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저염식이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2초

간호대학생의 교내 저염식이 캠페인 참여 경험 (Experience of Nursing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Low-Salt Diet Campaign)

  • 김수이;우상준;김은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361-36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교내 저염식이 캠페인 참여 경험이 간호대학생에게 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자고 하는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N시에 위치한 D대학교에서 진행한 교내 저염식이 캠페인에 참여한 간호학과 2~3학년 학생 36명 중 32명이다. 연구분석방법은 원자료 중 의미있는 단어 별로 고유번호 부여하여 요인 확정하고 1차, 2차, 3차 영역으로 분류한 후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하였다. 대상자의 교내 저염식이 캠페인 참여 후 경험은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연구결과를 기초하여 간호대학생의 참여 학습의 교육적 효과 및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사상체질식이 적용이 본태성 고혈압 환자의 혈압, 비만도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효과 - 유산소 운동과 저염식이 병용환자를 대상으로 - (The Effects of Sasang Constitutional Diet for Essential Hypertension on Blood Pressure, Fat, and Serum Lipid - on the subjects with aerobic exercise and low salt diet at the same time -)

  • 전은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73-683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aSang constitutional diet for essential hypertension on blood pressure, fat, and serum lipid on the subjects with aerobic exercise and low salt diet at the same time. Metho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time-series design was us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aerobic exercise and SaSang constitutional diet were taught by researcher at health center. Test for hypothesis was done by repeated measured ANOVA. Result: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 in systolic, diastolic, and MAP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over three different times.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 in body weight, BMI, and body composition over three different tim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nd interaction by groups or over time.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 in T/G and cholesterol over three different tim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G, HDL, LDL, and total cholesterol between groups and interaction by groups or over time. Conclusion: Findings indicat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evelop nursing strategies for the regulation of the blood pressure as a means of alternative- complementary nursing intervention.

병원식 중 고혈압 환자를 위한 저염식내의 무기질 다량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ineral Content of Low Sodium Diet for hypertensive Patients in Hospital)

  • 김향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5권1호
    • /
    • pp.22-31
    • /
    • 1992
  • 병원식 중 고혈압 환자를 위한 저염식 내의 고혈압에 영향을 끼치는 식이성 요인인 Na, K, Mg, Ca, Mg을 측정하고, 식이 성분표를 이용하여 무기성분을 계산한 다른보고와 비교하여 실제 함량을 파악하고, 저염식과 일반식을 비교하여 공급량의 실태를 조사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고혈압 환자를 위한 저염식 식단 작성시의 기준을 구하고 기존 자료의 실제 활용면에 기초가 되며, 고혈압 환자의 치료와 예방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대구직할시 C종합병원에서 1990년 6월 26일에서 28일 사이에 일반식과 저염식 각각 3일분을 채취하여 식이내 Na, K, Mg, Ca, Mg의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그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일 열량 섭취랑은 일반식과 저염식 모두 2300kcal를 기준으로 하였다. 2) NA의 1일 섭취량은 일반식은 3580.3mg, 저염식은 2510.0mg이다. 3) K의 1일 섭취량은 일반식은 676.1mg, 저염식은 2510.0mg이다. 3) K의 1일 섭취량은 일반식은 676.1mg, 저염식은 1132.9mg이다. 일반식과 저염식 모두 미국인 정상인을 위한 최저요구량에 미달되었고, Na/K의 섭취비도 1에 가깝게 낮춰야 하므로 K의 섭취를 증가시켜야 고혈압 환자의 치료와 예방에 효과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4) Ca의 1일 섭취량은 일반식은 662.9mg, 저염식은 605.4mg이다. 일반식과 저염식 모두 정상인을 위한 권장량에 가깝고 고혈압에는 Ca섭취를 증가시켜야 하므로 유제품의 섭취가 증가되어야 할것이다. 5) Mg의 1일 섭취량은 일반식은 443.1mg, 저염식은 278.7mg이다. 일반식은 미국인 권장량 보다 높고 저염식은 권장량에 가깝다. 고혈압에는 Mg의 섭취를 증가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 PDF

저염식이를 이용한 cyclosporine 신독성에서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의 영향 (The Effect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on Chronic Cyclosporine Nephropathy in Salt Depleted Rats)

