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재활 중재

검색결과 365건 처리시간 0.031초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적용한 라이프스타일 중재의 형태와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Lifestyle Interventions for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 원경아;신윤찬;박상미;한아름;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8권2호
    • /
    • pp.7-30
    • /
    • 2019
  •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에게 적용한 라이프스타일 중재의 형태와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며, PRISMA 가이드라인를 통해 체계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 2008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국 내외 학술지에 개제된 논문을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RISS, PubMed, CINAHL을 통하여 검색하였다. 선정기준에 따라 최종적으로 20편의 연구를 분석하였으며, PEDro scale(Physiotherapy Evidence Database scale)을 사용하여 문헌의 질 평가를 하였다. 문헌에서 사용된 중재는 참가자들의 질환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였다. 결과 : 라이프스타일 중재의 주요 구성요소는 중등도 이상의 운동과 같은 신체활동 증진과 건강한 식습관 형성을 위한 교육 및 훈련으로 확인되었다. 최종 분석된 20편 중 17편의 연구에서는 운동프로그램과 교육 또는 식단관리와 운동과 같이 두 가지 이상의 구성요소를 갖는 형태로 중재가 적용되었다. 노인의 건강 및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다면적인 평가가 이뤄졌으며 그 중 생화학적 요인(biochemical factor)과 건강 및 웰빙(Health and well-being)을 평가하는 도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분석 결과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한 라이프스타일 중재의 효과는 연구별로 상이하게 나타났으나, 14편의 연구에서 중재 직후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건강 및 삶의 질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노인의 질환적 특성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중재기법을 선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국내 지역사회 상황에 부합되는 중재의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를 통해, 작업치료적 라이프스타일 중재의 실행가능성에 관한 연구들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무릎의 신체 기능 개선을 위한 생활방식 중재 재활 전략 (Rehabilitation Strategies in Lifestyle Intervention for Improving the Physical Function of the Knee)

  • 임종민;윤범철
    • 정형스포츠물리치료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65-72
    • /
    • 2018
  • Purpose: Lifestyle intervention (LSI) provides basic recommendations that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health of patients with minor disabilities. The LSI intervention strategies are associated with active living, healthy weight, healthy eating, and emotional stability. These intervention strategies can change an unhealthy lifestyle to a healthy lifestyle and provide important health care information. Main issue: This study focused on a new LSI-based knee rehabilitation protocol and proved the effect of exercise prescription on the kne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continuous rehabilitation, effective rehabilitation, and recurrence prevention can be achieved by prescribing the appropriate exercise for patients after discharge. Therefore, practical lifestyle medicine knowledge and information are provided by the home-based rehabilitation self-exercise program with the new LSI-based knee rehabilitation protocol. Conclusions: The LSI-based protocol can improve and maintain health conditions and knee function. With the aim of improving self-care abilities, this program is expected to make significant contributions recurrence prevention, reduced mortality, and improved quality of life, physical function, and fitness.

목 폄근 진동 자극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와 균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Neck Extensor Vibration Stimulation on Neglect and Balance of Stroke Patients)

  • 김지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303-309
    • /
    • 2020
  • 본 연구는 목 폄근 진동자극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와 균형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 선정 기준에 맞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통적인 작업치료와 목 폄근 진동자극을 중재한 실험군 10명, 전통적인 작업치료와 편측무시 치료를 중재한 대조군 10명으로 나누어 30분씩, 주 5회, 총 8주에 걸쳐 중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편측무시와 균형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본 결과를 통하여 목 폄근 진동자극은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와 균형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재활치료에서 유용하게 적용되리라 사료된다.

기억학교 경증치매노인의 인지재활사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Project of the Elderly with Moderate Memory Dementia)

  • 서경도;최인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517-522
    • /
    • 2017
  • 본 연구는 대구시 소재 기억의 주간보호시설을 활용하여 경증치매 노인대상의 인지활동을 중심으로 한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역사회 경증 치매노인에게 유용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함을 연구목적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현 실정에 맞는 치매 환자에 대한 지역사회기반의 통합적 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개발이 많이 이루어지지 않아 이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경증치매노인 인지재활사업은 주로 지역사회 기반의 보호시설 등의 집단시설에서 적용하기에 적합한 경증치매환자 관리에 근간이 될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경증치매환자는 개인적 차로 인해 환자 모두가 동일하지 않고 인지재활방법과 그 효과는 분명히 차이가 있다. 결과적으로 개별적으로 적합한 전략에 의해 그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전 보다 특성이 있고 개별화된 노인요양 케어 프로그램의 개발도 연계될 것으로 사료된다.

상호작용식 메트로놈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관리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Interactive Metronome(IM) Training on Executive Function of Stroke Patients)

  • 정재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145-152
    • /
    • 2019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상호작용식 메트로놈 훈련이 관리기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뇌졸중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실험군 10명, 대조군 10명으로 무작위 배분하였다. 실험군은 기본적인 재활치료와 상호작용식 메트로놈을 적용하였고, 대조군은 기본적 재활치료와 전통적 인지재활을 실시하였다. 훈련 전 후 관리기능을 검사하기 위하여 Kims 전두엽 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 II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스트룹 간섭시행, 단어유창성, 지연회상, 관리기능지수에서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다. 따라서 상호작용식 메트로놈 훈련이 관리기능 향상에 효과적으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호작용식 메트로놈 훈련이 관리기능 향상을 위한 중재방법으로 유용할 것으로 기대한다.

