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재방문 의도

검색결과 271건 처리시간 0.022초

미술관 관람객의 방문결정요인과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Visiting Art-museum and Behavioral Intention of Art-museum Visitors)

  • 나선후;여영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3호
    • /
    • pp.131-137
    • /
    • 2019
  • 본 연구는 미술관 관람객들이 미술관 방문을 결정하는 주요 동기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재방문 의도와 추천의도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광주 비엔날레관과 광주시립미술관을 방문한 관람객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8년 9월 15일 ~ 10월 14일까지 30일간 실시하였다. 총 350부를 배포하여 최종 유효한 설문지 315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미술관 관람객의 방문결정요인은 일탈성, 개발성, 체험성, 경험성인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4가지 요인 모두 관람객들의 행동의도(추천의도,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관 관람객의 방문결정요인이 관람객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 추천의도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체험성'인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이어 '일탈성'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관 관람객의 재방문 의도에 있어서는 방문결정 요인 모두 영향을 미쳤으며 '일탈성' 요인이 가장 높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DINESERV를 이용한 전주한식당의 고객 만족, 재방문 의도, 구전 의도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of Customer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and Word-of-Mouth for the Korean Restaurants in Jeonju City using DINESERV)

  • 김기진;이보순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22-337
    • /
    • 2009
  • 본 연구는 DINESERV 품질이 고객 만족, 재방문 의도, 구전 의도에 미치는 각각의 영향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DINESERV 품질과 재방문 의도간에 고객 만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 DINESERV 품질과 구전 의도 간의 고객 만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는 전주지역의 27개 한식당에 방문한 고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총 42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SPSS와 AMOS 16.0을 사용하여 2단계 분석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DINESERV의 잠재요인 중 서비스접점, 분위기 그리고 음식품질이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DINESERV 품질과 재방문 의도간의 영향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DINESERV의 잠재요인 중 편리성이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객 만족은 재방문 의도와 구전 의도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서비스 접점, 분위기, 음식 품질은 고객 만족의 매개효과에 의해 재방문 의도와 구전 의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음식 축제 시스템 구성 요인이 방문객 평가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15회 남도음식큰잔치를 대상으로 - (A Structural Analysis on Composite Factors, Visitors' Evaluation and Intent of Revisits in a Food Festival - The Case of the 15th Namdo Food Festival in South Korea -)

  • 진영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88-204
    • /
    • 2009
  • 음식 축제 시스템 구성 요인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구분되는 다양한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음식 축제 구성 요인과 축제 방문객 재방문 의도와의 관계 검증에 중점을 주고 진행되었다. 방문객 평가는 만족의 전제이기 때문에 만족과 재방문 의도 등은 연속적인 관계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음식 축제 시스템 구성 요인이 방문객 평가(운영 평가, 체험 평가)에 미치는 영향과 음식 축제 평가요인으로서 운영 평가와 경험 평가간 관계를 검증하였고, 음식 축제 평가요인과 재방문 의도와의 영향 관계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음식 축제 구성 요인은 방문객 평가와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속적 관계라는 맥락에서, 향후 연구에서는 음식 축제 구성 요인, 방문객 평가, 만족 및 재방문 의도 등의 관계 검증을 제안하였다.

  • PDF

한.일 공연 만족과 공연장 재방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What is the Factors Influencing on Performance Satisfaction and Revisit to Performance Hall in Korea and Japan?)

  • 곽준식;문재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47-54
    • /
    • 2017
  • 문화, 예술에 대한 소비가 늘어나면서 많은 사람들이 공연장을 방문하고 있다. 더욱이 한류열풍으로 인해 문화, 예술 관련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문화콘텐츠 관련 분석은 많이 진행되었지만 문화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공연장 만족도나 재방문 의도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공연관람객을 대상으로 공연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한국과 일본의 공연장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한국은 공연 시설물이나 고객응대서비스가 공연장 만족도를 통해서만 공연장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친 반면, 일본은 고객응대서비스가 재방문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공연만족을 통해 간접적으로 공연장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런 차이가 나타나는 구체적인 이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외식업 점포 선택요인이 신뢰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Restaurant Factors on Trust and Revisit Intention)

