples or pears are located. We used soil classification driven by soil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developed by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RDA, and also used climate classification in digital agro-climate map database for which is made by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We combined both soil and climate classification results using a most-limiting characteristic method. The combined results showed very similar patterns with the results by classification based on soil information. Such results seem to come from the fact that the classification results by soil relatively lower than those by climate information. The results by soil classification seem to be too downgraded and checking if the final classification ranges in soil are reasonably made is strongly required. Although the most limiting characteristic method had been used widely in land suitability assessment, adapting the method based on results by soil and climate can be influenced by one downgraded factor. Therefore, alternative ways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for increasing the accuracy.

Establishment of Geospatial Schemes Based on Topo-Climatology for Farm-Specific Agrometeorological Information (농장맞춤형 농업기상정보 생산을 위한 소기후 모형 구축)

  • Kim, Dae-Jun;Kim, Soo-Ock;Kim, Jin-Hee;Yun, Eun-Jeong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21 no.3
    • /
    • pp.146-157
    • /
    • 2019
  • One of the most distinctive features of the South Korean rural environment is that the variation of weather or climate is large even within a small area due to complex terrains. The Geospatial Schemes based on Topo-Climatology (GSTP) was developed to simulate such variations effectively. In the present study, we reviewed the progress of the geospatial schemes for production of farm-scale agricultural weather data. Effort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GSTP since 2000s. The schemes were used to provide climate information based on the current normal year and future climate scenarios at a landscape scale. The digital climate maps for the normal year include the maps of the monthly minimum temperature, maximum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solar radiation in the past 30 years at 30 m or 270 m spatial resolution. Based on these digital climate maps,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 maps were also produced at the high spatial resolution. These maps have been used for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at the field scale by reprocessing them and transforming them into various forms. In the 2010s, the GSTP model was used to produce information for farm-specific weather conditions and weather forecast data on a landscape scale. The microclimate models of which the GSTP model consists have been improved to provide detailed weather condition data based on daily weather observation data in recent development. Using such daily data, the Early warning service for agrometeorological hazard has been developed to provide weather forecasts in real-time by processing a digital forecast and mid-term weather forecast data (KMA) at 30 m spatial resolution. Currently, daily minimum temperature, maximum temperature, precipitation, solar radiation quantity, and the duration of sunshine are forecasted as detailed weather conditions and forecast information. Moreover, based on farm-specific past-current-future weather information, growth information for various crops and agrometeorological disaster forecasts have been produced.

Observation of the Cold-air Drainage and Thermal Belt Formation in a Small Mountainous Watershed by Using an Infrared Imaging Radiometer (적외선 영상 복사계를 이용한 산간집수역의 찬공기 배수와 온난대 형성 관측)

  • Yun, Jin-I.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3 no.2
    • /
    • pp.79-86
    • /
    • 2011
  • Cold-air drainage and pooling occur in most mountain valleys at night. Local climates with cold-air pooling could affect phenology and distribution of crop plants. A high resolution infrared imaging radiometer was used to visualize the cold-air drainage and thermal belt formation over a small mountainous watershed (ca. $10{\times}5{\times}1$ km for the maximum length${\times}$width${\times}$depth). Thermal images on $640{\times}480$ pixels were scanned across the Akyang valley (south of Mt. Jiri National Park) by the radiometer installed at a local peak ('Hyongjebong', 1,117 m a.s.l.) at dawn of 17 May 2011, when the synoptic condition was favorable for the surface cooling and cold-air drainage. Major findings are: (1) Cold-air drainage and accumulation was clearly identified by the lowest brightness temperature mainly at the valley bottom. (2) So-called 'thermal belt' with higher brightness temperature was found partway up the valley sidewalls and showed up to $5^{\circ}C$ departure from the valley bottom temperature. (3) Digital thermography showed feasibility for validation of the high definition geospatial temperature models currently in use for the plot-specific agrometeorological service.

Improvement of CSVR used for Flood Damage Estimation based on Insurance Claim DB (침수피해액 추정을 위한 CSVR의 보험 Claim DB 기반 개선)

