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문직 역량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3초

의학사서 역량 강화를 위한 국내외 의학도서관협회 지원 프로그램 비교 및 분석 - MLA 및 KMLA를 중심으로 - (Comparison and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Medical Library Association Support Programs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Medical Librarians: Focusing on MLA and KMLA)

  • 이혜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49-182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 의학사서 역량 강화를 위한 KMLA의 지원 프로그램 개선 방안을 제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전문직협회의 역할 조사 후, 공통된 역할 추출 및 이를 5개 영역으로 범주화한 후 MLA와 KMLA의 지원 프로그램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KMLA의 지원 프로그램 개선 방안으로 여섯 가지를 제언할 수 있다. 첫째, 의학사서를 공식적·지속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정책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계속)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영역에서 의학 분야에서 필요한 전문적인 영역의 교육적 지원이 필요하며 IRB 위원회 역할을 위한 교육도 필요하다. 셋째, 연구 및 출판 지원에 있어서 연구비 및 연수프로그램에 대한 다양한 지원이 요구된다. 넷째, 네트워크 및 협력 지원에 있어서 멘토링, 리더십·펠로우십 프로그램 지원이 필요하며 국내·외 파트너십에 대한 개선과 다양한 수상 지원도 계획도 필요하다. 다섯째, 전문자격증 및 각종 인증서 제도에 있어서 관련 분야의 학위 취득 지원, 다양한 강좌 지원을 통한 인증서 발급 등이 필요하다. 여섯째, 기부금 유치를 위한 KMLA의 적극적인 대내외적 홍보 및 활동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일 대학병원 간호사의 간호정보역량과 셀프 리더십의 상관성 (Relationship of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and Self-leadership among Hospital Nurses)

  • 김명희;채송화;김영숙;김명수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76-183
    • /
    • 2007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and self-leadership perceived by hospital nurs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variable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5 nurses who had worked in one university hospital in P city.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study tools were used: the Staggers Nursing Computer Experience Questionnaire and self-leadership scale. Data was analyzed using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The mean score of each item in informatics skill domain and informatics knowledge domain $2.93{\pm}.49$ and $3.40{\pm}.50$. The average score of self-leadership was $3.39{\pm}.53$. 'Self-leadership' was positively related with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Conclusion: This study prov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and self-leadership.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regular educational program which promotes the nurses' self-leadership as well as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in schools. And practical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must be planned continuously for informatics competency in hospitals.

  • PDF

보건소 방문간호사의 전문직 간호역량 (The Development of Home-Visiting Nurses' Professional Competencies)

  • 백희정;문지현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33-242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ofessional competencies of visiting nurses in public health centers. Methods: A methodological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visiting nurses' professional competency was conducted through the review of literature and construction of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competence. After reviewing the content validity of each question and confirming the items of the preliminary tool,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tool was verifi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internal reliability was confirmed. Results: After constructing 5 factors relating to the visiting nurse's professional competence, 25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ver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by experts. The result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professional competence of the visiting nurse was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health assessment and screening," "health teaching and counseling," "interprofessional communication", "program planning and implement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hese five factors accounted for 76.38% of the professional competencies of the visiting nurse. Conclusion: The professional competence of the visiting nurse is consistent with the aim of the visiting nursing project. Also our results will contribute to baseline data us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work of the visiting nurse.

종합병원 간호관리자의 간호관리역량 요구도 분석 (Need analysis for managerial competencies of nurse managers in general hospitals)

  • 정희경;문성미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2-95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needs for the managerial competencies of nurse managers in general hospital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203 nurse managers, 141 head nurses or unit managers, and 62 directors or team managers from 17 general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ith 42 nursing management competencies and 181 behavioral indicators. Participants rate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ach indicator. Data were analyzed using a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and locus for focus model. Results: In all 42 competencies, importance was rated significantly higher than performance. The head nurses or unit managers had high demands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performance management," and "information management," while the directors or team managers had high demands for "change management." Competencies in high demand in both groups were "development of nursing standards" and "self-management."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select priorities and prepare educational content when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to strengthen the nursing management competencies of general hospitals' nurse managers.

