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시평가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4초

18세기 대영박물관에 전시된 인삼: 입수 경로와 당대의 반응 (Ginseng Exhibit ofthe British Museum in the Eighteenth Century: Obtaining Route and Responses ofthe Contemporaries)

  • 설혜심
    • 인삼문화
    • /
    • 제3권
    • /
    • pp.38-53
    • /
    • 2021
  • 이 연구는 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한 박물관으로 꼽히는 대영박물관이 개관 당시부터 인삼을 주요 전시품으로 취급하고 있었음을 학술적으로 규명했다. 대영박물관은 영국의 저명한 의사이자 과학자, 수집가인 한스 슬론(Hans Sloane, 1660-1753)의 유언에 따라 그의 컬렉션을 토대로 건립된 것으로, 인삼을 비롯한 '식물성 물질 표본(Vegetable Substances specimens)'이 그 핵심에 놓여 있었다. 이 글에서는 먼저 슬론이 방대한 컬렉션을 모으는 과정을 재구성하면서 영국의 초기 제국주의와 본초학, 수집과의 관계를 밝혔다. 대영박물관에 전시되었던 인삼 표본 4개--Radix Ginseng or ninzin from China (VS 532)/ Ginseng. Id (VS 8,198)/ Roots & seeds of Gin-seng (VS 7,825)/ Ginseng root (VS 12,140)--의 출처와 입수 경로를 추적하였다. 이들은 각각 중국, 일본, 북아메리카에서 온 것으로, 각각 고려인삼, 죽절삼, 화기삼으로 추정된다. 당시의 영향력 있던 인쇄물을 통해 인삼이 대영박물관의 주목할 만한 전시품으로 대중들에게 홍보되었으며, 영국에서는 화기삼이 고려인삼에 비해 열등한 평가를 받고 있었다.

함정 전투체계 모의훈련 시나리오 3차원 전시방안 연구 (A study on the three-dimensional display of onboard training for Naval Combat System.)

  • 이수훈;안진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2-65
    • /
    • 2022
  • NCS(Naval Combat System)는 함정에 설치된 이기종의 센서와 무기를 연동하여 표적탐지, 추적, 위협분석, 교전 및 명중평가에 이르기까지 함정의 전투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시스템이다. 함정전투체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승조원들의 함정전투체계에 대한 운용 숙달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 함정전투체계에서는 모의훈련 기능을 제공하며, 승조원들은 함상에서 체계 운용 숙달 및 팀워크 훈련을 수행한다. 훈련을 통제하는 훈련교관은 높은 수준의 훈련 통제 및 감시가 가능해야 하며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훈련교관의 훈련상황 가시화를 위한 3차원 전시 방안을 연구한다.

  • PDF

컨벤션 광고속성평가에 따른 세분집단별 컨벤션 광고 만족도 및 참가행동의도 연구 (A Study of Differences of Convention Advertising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Behavior Based on Segmented Groups of Convention Advertising Attributes)

  • 유현경;김은진;윤유식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21권
    • /
    • pp.299-311
    • /
    • 2015
  •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융복합 컨벤션 산업의 광고속성에 대한 응답자들의 태도를 중심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각 군집별 컨벤션광고 만족도 및 컨벤션 참가행동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고자 실증분석을 실시하는데 있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 및 범위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선행연구를 통하여 컨벤션 광고 속성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컨벤션 참가자들의 태도를 컨벤션 광고 개별성, 상호작용성, 정보성의 요인을 도출하여 이를 기준으로 동일한 집단을 세분화하였다. 도출된 요인을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컨벤션광고 속성에 따라 부정적, 중도적, 긍정적 집단으로 세분화되었고, 각 군집별 만족도 및 참가행동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컨벤션 광고에 대하여 긍정적인 집단은 만족도 및 충성도가 높게 나타난 반면, 부정적인 집단은 만족도가 낮게 나타난 것을 보면, 컨벤션 광고의 속성에 대한 중요성을 시사할 수 있다. 따라서 컨벤션 광고에 대하여 가능한 참가자들의 개별적인 요구사항들에 맞추어 다양한 광고가 필요하며, 필요한 사항을 충분히 제시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컨벤션 광고에 대한 상호작용이 매우 중요한 사항임으로 컨벤션 광고를 접하는 사람들에 대한 상호소통을 할 수 있도록 기획해야 할 것이다.

