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단성분

검색결과 316건 처리시간 0.033초

전단 유동중에 놓인 스테이터에 의한 유기속도 (Velocities Induced by Stator Arrays in a Class of Shear Flows)

  • 박의동
    • 대한조선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20
    • /
    • 1990
  • 선미 반류중에 놓인 스테이터에 의하여 유기되는 속도성분을 전단유동일 경우와 전단 유동이 아닌 경우에 대하여 다루었다. 스테이터 날개에 의한 속도 성분 계산에는 양력선 이론이 사용되었으며 전단성분은 반류성분이 반경의 로그 함수로 표시 가능한 선형의 평균 반류 분포에 대한 반경 방향의 기울기로 나타내었다. 그리고 기본이론은 점성이 없는 경우의 오일러 방정식에 기초를 두었다. 계산결과, 전단 유동의 영향은 허브에 가까울수록 커졌으며 반류의 불균일을 감소시키는데는 스테이터 날개에 피치를 분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 PDF

철근콘크리트 기둥에서 원형전단철근에 의한 전단강도 산정 (Evaluation of the Shear Strength Component by Circular Transverse Reinforcement in Reinforced Concrete Columns)

  • 하태훈;홍성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982-988
    • /
    • 2002
  • 철근콘크리트 기둥에서 원형 전단철근에 의한 전단강도 성분을 산정하는 기존의 기준식들은 일반적으로 그 강도를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그 이유는 불연속분포로 이루어진 철근의 배근을 단순한 연속분포로 가정하는 데에서 기인하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단면이 직사각형인 부재에 사용되는 설계식을 원형 단면에 그대로 적용함으로써 발생한다. 전단철근은 부재에 대각선균열이 발생하면서 그 역할이 시작된다고 할 수 있는데, 원형 단면은 직사각형 단면과는 달리 균열을 가로지르는 지점에 따라 전단력에 저항하는 성분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원형 전단철근에 대하여 대각선 균열의 시작점과 그 균열을 가로지르는 전단철근의 개수, 그리고 원형단면 상에서의 저항성분의 변화를 고려한 새로운 강도모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제안된 모델의 수학적인 해석에 따르면 균열을 가로지르는 철근의 개수가 적을수록 균열의 시작점 및 균열의 수직투영거리가 철근의 배근 간격과 이루는 배율이 철근의 전단저항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불연속 모델을 설계에 이용될 수 있는 식으로 단순화시키기 위해 선형회귀법이 이용되었으며, 이렇게 유도된 설계방정식은 수학적 정해의 하한계 값에 부합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저항 성분 분해 (Decomposition of Shear Resistance Components in Reinforced Concrete Beams)

  • 이창신;신근옥;김우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819-825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휨과 전단에 지배받는 철근콘크리트 보에서 아치작용에 의한 전단기여성분을 평가하기 위한 새로운 해석 모델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새로운 모델은 전단력은 휨모멘트의 변화율이라는 관계식을 기초로, 분산트러스 이상화 기법을 이용하여 횡단면에서 베르누이(Bernoulli) 휨 평면으로부터 전단변형적합조건을 새롭게 유도하였으며, MCFT와 분산트러스 이상화를 통해 전단흐름에 의한 복부전단요소의 전단곡률을 일치시키는 전단변형적합조건을 수립하였다. 전단변형적합조건을 이용하면, 보 전단거동은 타이드아치작용과 보작용의 두 성분으로 수치적 분해 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 접근법의 유효성은 기존 문헌에 수록된 활용 가능한 실험 자료를 통해 검증하였다. 수행 결과 실제 측정 전단강도와 비교하였을 때 복부가 분담하는 전단강도는 훨씬 일정하며, 역학적 복부철근비와 훌륭한 선형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운 해석 모델은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전단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각 변수나 메커니즘을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모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전기장 싸이클 수에 따른 MC성분 ER유체의 기계적성질 (Mechanical Properties for Methyl Cellulose(MC) Ingredient ER Fluids According to the Numbers of the Electrical Field Cycles)

  • 김옥삼;박우철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7권4호
    • /
    • pp.296-301
    • /
    • 2001
  • 기존의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자부품에 기계적 운동요소를 포함하여 비선형성을 내포하고 있으나, MC 성분의 ER유체를 이용하면, 유동체의 통과부분을 전기장 제어를 통하여 솔레노이드 밸브 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 메카니즘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유기성인 MC성분 ER유체를 유압시스템에 솔레노이드 밸브 역할에 적용하기 위해, 부과하는 직류 전기장의 사이클 수에 따른 기계적특성에 대한 평가는 다음과 같다. MC성분 ER유체의 전단속도비에 대한 전단응력 분포변화는 2.0kV/mm까지 전기장을 인가했을 경우, 횡축의 전단속도가 증가하여도 종축의 전단응력은 거의 변하지 않았다. 60만 사이클을 반복한 후 ITMC25의 전단응력 실험결과, 2.0kV/mm 이상 전기량을 인가하면 2차원적인 곡선의 형태를 형성하지만 표준편차의 평가치가 오차한계 이내이므로 직선으로 판단하여도 무리가 없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구리 전극으로 전기장을 부과한 경우 MC 성분의 ER유체는 0.1~$0.3{\mu}m$까지의 표면거칠기를 나타냈고, 알루미늄 전극을 사용한 경우는 전기장 부과 초기에 $0.3{\mu}m$의 표면거칠기가 $0.2{\mu}m$로 감소하였으나 40만 사이클의 전기장 부과 이후는 약간의 요철변화가 있었다.(이 논문의 결론 부분임)