  • Baek, Chun Woo;Roh, Jin Yong;Lee, You Me;Park, Hong Gyu;Bae, Yo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93-193
    • /
    • 2019
  • 기후변화로 인한 거대 자연재해 발생의 위험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국외의 경우 주요정부기관, 보험사 및 연구기관 중심으로 자연재해 피해예측 모델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침수사고 인한 피해는 건물은 물론이고 가재도구, 재고자산, 기계시설 등의 내용물에서도 발생하며, 건축물 신축단가 등을 이용해 비교적 쉽게 자산가치를 산정할 수 있는 건물구조물과 다르게, 건물내용물의 자산가치는 시설물의 업종, 용도, 사용자 특성 등에 따라 변동성이 큰 특징이 있다. 내용물의 피해액 추정을 위해 자연재해 피해예측 모델은 건물 구조물과 내용물 가치의 비율인 CSVR(Contents to Structure Value Ratio)을 사용하며, CSVR은 시설물 용도에 따른 자산가치평가 통계를 이용해 산정할 수 있다. 충분한 자산가치평가 DB를 확보할 경우 CSVR의 정확도 확보가 가능할 것이며, 이를 위해 국내에서는 민간보험사의 재물보험 계약 4만여건의 건물, 내용물 보험가입금액을 행정안전부 도로명전자지도에서 분류하는 건물 용도에 따라 분석한 연구결과가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보험가입단계에서 대략적으로 추정하는 보험가입금액과 실제 자산의 가치는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보험가입물건의 실제 자산가치는 일부만 DB화 되어 있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고 발생 후 작성되는 손해사정보고서에서 평가한 정확한 자산가치 DB를 수집하여, 보험가입금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CSVR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손해사정보고서에서 평가한 실제 자산가치를 기준으로 분석한 CSVR과 보험가입금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CSVR은, 업종에 따라 유사하거나 큰 차이를 보이는 경우도 있었으며, 침수로 인한 정확한 피해액 추정을 위해서는 보다 양질의 DB확보를 통한 CSVR의 정확도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Intelligent Emergency Alert System Trends (지능·맞춤형 통합경보시스템 기술동향)

  • Cho, K.S.;Kim, G.;Lee, Y.T.;Ryu, W.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9 no.3
    • /
    • pp.56-65
    • /
    • 2014
  • 최근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로 수해나 지진 등의 자연재난이 증가하고 그 피해도 대형화되며 종류도 다양화 되는 추세로, 선진 각국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신속한 재난예보와 경보 전달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국내외 재난경보 방송동향과 국외 통합경보시스템에 대해 소개하고, 지능 맞춤형 통합경보시스템의 필요성과 연구개발 사례와 연구개발 중인 지능 맞춤형 통합경보시스템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5kW 48Voltage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for electric vehicle (5kW 출력을 갖는 전기 자동차용 48V 양방향 DC/DC 컨버터)

  • Kim, Mi Na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07a
    • /
    • pp.62-63
    • /
    • 2016
  • 지구 온난화 현상에 의한 환경 파괴로 이상기후 현상이 일어나고 있고 이로 인하여 환경 보호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 많은 원인 중 하나인 이산화탄소의 배출량 감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최근 IT기술과 융합을 통해 안전성이 뛰어난 Smart car의 개념으로 인해 갈수록 큰 전력량을 요구 하고 있다. 기존의 12V 전기 시스템은 한계에 도달 했으며, 이를 충족 시키기 위해 48V 시스템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 PDF

Smart Energy Service Technology (스마트 에너지 서비스 기술)

  • Lee, I.W.;Kim, 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0 no.5
    • /
    • pp.69-79
    • /
    • 2015
  • 에너지와 ICT 기술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창출은 신산업 신성장동력의 대표 아젠다로 주목받고 있으며, 관련한 정부의 정책 제도들이 봇물 터지듯 제시되고 있다. 스마트 에너지 서비스는 이러한 배경 하에서 기후변화대응, 탄소거래제, 수요관리 중요성 부각 등 사회문제 이슈 해결의 중심축으로 부각되고 있다. 스마트 에너지에 대한 정의는 그 적용 범위와 도메인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고, 관련 범주도 넓으며 기술의 분야도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다. 본고에서는 스마트 에너지 기술에 대한 특징과 국내외 기술 서비스에 대한 현황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인류가 당면하고 있는 피할 수 없는 에너지 분야의 문제 해결에 대한 기술적 접근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he Analysis of Organization in LED Lighting Industry (LED 조명산업 구조 분석)

  • Chun, H.S.;Heo, P.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5 no.2
    • /
    • pp.142-151
    • /
    • 2010
  • LED는 화합물 반도체 특성을 이용해, 전기신호를 적외선 또는 빛으로 주고 받는 반도체의 일종으로 가정용 가전제품, 리모콘, 전광판, 표시기, 각종 자동화기기 등에 사용된다. LED는 최근 컴퓨터, 냉장고, 가로등, 주택용 일반 조명에 이르기까지 반도체산업을 뛰어넘을 차세대 산업군으로 주목받고 있다. LED 조명산업은 저탄소 녹색성장의 핵심축이고, 무(無)수은 친환경 아이템으로 포스트 교토의 기후협약, 저탄소사회 구현을 앞당기는 미래산업이다. 본 고에서는 LED 조명의 가치사슬 및 국내외 산업 구조를 분석하고 결론에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