문화적 역량 비판 담론에 관한 사회철학적 분석 (Social Philosophical Analysis of Critical Discourses on the Cultural Competence)

  • 김기덕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3호
    • /
    • pp.239-260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비판적 사회복지 이론을 이론적 도구로 하여 문화적 역량 개념에 대한 비판담론을 분석하는 것이다. 부연하자면 다문화사회의 사회복지사라면 당연히 갖추어야 할 것으로 간주되어 왔던 다문화 역량 개념에 대한 비판담론들이 주장하는 내용을 명확히 하고 그 타당성을 체계적으로 평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역량에 대한 비판담론들이 급진적 비판 사회복지이론, 특히 푸코와 데리다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은 포스트모던 계열의 비판사회복지이론에 지적 기초를 두고 있음을 밝힌다. 비판담론들은 인식론적 측면에서 문화적 역량의 지식적 토대의 근거와 정당성을 문제시하는 동시에, 윤리적 측면에서는 문화적 사회복지실천이 가진 억압과 통제를 지적한다. 그 결과 문화적 역량이 별도의 실체로서 간주될 수 있는 것으로 보기 보다는 일반사회복지의 한 가지 태도로 간주하려 한다. 그러나 문화적 역량에 대한 비판담론들이 포스트모더니즘에 근거하고 있는 이상 이들이 가진 사회철학적 한계 역시 분명하다. 이들 담론들은 사실과 규범에 대한 인식적 구별을 하지 않으며, 전문직 관계의 억압을 과도하게 철폐하는 과정에서 도덕적 상대주의나 급진적 자유주의로 흐를 수 있고,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와의 권력적 제휴나 연합의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등의 실천적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 PDF

대구행복역량교육의 성과 분석: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Achievements of Daegu Happiness Competency Education with a Focus on Curriculum)

  • 박찬호;정일환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4호
    • /
    • pp.221-248
    • /
    • 2018
  • 본 연구는 21세기 핵심역량이 대두되면서 시작된 대구행복역량교육의 교육과정 편성 운영 측면에서 성과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교육과정 편성 운영의 측면에서 볼 때 학생, 학부모, 교원 교육전문직은 대구행복역량교육에 대하여 모두 중간 이상 수준의 인식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평균치를 비교하면 학생과 학부모는 큰 차이가 없었고 교원의 인식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았는데 이는 교원이 교육과정 편성 운영의 주체라는 점에서 이해 가능한 결과이다. 또한 학부모는 학교급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데 반해, 학생과 교원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예측과는 달리 학생과 교원 모두 학교급이 올라가면서 인식 수준이 낮아졌으며, 특목고 자율고와 특성화고에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대구행복역량교육이 2014년에 본격 시행되어 아직 초기라는 점과 함께 대학 입시나 취업으로 인한 부담으로 새로운 교육과정을 인식하고 받아들일 여지가 적었기 때문일 것으로 볼 수 있다. 앞으로 교육과정이 안착되면서 자연히 개선되겠으나 여기에서 대구행복역량교육의 안착을 위한 시사점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교육과정 편성 운영에 대한 평가를 CIPP 모형에 근거한 설문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상황, 투입, 과정, 산출로 나누어 평가한 결과, 학생과 학부모는 산출에 대해 매우 높은 평가를 내리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교원의 경우 투입에 대한 평가가 가장 높았다. 비록 학생과 학부모는 상황과 투입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지 않았으나 학생과 학부모의 산출평가 문항 평균값이 교원의 투입평가 문항 평균값과 유사하였다. 성과에 해당하는 산출평가만을 기준으로 한다면 교육의 대상인 학생들로부터 교육과정 편성 운영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는 점은 매우 의미 있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전문직 간 교육 평가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n interprofessional education evaluation tool)