  • PDF

2방향 지표면 속도계를 활용한 SPT-업홀 기법 개선 연구 (Modification of SPT-Uphole Method using Two Component Surface Geophones)

  • 방은석;김종태;김동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2C호
    • /
    • pp.109-120
    • /
    • 2006
  • SPT-업홀 기법은 표준관입시험시 발생하는 지중의 타격 에너지를 가진원으로 이용하고 지표면에 설치된 감지기로 신호를 획득, 지반의 전단파 속도 주상도를 도출하는 기법이다. 기존의 SPT-업홀 기법은 수직 성분의 지표면 속도계만을 이용하였으므로 SPT(Standard Penetration Test) 가진의 특성상 발생하는 압축파 성분 등의 간섭 및 가진 방향과 감진 방향의 불일치 문제 등으로 인하여 전단파 성분의 도달시간 정보를 정확히 획득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SPT 가진에 의한 지표면에서의 입자 운동을 수치해석을 통하여 고찰하였으며 신뢰성 있는 도달시간 정보 획득을 위한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비교 연구 결과 SPT-업홀 기법에서 도달시간 정보 획득 방법은 수직 성분과 방사 방향의 수평 성분인 2방향 성분을 동시에 활용하여 전단파 성분의 도달을 명확히 하고 그 전단파 성분의 첫 극대점을 이용하는 방안이 가장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최종적으로 실제 현장에서 2방향 지표면 속도계를 이용하여 개선된 SPT-업홀 기법을 수행하였으며 2방향 감지기 사용의 타당성에 대해 검증하였다.

AASHTO LRFD 전단설계방법의 고찰 (The Technical Review of AASHTO LRFD Shear Design)

  • 정제평;김우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201-204
    • /
    • 2008
  • AASHTO LRFD의 단면설계법은 일반적인 교량 거더, 슬래브와 일반적인 보이론의 가정이 유효한 기타 부재영역에 적용이 가능하다. 콘크리트 부재의 전단저항은 콘크리트의 인장응력에 기초한 콘크리트전단성분 $V_c$와 횡방향 철근의 인장응력에 기반한 전단철근의 전단성분 $V_s$로 구분할 수 있다. 스트레싱과 비스트레싱 부재 모두 $V_c$$V_s$ 항은 작용하중과 단면 성질에 근거한 ${\beta}$${\theta}$의 항으로 적용된다. ${\beta}$가 2이고 ${\theta}$가 45$^{\circ}$ 일 경우, 전단강도는 전단저항을 평가하는 전통적 방법과 근본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최근 대규모 실험결과, 이러한 전통적 방법이 횡방향철근을 포함하지 않는 대형부재에서 심각히 불안전하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AASHTO LRFD의 전단설계기준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고찰한 것이다.

  • PDF

냉장우육의 숙성도 지표로 활용하기 위한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for Utilization of Aging Index of Cold Storage Beef Tenderloin)

  • 정인철;김미숙;신완철;문윤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47-653
    • /
    • 1997
  • 도축 후 2일간 냉장한 한우(♀, 380kg)와 홀스타인(♀, 490kg)의 안심부위를 이용하여 단기숙성용은 함기포장하여 14일간, 장기 숙성용은 진공포장하여 28일 동안 3$^{\circ}C$에서 냉장숙성하면서 경시적으로 전단력가, 근원섬유의 Mg-ATPase활성, 근원섬유의 소편화도, 근원섬유의 소편화율, 그리고 30,000 dalton(30KD)성분의 출현정도에 대하여 경시적으로 실험하여 숙성도 지표로 적당한 지를 검토하였다. 우육안심을 함기포장하여 3$^{\circ}C$에서 14일간 숙성할 때의 숙성도 지표로 적합한 물리화학적 성질로서는 전단력가(r=-0.893)>근원섬유 소편화율(r= 0.863)〉30KD성분의 출현(r=0.853)>근원섬유 소편화도 (r=0.814)>근원섬유 Mg-ATPase활성 (r=0.804)의 순으로 유효하였다. 그리고 진공포장하여 28일간 숙성할 때는 근원섬유 소편화율(r=0.880)〉30KD성분의 출현(r=0.836)의 순이었다. 함기포장육의 경우 숙성도 지표들간의 상관관계는 근원섬유의 소편화율이 전단력가, Mg-ATPase활성, 근원섬유 소편화도, 30KD성분의 출현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진공포장육은 근원섬유 소편화율이 30KD성분의 출현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