지역축제 콘텐츠품질(CONTSQUAL) 척도 개발 (Development of Measurement Standard Scale for Festival contents quality (CONTSQUAL))

  • 맹해영;장형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742-760
    • /
    • 2012
  •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축제품질 척도 개발 가운데 축제의 콘텐츠품질 척도를 개발하여 결과변수인 축제몰입, 축제만족,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축제 콘텐츠품질의 구성요인은 의례성, 체험성, 전시성, 판매성, 교육성, 경연성, 공연성이다. 척도의 개발의 목적은 우리나라 지역축제가 다양한 축제콘텐츠로 구성되어 있고 콘텐츠마다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이를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여 고객지향적인 축제콘텐츠를 기획하고 연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척도를 개발하기 위한 분석의 틀로써 2012년 문화관광축제로 선정된 45개 축제 홈페이지에 게시된 콘텐츠 분류명, 행사내용, 행사일정 등을 통찰함으로써 7개의 구성요인을 도출하였고 후속적 문헌연구를 통해 축제 콘텐츠품질 척도를 개발하였고 개발된 척도를 실증분석하기 위해 "금산인삼축제"에 참여한 방문객을 표본 집단으로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축제 콘텐츠품질 구성요인 가운데 체험성, 전시성, 판매성, 경연성, 공연성이 축제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축제몰입은 축제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축제만족 역시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들과 달리 우리나라 지역축제의 콘텐츠를 평가하기 위한 척도를 처음으로 개발하여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로써 축제콘텐츠를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세분화된 축제품질 측정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폐탄광 갱도를 활용한 갱도전시장의 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the Stability for Underground Tourist Cavern in an Abandoned Coal Mine)

  • 한공창;전양수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5권6호
    • /
    • pp.425-43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폐탄광 갱도를 이용한 갱도 전시장의 안정성 평가를 위해서 다양한 조사와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 광산의 일부 갱도는 1999년 폐광 후 관광용의 갱도전시장으로 이용되어지고 있다. 갱도전시장 주 갱도의 규격은 폭이 약 5 m에 높이가 3 m이며 갱도 연장이 230 m이다. 갱도를 구성하고 있는 암반은 흑색 셰일 및 석탄층 그리고 석회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갱도조사결과 갱도는 두 개의 단층과 교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정밀 지질 및 암반조사를 통해 경험적 방법에 의한 안정성평가를 실시하고 보강의 필요성 등을 결정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수치해석을 실시하여 갱도 주변 암반의 전반적인 안정성과 보강(안)의 적절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갱도전시장 내부 주요지점의 RMR값과 Q값은 보통(Fair)과 양호(good)의 등급을 나타내었다. Q값을 토대로 산정한 각 지점의 보강안은 무지보나 systematic toiling으로 나타났다. 2차원 전산해석결과 전반적으로 갱도전시장의 안정성은 확보된 것으로 판단되나 일부 불안정 블록에 대한 추가 보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순차 연관 규칙을 이용한 개인화된 전시 부스 추천 방법 (Personalized Exhibition Booth Recommendation Methodology Using Sequential Association Rule)

  • 문현실;정민규;김재경;김혜경
    • 지능정보연구
    • /
    • 제16권4호
    • /
    • pp.195-211
    • /
    • 2010
  • 전시회는 전시업체가 새로운 상품이나 서비스를 관람객에게 알리기 위해 개최되는 것으로 효과적인 마케팅 수단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전시회를 방문하는 다양한 관람객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유비쿼터스 기술이 전시회에 응용되고 있지만 관람객이 사전에 요청한 정보만을 제공함으로 개별 관람객의 선호가 반영되지 않아 관람객의 니즈를 충족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개인의 선호에 부합하는 부스를 추천하는 추천 시스템의 이용이 가능하다. 추천시스템은 전시 환경에서 관람객의 선호를 추론하여 선호에 부합하는 방문 부스를 추천하여 관람객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다. 그러나 추천 시스템 중 가장 성공적으로 평가 받는 기존의 협업 필터링은 관람객의 부스 방문 순서에 나타나는 선호를 반영하지 않아 동적으로 변화하는 선호를 가지는 관람객으로 구성된 전시 환경의 추천 시스템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람객의 방문 순서를 고려하는 기법 중 순차 연관 규칙을 이용하여 관람객의 선호에 부합하는 부스를 추천하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의 성과 측정을 위해 실제 전시회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기존의 협업 필터링과 비교한 결과 전체적으로 추천의 성과가 향상되어 향후 전시 환경에서의 부스 추천시스템에 적용하여 관람객의 니즈를 충족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건설업에 있어서 사내기술이전 영향요인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Factors of Effective Intra-Firm Technology Transfer in Construction Industry)