  • 최혜원;임희정;김명철;임도선;황영선;정임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77-286
    • /
    • 2023
  • Objectives: In this study, we aimed to develop a systematic tool that can evaluate the effects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 by applying four core competencies (values/ethics for interprofessional practice, roles/responsibilities, interprofessional communication, and teams and teamwork) and an educational evaluation model to evaluate the learning, behavior of learners, and results step by step. Methods: Previous studies on IPE evaluation tools were analyzed, and an evaluation tool (draft) was developed by modifying questions suitable for evaluation according to the Kirkpatrick model's stages and core competencies. The evaluation tool was completed by conducting a Delphi survey twice with 4-6 experts. To analyze the Delphi survey, the content validity index (CVI) was calculated, and the reliability coefficient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used to measure reliability. Results: 29 questions on pre-education, consisting of learning and behavior stages, and 54 questions on post-education, consisting of reaction, learning, behavior, and results stages, were developed. The CVI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values were >0.8 and >0.6,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IPE evaluation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valuation of the educational level of IPE and the identification of points for improvement when applied to various educational settings.

간호대학생의 소명의식, 일 가치감 및 대인관계가 간호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urisng University Students' calling, value of work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 nursing leadership)

  • 오재우;장현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51-58
    • /
    • 2024
  • 본 연구는 4학년 간호대학생들의 간호리더십, 소명의식, 일가치감, 대인관계능력 정도를 확인하고 간호리더십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리더십 역량을 강화하는 프로그램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C시와 D시에 소재하는 간호대학생 4학년 18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고, 간호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소명의식(β=.185 p<.01), 일가치감(β=.580, p<.001), 대인관계능력(β=.108, p<.05)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설명력은 56.8%였다. 간호리더십 강화를 위해 전문직 지식과 간호술기 뿐만 아니라, 소명의식과 일가치감을 더하여 전문직으로서 지식과 소양을 갖추고 건강을 돌보는데 사회적 책임의식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 교육을 통한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인식 경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Experience of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Nursing Students after Simulation-based Education: Focused on finding from a focus group interview)

  • 이은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268-279
    • /
    • 2020
  • 본 연구는 한 학기 동안 시뮬레이션 교육과정을 이수한 간호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간호 전문직관 인식 경험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긍정적 간호 전문직관을 형성을 돕는 시뮬레이션 교과목 운영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2019년 6월부터 7월까지 서울시에 소재한 일개 간호대학에서 한 학기 동안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교과목에 참여한 4학년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 후, 자료질적내용분석 방법에 따라 의미있는 개념을 확인하고, 개념들의 비교하며 범주화하는 과정을 통하여 17개의 의미 범주와 6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 후 간호학생의 인식한 간호 전문직관은 '전문직임을 실감함', '인간 대상 전문직으로서의 윤리의식과 정서', '의사소통 능력의 함양', '문제해결을 위한 통합적 사고', '근거기반 지식체의 중요성', '자기 역량에 대한 성찰' 이었다. 연구의 결과는 간호 전문직관의 5개 영역인 전문직 자아개념, 사회적 인식, 간호의 전문성, 간호실무역할, 간호의 독자성을 반영하였다.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교육을 통하여 간호학생들에게 간호 전문직관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하여 향후 긍정적 간호 전문직관을 형성하기 위한 교과목의 수정과 적용이 적극적으로 시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간호교육에서 PBL(Problem-Based Learning) 수업의 적용 효과 (The Effects of Application of PBL(Problem-Based Learning) Class on Nursing Education)

  • 강지순;이현주;김주옥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460-1471
    • /
    • 2019
  •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PBL) 수업을 2018년 2학기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교과목에 적용한 후,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과 전문직 자아개념에 대한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단일군 전·후 설계를 활용한 원시실험 연구이다. G도에 소재한 간호대학생 59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문제중심학습(PBL) 수업은 전통식 강의 8주,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4주로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두군 간에 차이는 평균, 표준편차, Paired t-test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전(3.41±.40)보다 수업 후(3.71±.36)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4.39, p<.001). 문제해결능력은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전(3.36±.38)보다 수업 후(3.70±.59)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3.97, p<.001). 전문직 자아개념은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전(2.92±.28)보다 수업 후(3.22±.50)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4.84, p<.001). 따라서 문제중심학습(PBL)을 간호교육에 더욱 확대하여 적용한다면 간호대학생이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을 높이는데 효과적일 것이라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