원형분사제트 조절을 통한 유동특성 및 제트 벡터링의 효과 고찰 (Experimental Studies on Flow Characteristics and Thrust Vectoring of Controlled Axisymmetric Jets)

  • 조형희;이창호;김영석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1997년도 제8회 학술강연회논문집
    • /
    • pp.63-72
    • /
    • 1997
  • 본 논문은 분사제트 주위에 형성되는 와류를 조절하여 제트를 제어하기 위하여 유동가시화, 속도분포 및 난류성분을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와류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트노즐 주위에 환형관을 설치하여 환형관으로부터 2차제트를 분사 또는 흡입함으로써 제트주위에 형성되는 전단류를 변화시켰다. 2차제트 분사시 주제트 주위에 형성되는 와류의 발달을 억제함으로써 제트 포텐셜코어의 길이가 아주 길어지는 제트유동을 얻을 수 있었다. 환형관으로부터 주제트주위의 유체를 흡입하는 경우 제트주위의 전단류가 흡입비 R=1.3∼l.65에서 대류불안정성에서 절대불안정성으로 바뀜으로써 형성된 와류가 하류에서 제트중심부까지 발전,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여 더 긴포텐셜코어와 중심에서 낮은 난류강도를 얻었다. 위의 결과는 환형관 주위에 부착한 깃의 높이 변화에 따라서 변화하였는데, 이것은 깃이 환형관을 통한 흡입유동의 유로역할을 함으로써 제트밖으로부터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분사제트 벡터링을 위하여 제트노즐 주위의 환형관을 이등분하여 한쪽으로만 제트주위의 유동을 흡입함으로써 제트주위에 다른 전단류를 형성함과 동시에 Coanda효과를 이용하여 분사제트를 편향시켰다. 편향되는 정도 및 난류성분은 홉입속도 비에 따라서 크게 바뀌었다.

  • PDF

일차전단변형이론을 이용한 복합재료 적층평판의 효율적 열응력 해석 (Efficient Thermal Stress Analysis of Laminated Composite Plates using Enhanced First-order Shear Deformation Theory)

  • 한장우;김준식;조맹효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505-51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일차전단변형 평판 이론(FSDT)의 개선을 통한 복합재료 적층평판의 효율적 열응력 해석 기법을 제안한다. 횡방향 응력 성분에 대해서만 변분을 취하는 혼합변분이론(Mixed variational theorem)을 이용하여 횡방향 변형에너지를 개선하였다. 가정된 횡방향 전단응력 성분들은 효율적 고차이론으로부터 구하였으며, 면내 변위 성분들은 일차적층평판 이론의 변위장을 사용하였다. 또한, 열응력 해석에 있어서 횡방향 수직 변형을 효과적으로 고려하기 위해서 횡방향 수직 변위를 두께방향에 대하여 포물선으로 가정하였다. 이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전단변형 에너지를 본 논문에서는 횡방향 수직 변형이 고려된 개선된 일차전단변형이론(EFSDTM_TN)이라고 명명하였다. 제안된 EFSDTM_TN은 복합재료 적층평판의 열탄성 거동을 해석함에 있어서 횡방향 수직 변형이 고려된 일차전단변형 평판 이론(FSDT_TN)과 비슷한 수준의 계산만을 필요로 하며, 동시에 후처리 과정을 통하여 열변형 및 열응력의 두께방향 분포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계산된 결과는 FSDT_TN, 3차원 탄성해 등의 결과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인공용승구조물 설치에 의한 유동변화(II) (Variation of Current by the Building of Artificial Upwelling Structure(II))

  • 황석범;김동선;배상완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9-14
    • /
    • 2007
  • 한국 남해안 거제도 앞바다에 구축된 인공용승구조물로 인하여 발생하는 유동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ADCP(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를 이용한 정선관측을 2003년 하계 및 추계에 실시하였다. 관측 결과 하계에는 수심 약 $30{\sim}40$ m를 기준으로 상층과 하층의 유동분포가 상이한 경계수심이 존재하였으며, 추계에는 이러한 현상이 3층 구조로 나타났다. 또한 연직유동성분은 수심과 지역에 따라 상승류와 하강류가 번갈아 분포하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관측범위를 확장하였을 때도 유사한 유동분포를 보이고 있다. 한편 ADCP의 수평유동성분을 이용하여 계산된 연직전단(vertical shear) 및 상대와도(relative vorticity)는 상승류가 발생하는 지역에서 연직전단은 큰 값을 나타내었고, 상대와도는 +값으로 상승류의 방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동성분의 상승류 분포역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