  • 이은주;이은실;하정희;김용진;박용훈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4권2호
    • /
    • pp.127-135
    • /
    • 2000
  • 목 적 : Cyclosporine(CsA)는 면역 억제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가장 중요한 부작용인 신독성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다. 이에 저염식이를 한 쥐에서 유발되는 만성 CsA 신증에서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억제제(ACEI)가 미치는 영향을 검색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흰 쥐를 대상으로 하여 표준식이(NSD), 저염식이(LSD), NSD+CsA. LSD+CsA, NSD+CsA+ACEI, LSD+CsA+ACEI를 1-6군으로 분류하여 공급하였다. 6주 후 혈중 CsA농도, 혈청 sodium, potassium, GFR을 측정하였고, 신장의 조직검사를 시행하였다. 성 적 : 혈중 CsA농도와 sodium치는 각 군간에 차이가 없었고 potassium치는 CsA 단독 투여시에는 식이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CsA와 ACEI를 병용 투여시에는 NSD군에 비해서 LSD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5). 사구체 여과율은 CsA만 투여한 경우나 CsA와 ACEI를 병용투여한 경우에서 NSD군에 비해 LSD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NSD를 시행한 경우에서는 CsA만 투여한 경우보다 ACEI를 병용투여했을 때 GFR이 더 감소하였다 (P<0.05). 조직학적 소견은 CsA투여에 의한 근위부 세뇨관 위축, 간질의 섬유화와 PAS염색 양성인 과립들이 출현하였고 이는 NSD군보다 LSD군에서 더 저명하였으며 ACEI를 병용시에도 LSD군에서 이러한 변화가 더 저명하게 관찰되었으나 ACEI 투여 전과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염분 부족은 renin-angiotensin system을 활성화해서 CsA 신증을 더욱 가중시키며, ACEI는 LSD로 유발된 CsA 신증에서 신기능의 화학적 지표와 조직학적으로 더욱 악화시컸다. 이 결과로 LSD로 인해 더욱 조장될 수 있는 간접적인 신허혈 상태에서는 ACEI는 신관류를 개선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신독성이 더욱 악화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종균이 첨가된 저염김치의 발효온도 및 소금 농도에 따른 발효 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Low-Salt Kimchi with Starters on Fermentation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 문성원;박선현;강병선;이명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785-79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김치의 소금 함량을 낮추기 위해 유기산과 젖산 그리고 종균을 첨가하고 과일을 첨가하여 김치의 저염화와 동시에 미각증진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저염김치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소금 농도와 발효온도를 달리하였을 때 저염김치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저염김치에 대한 이화학분석, 미생물학 분석, 그리고 관능적 특성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저염김치의 pH 및 산도 변화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온도가 높을수록 변화가 빠르게 나타났고, pH는 점차 감소하였으며, 산도는 증가하였는데, 특히 소금 농도가 낮을수록 pH가 낮았고, 산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저염김치의 염도 변화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작은 변화를 나타내었으나, 유의성 있는 증감을 나타내지 않았다. 환원당의 경우, 모든 처리구에서 비슷한 비율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직강도의 경우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종균 첨가 여부 및 종류에 따라서 차이가 났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같은 소금 농도에서 저장온도에 따른 조직감 차이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저염김치의 미생물 결과 총균수의 경우, 저장기간 동안 농도와 균 첨가와 관계없이 총균이 증식함을 알 수 있었다. 저염김치의 관능평가 결과, 냄새, 짠맛과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이형발효 종균을 첨가한 김치의 관능결과가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균과 유기산을 첨가하여 소금 함량을 낮춘 저염김치를 개발하였고, 저장온도에 따라 발효하는 동안 이화학, 미생물 그리고 관능적인 변화를 통해 적숙기를 파악하였다. 이 연구는 건강한 일반인, 당뇨와 고혈압 질환이 있는 환자들의 식이요법에 도움이 될 것이다.

장기간 고염 섭취한 SHR 고혈압 쥐에서, 급성 혈장량 증가에 대한 Atrial Natriuretic Peptide, Aldosterone 및 Renin 분비 반응의 비교 (Dietary Sodium Effects on Responses of Atrial Natriuretic Peptide, Aldosterone and Renin Release to Acute Volume Expansion in SHR)