필라테스 운동 프로그램이 만성 소뇌경색 환자의 균형능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단일 사례연구 (Affects of Pilates Exercise Program on Balance Abilit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Performance Ability for Patient With Chronic Cerebellum Infarction)

  • 류성현;조영남
    • 재활치료과학
    • /
    • 제2권1호
    • /
    • pp.77-86
    • /
    • 2013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필라테스 운동 프로그램이 만성 소뇌경색 환자의 균형능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단일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대구에 소재한 K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 62세 여자 소뇌경색 환자였다. 중재 전 후 균형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버그 균형 척도(Berg Balance Scale; BBS)를 시행하였고,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수정된 바델 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를 시행하였다. 결과 : 대상자의 균형능력은 중재 전 19점에서 중재 후 29점으로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또한 중재 전 74점에서 중재 후 87점으로 증가 되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필라테스 운동 프로그램이 만성 소뇌경색 환자의 균형능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기존의 일반적인 작업치료에 필라테스 운동 프로그램을 적절히 활용한다면 환자의 기능 회복에 더 많은 도움이 되리라 기대된다.

완전 몰입형 가상현실 기기를 이용한 작업치료 중재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The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Using Fully Immersive Virtual Reality Device on Upper Extremity Function of Patients With Chronic Stoke: Case Study)

  • 한솔;유은영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2호
    • /
    • pp.17-27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완전 몰입형 가상현실 기기를 이용한 작업치료 중재가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좌측 편마비를 가지고 있는 만성 뇌졸중 환자 1명이며, 개별사례 실험연구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기초선 기간 4회, 중재 기간 12회, 기초선 회귀기간 4회로 총 20회의 실험을 휴지기간을 포함하여 총 10주간 진행하였다. 독립변수인 완전 몰입형 가상현실 기기를 이용한 작업치료 중재는 매 회기 30분씩 시행되었으며 종속변수 중 Fugl-Meyer Assessment(FMA) 평가는 각 기간 마다 1회씩 측정하였다. Box and Block Test(BBT) 평가와 Wolf Motor Function Test(WMFT) 평가는 매 회기 마다 시행하여 그 측정 결과를 꺾은선 그래프를 통해 제시하였다. 결과 : 완전 몰입형 가상현실 기기를 이용한 작업치료 중재 후 대상자의 환측 상지기능이 향상되었다. 기초선 회귀 기간에는 중재를 제거한 뒤 치료유지 효과를 확인하였지만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완전 몰입형 가상현실 기기를 이용한 작업치료 중재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효과적인 중재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치료유지 효과는 크지 않았기 때문에 보다 사용이 간편한 가정용 중재 프로그램 등의 개발이 필요하다.

치매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비약물 중재에 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Dementia)

  • 구슬기;박혜연;박지혁
    • 한국노년학
    • /
    • 제37권2호
    • /
    • pp.445-459
    • /
    • 2017
  •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해외 학술지에 게재된 치매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관련된 비약물 중재 논문의 체계적 고찰을 통해 현장에서 근무 중인 치매 전문 인력에게 비약물 중재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 제공과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문헌은 2007년부터 2016년까지 개제된 국외 논문을 Medline Complete, PubMed Central, Scopus를 통해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 용어는"Dementia AND (ADL 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을 사용하였고, 검색된 974편의 논문 중 본 연구에 적합한 9편의 연구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대상 논문의 질적 수준은 I~III에 각각 3편씩 속하였다. 운동과 관련된 비약물 중재가 가장 많이 진행되었고, 연구는 재활분야(작업치료학, 물리치료학), 간호학, 심리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이루어졌다. 평가도구는 기본적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평가하는 Barthel Index(BI)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동시에 가장 많이 측정된 종속변인은'인지기능'이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치매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비약물 중재는 근거 기반의 중재를 제공할 수 있는 이론적 기틀을 마련하고, 비약물 중재가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며, 추후에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일상생활 수행능력 훈련을 목표로 한 중재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연구의 체계적 고찰: 단일대상연구 설계를 중심으로 (A Systemic Review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 Studies on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Focusing on Korean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 유영미;최유임
    • 재활치료과학
    • /
    • 제10권4호
    • /
    • pp.7-24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문제행동 개선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연구 중 단일대상연구 설계를 적용한 문헌의 특성을 살펴보고 질적 수준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문헌연구로써, 분석 대상은 2011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에서 게재된 9편의 단일대상연구 논문이었고, 대상 논문을 연구방법의 내용에 따라 일반적 특성과 질적 수준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 논문을 분석한 결과, 연구 대상은 취학 전 아동과 초등학령기 아동이 동일한 비율로 나타났고, 연구 설계는 중다 기초선 설계 중 행동 간 중다기초선 설계 연구가 가장 많았다. 모든 논문에서 사회적 타당도, 중재 충실도, 관찰자 신뢰도를 제시하고 있었고, 문제행동은 자해 및 공격행동, 방해행동, 자리이탈행동, 음식 거부 및 구강자극 행동 순으로 나타났으며, 종속변인은 부분 간격 기록법으로 측정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중재 효과 확인 결과, 중재, 유지는 중재 결과가 효과적이었으나, 일반화의 결과와 효과를 제시한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분석 논문의 질적 수준은 모든 연구에서 높은 질적 수준을 보이고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연구 중 단일대상연구 설계를 적용한 논문의 내용과 질적 수준을 확인하고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의 근거기반 중재를 위한 효과적인 중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팔 흔들기 강화운동과 발목 신장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rm swing strength and ankle stretching exercise on gait velocity and balance in stroke patients)

  • 마준석;김현주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9-30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팔 흔들기 강화운동과 발목 신장운동을 실시한 실험군이 일반적인 물리치료를 실시한 대조군보다 균형과 보행속도가 향상됨을 검증하였으며, 재활치료에 있어서 하나의 중재방법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