  • 김성운;윤세종;정종남
    • 기술경영경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기술경영경제학회 1996년도 제10회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99-117
    • /
    • 1996
  • 본 논문은 기업내의 수직적 기술이전 문제를 다룬 사례연구로서 한 건설업체의 연구소에서 이루어진 기술개발 결과가 사업부문의 현장에 이전 활용되는 과정에서 기술이전 정도가 어떤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분석하였다. 사례분석 결과 D건설의 경우 기술이전팀 및 프로젝트 추진자(Project Champion)의 존재여부가 기술이전의 성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고경영자의 적극적인 지원도 성공적인 기술이전에 강한 긍정적인 요인이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당초 사례분석의 틀에서 고려하지 않았던 기술인지도나 기술수용자의 시장평가가 기술수용 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내기술이전시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기술이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전시 비행장 항공작전능력 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artime Evaluation Model of Airfield by using Simulation)

  • 조관현;이상진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53-167
    • /
    • 2004
  • This study focuses on building the wartime air operation model to evaluate the airfield capability. There are some uncertainties in the process of air operation such as mission flying time, turn around time, mission damage or kill rate, weather condition, and so on. Airplanes, on the way to the airbase after completing mission flight, may have been in queue on the holding point due to the unusable condition of airfield. And then, they may sometimes need to go other airbases due to the shortage of fuel. Under those uncertainties, this model is to evaluate the airfield capability in the wartime air operation using simulation.

지상전시 - 2011 미래패키징 신기술 정부포상 (2011 KOREA STAR AWARDS)

  • (사)한국포장협회
    • 월간포장계
    • /
    • 통권218호
    • /
    • pp.102-113
    • /
    • 2011
  • 지식경제부가 주최하고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주관하는 "2011 미래패키징 신기술 정부포상" 수상작 및 유공자 심사결과가 발표됐다. "미래패키징 신기술 정부포상"은 미래지식산업인 패키징산업 종사자의 긍지와 자부심 함양의 계기를 실천하고, 패키징산업 종사자의 사기진작과 패키징산업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제정된 행사로, 패키징산업 기술인의 기술개발 의욕을 고취하고 패키징산업 기술성과 및 산업발전 기여도에 대한 정부포상을 실시함으로써 발전하고 있다. 특히 한국국제포장기자재전(KOREA PACK)과의 동시개최로 패키징산업 종사자간 정보교류 극대화 및 공동체 의식 함양으로 일체감을 조정하고 있다는 평가다. "2011 미래패키징 신기술 정부포상" 결과, 지식경제부장관상 4점 지식경제부장관표창 2점을 비롯해 주관기관장상과 후원기관장상 등을 선정, 포상의 영예가 돌아갔다. 시상식은 6월 14일 경기도 일산 KINTEX 그랜드볼룸에서 있을 예정이다. 본 고에서는 "2011 미래패키징 신기술 정부포상" 수상작들의 패키징 동향 및 유공자들의 공적 내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 PDF

스마트 전시환경의 전시회 성과평가를 위한 지표 개발 (Developing Performance Indicator for Smart-Exhibition)

  • 최재호;문현실;김재경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1-82
    • /
    • 2014
  • Exhibitions are important sales promotional method commonly used by the marketer of industrial products. Exhibition utilized as a means of effective marketing tools, company's interest and demand is rising. Especially in recent years, visitors' activity within the exhibition space can be monitored in real time by applying near-field sensing technology such as RFID, NFC, RQ code. Exhibition organizers are also applying the near-field sensing technology in order to attract the participating companies and visitors. With the introduction of near-field sensing technology, the exhibition has been a lot of changes occur in the exhibition environment. However absence of performance indicators to measure new exhibition environment which adopt ubiquitous technology, still the exhibition performance is not properly measured. In this study, we use the Delphi technique with the performance indicators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propose performance indicators for measuring achievement of exhibition in the smart-exhibition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