  • 김애라;이원정;주영은;김선희;조경우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3권2호
    • /
    • pp.253-261
    • /
    • 1989
  • 장기적으로 소금량을 다르게 섭취시킴에 따라서, 체내의 Na 대사에 관여하는 호르몬인 aldosterone, atrial natriuretic peptide (ANP) 및 renin 분비와 신장의 배설 반응에 나타나는 변화를 정상 혈압쥐 Wistar와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SHR)에서 비교하고자 실험하였다. 생후 7주의 숫쥐인 Wistar와 SHR에게 저염과 고염 식이 (각각 2, 25 mmol Na/100 g diet)를 6주간 먹였다. 그 후 ether 마취하에서 대퇴 동맥과 정맥 및 방광에 관을 삽입한 후, restraining cage에 넣었다. 수술회복 후 안정시 뇨와 혈액을 채취한 후, 0.9% saline을 30분동안 체중의 3%되게 정맥주입(혈장량 증가)하고 뇨와 혈액을 채취하였다. 혈장의 호르몬을 방사면역법으로 측정하였다. Wistar와 SHR의 저염, 고염 식이군의 성장률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Wistar 저염과 고염군의 평균 동맥혈압은 각각 113과 110 mmHg로 차이가 없었으며, SHR의 동맥압은 141과 149mmHg로 고염군이 높았다. 저염식이군에서 혈장 aldosterone농도는 고염군보다 월등히 높았고, ANP 농도는 차이가 없었으며, renin은 고염군보다 낮았다. 혈장량 증가 이후 혈장 aldosterone은 모든 군에서 $30{\sim}40%$정도 감소하였고, renin은 $30{\sim}60%$정도 감소하였다. 혈장량 증가 이후 ANP는 증가하였는데 고염군에서의 증가도가 저염군에서보다 월등히 높았다. 혈장량 증가 이전의 Wistar군의 혈장 aldosterone과 renin의 대조치 값은 SHR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ANP 농도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혈장량 증가 이후의 Wistar와 SHR의 aldosterone과 renin의 감소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ANP의 증가도는 Wistar가 SHR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호르몬들 중에서 혈장 aldosterone과 renin사이에는 양의 대수함수 관계가 있으며, 기울기는 고염군이 저염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혈장량 증가 이후에 나타나는 뇨량과 소금 배설률의 증가 정도는 고염군과 저염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SHR이 Wistar보다 더 심한 이뇨와 Na 배설항진 반응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소금 섭취량에 따라서 aldosterone, ANP 및 renin의 분비 조절이 다르며, 정상 혈압과 고혈압쥐 사이에서도 차이가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 PDF

노인 고혈압 환자의 저염식이 이행, 나트륨 섭취 및 짠 맛에 대한 기호도 (Compliance with a Low-Salt Diet, Sodium Intake, and Preferred Salty Taste in the Hypertensive Elderly)

  • 이영희;김현경;권경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11-322
    • /
    • 201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ompliance to a low-salt diet, sodium intake, and preferred salty taste in elderly patients with hypertension.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105 elderly patients with hypertension living in a rural area. The compliance with a low-salt diet, sodium intake, and preferred salty taste, blood pressure, body mass index, and waist circumference were measured, and compared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levels of blood pressure.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t-test, and ANOVA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compliance with a low-salt diet was marginally elevated. Sodium intake was relatively high and the main sources were seasonings and vegetables. The participants tended to prefer high levels of salt. Sodium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the hypertensive individuals (stage I and II) compared to prehypertensive subjects on a normal maintenance diet. Sodium intake from vegetables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Nursing intervention for hypertensive elderly patients should include strategies to decrease sodium intake.

임신중독증(姙娠中毒症)의 식이(食餌)와 혈청중(血淸中)의 나트륨, 칼륨함량(含量)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Sodium, Patassium Content in Diet and of Blood Serum of Toxemic Pregnant Women)

  • 김미경;우순임;전세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5-30
    • /
    • 1982
  • 임신중독증 환자의 식이와 혈청중의 전해질과의 관계를 살펴 보고저 환자의 식단과 혈청중의sodium, potassium, chlorine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1) 환자의 혈청에서 측정된 나트륨 함량은 평균 $147.2{\pm}11.0mEq/l(338.5mg/dl)$로 한국 정상인의 평균치 140mEq/l(322mg/dl)보다 7.2mEq/l(16.5mg/dl)가 높았다. (2) 염소의 함량도 평균 $113.4{\pm}5.6mEq/l(402.5mg/dl)$로서 정상인의 평균치인 103.5mEq/l(365.6mg/dl)와 비교할 때 9.9mEq/l(36.9mg/dl)의 차이를 보여 임신중독증 환자는 정상인보다 혈청중 나트륨과 염소의 함량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칼륨 함량은 평균 $4.59{\pm}0.7mEq/l(17.9mg/dl)$로서 정상인의 칼륨 평균치인 4.2mEq/l(16.3mg/dl)보다 0.39mEq/l(1.5mg/dl)의 차이를 보여 정상인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임신 중독증 환자의 식단에서 검출된 식염의 함량은 하루에 평균 $20.84{\pm}2.1g$으로서 정상인의하루 섭취량인 19g보다 1.84g을 더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저염식이를 하고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6개월간의 저염식이 여자 대학생의 짠맛에 대한 인지와 기호, 혈압 및 뇨 나트륨 배설량에 미친 영향 (Effect of a 6-month Low Sodium Diet on the Salt Taste Perception and Pleasantness, Blood Pressure and the Urinary Sodium Excret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 장순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3권5호
    • /
    • pp.433-442
    • /
    • 2010
  • 본 연구는 여자대학생을 대상으로 장기간의 자율적 저염식 실시가 짠 맛에 대한 인지와 기호에 영향을 미쳐 나트륨 섭취나 혈압에 변화를 가져 올 수 있는지를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14명의 실험군 대상자들은 나트륨 관련 영양교육과 정보를 제공받아 저염식을 하도록 지시 받았고 10명의 대상자는 평상시의 식생활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짠 맛의 인지와 기호는 9점 척도의 관능검사로 평가하였고 뇨 나트륨 배설량과 최적 염미 나트륨 정량 분석하였으며 혈압을 측정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연구 시작시의 실험군과 대조군은 나트륨 관련 식행동, 신체 계측치, 혈압, 24시간 회상법에 의한 나트륨 섭취량, 6단계의 염분용액에 대한 짠 맛 인지나 기호에서 차이가 없었다. 2) 6개월의 저염식 실시 후 실험군 대상자들은 0.5% 이하 염분 용액에서 짠 맛 인지도가 높아졌고 대조군은 낮아져 저염식 실시로 낮은 농도의 염분에 적응한 듯하나 연구시작과 종료시의 paired t-test에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기호도는 시작 시에는 두 군 모두 0.5% 염분 용액을 가장 선호했고 연구 종료시 대조군은 0.75%와 0.5% 염분 용액에 비슷한 기호도를 보인 반면 실험군은 0.5%, 그 다음으로 0.3% 용액에 높은 기호도를 보였으나 그 변화가 유의적 수준은 아니었다. 3) 최적 염미 나트륨 농도는 실험군에서 105.6 mmol에서 저염식 적응 후 80.7 mmol로 유의적 (p = 0.015) 감소를 보였고 대조군은 변화가 없었다. 뇨 나트륨 배설량은 대조군은 연구 시작과 종료시 차이가 없었고 실험군은 연구 종료시 1,398 mg에서 906 mg으로 유의적 감소를 하였다. 4) 수축기 혈압은 실험군 대상자에서 111 mmHg에서 106 mmHg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이완기 혈압은 대조군, 실험군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압과 뇨 나트륨 배설량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5) 최적 염미 나트륨 농도와 뇨 나트륨 배설량은 양의 상관관계 (r = 0.418)을 보여 짠맛에 대한 기호가 나트륨 섭취량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최적 염미 나트륨 농도와 뇨 나트륨 배설량은 0.5% 이하의 낮은 염분 용액에 대한 짠 맛의 인지와는 음의 상관관계 (r = -0.338~-0.399)를 보여 저염식을 하는 대상자는 낮은 염도에도 잘 반응함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6개월 간의 실험 경과 후 최적 염미도와 뇨 중 나트륨 배설량에서는 대조군과 실험군의 차이가 분명하였고 관능검사 결과는 0.5% 이하의 저염 농도에 실험군 대상자들이 짠 맛 인지와 기호도가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향상하였다. 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실험군에서만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전반적으로 6개월 간의 저염식 적응이 유효한 듯하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만으로는 저염식에 적응해 가는 변화과정을 알 수 없고 분석 자료의 표준편차로 보아 개인차 커 일부 비적응자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앞으로 저염 적응 기간 중 개인별 반응과 함께 여러 시점에서의 관찰이 필요하다고 본다.

대학생의 저염식이에 대한 지식, 태도, 행위와 관련요인 (Knowledge, Attitude, Practice and Related Factors about Low Salt Diet in University Students)

  • 우상준;조유향;정영해;박영희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9-100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measur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and related factors of low-salt diet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Data from a convenience sample of 251 nursing and engineering students of two universities in south-western part of Korea were collected during March 16~20, 2015 using a self-reporting questionaire and urine test. The instruments developed by Lee and Song(1999) were used to measure knowledge and practice, and Ahn(2013) for attitude toward low-salt diet. A spot urine salt stick($SaltSinal^{(R)}$) was also used to evaluate practice of low-salt diet.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t-tests,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Scheffe test were used. The study was IRB approved. Results: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low-salt diet was low and spot urine salt level was high among university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 were higher and spot urine salt level was lower among nursing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 were related to gender and drinking. Living arrangement, monthly allowance, smoking, frequency of eating-out, frequency of breakfast were shown not to be related to knowledge and attitude. None of the variable investigated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ractice of low-salt diet. However, spot urine salt was related with gender, living arrangement, and smoking. Conclusions: A rigorous health education is necessary in order to lower dietary salt among university students. Considering frequent eating-out among university students,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lower salt amount in foods sold on- and off-camp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