  • 송인암;신창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161-168
    • /
    • 2017
  • 본 연구는 외식업 점포 선택요인이 신뢰도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설정하여 실증분석을 한 결과 첫째, 외식업 점포 선택요인은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외식업 점포선택요인인 물리적 환경, 서비스, 가격, 위치, 명성, 청결도, 친절, 맛 등을 고려하여 일반 소비자는 선택함으로 이에 대한 만족이 높으면 재방문 의도도 높아지는 확인 되었다. 둘째, 신뢰는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점포에 대한 믿음은 소비자의 신념을 통해 재방문을 적극적으로 고려 하는 것으로 판단해볼 수 있다. 셋째, 외식업 점포 선택요인은 신뢰에 따라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외식업 점포 기준에 따라 소비자는 선택하게 되고 만족을 하게 되면 신뢰가 생성되어 재방문 의도를 높인 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외식업 점포 선택요인과 신뢰는 재방문 의도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외식업 점포 선택 요인은 신뢰에 따라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여 이론과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와인 바의 브랜드 이미지가 고객만족, 충성도,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Wine Bar's Brand Image on Guest Satisfaction, Loyalty, Revisit Intention)

  • 김혁수;김연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433-443
    • /
    • 2010
  • 본 연구는 와인 바의 브랜드 이미지와 각 변수들 간의 영향 관계를 연구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연구과제를 두었다. 첫째, 와인 바를 이용하고 있는 고객의 브랜드 이미지 요인을 요인분석 한다. 둘째, 충성도 요인과 재방문 의도 요인을 요인분석 한다. 셋째, 브랜드 이미지가 고객만족, 충성도,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그리고 고객의 만족도가 충성도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마지막으로 충성도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본 연구를 위해 모집단은 서울 지역 와인 바을 이용하고 있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와인 바에서 일대일 면접형식으로 진행하였으며, 300부를 배포하여 총 256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와인 바의 브랜드 이미지는 고객만족에 부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와인 바의 브랜드 이미지는 재방문 의도에 부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와인 바의 브랜드 이미지는 충성도에 부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와인 바 고객의 고객만족은 재방문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와인 바 고객의 고객만족은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와인 바 브랜드의 충성도는 재방문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소셜커머스와 서비스제공 업체의 서비스실패 심각성 지각이 재구매 의도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rception Towards Service Failure Seriousness By Social Commerce Companies and Service Providers on Repurchase Intention and Revisit Intention)

  • 윤대홍;박병남
    • 서비스연구
    • /
    • 제6권3호
    • /
    • pp.107-122
    • /
    • 2016
  • 본 연구는 소셜커머스와 서비스제공 업체의 서비스실패 심각성 지각이 재구매 의도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로, 연구의 결과를 3가지 측면에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소셜커머스와 서비스제공 업체의 서비스품질의 영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셜커머스의 서비스품질은 소셜커머스 서비스실패(가설 1), 소셜커머스 재구매 의도(가설 3)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제공 업체의 서비스품질은 서비스제공 업체 서비스실패(가설 2), 서비스제공 업체 재방문 의도(가설 4)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소셜커머스와 서비스제공 업체의 서비스실패 심각성 지각의 영향은 다음과 같다. 소셜커머스의 서비스실패는 서비스제공 업체의 서비스 실패(가설 5), 서비스제공 업체 재방문 의도(가설 8)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미치는 반면에, 소셜커머스 재구매 의도(가설 6)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제공 업체 서비스실패는 서비스제공 업체 재방문 의도(가설 7), 소셜커머스 재구매 의도(가설 9)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서비스제공 업체 재방문 의도는 소셜커머스 재구매 의도(가설 10)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와인전문 레스토랑의 서비스스케이프(SERVICESCAPE)가 서비스 품질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rvice Quality and Revisit Intention for Servicescape in the Wine Restaurant)

  • 최민수;서용모;이형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91-400
    • /
    • 2012
  • 본 연구는 최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와인전문 레스토랑에서의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만족을 유발하고 이를 통해 재방문 의도와 서비스스케이프를 통한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현실에서 와인 전문 레스토랑에 대한 서비스 품질 유지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핵심 요인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를 위해 가설과 연구모델을 설정하고, 대전지역의 실질적인 경제활동 주체들인 성인 103인을 대상으로 와인 전문 레스토랑 방문객을 대상으로 연구모델을 분석하고 평가하고 가설을 검증하여 실질적인 마케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서비스스케이프의 품질과 고객들의 만족, 재방문 의도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에서 와인 전문 레스토랑의 서비스 품질은 고객 만족, 재방문 의도에 매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와인 전문 레스토랑의 서비스 품질 자체로는 재방문 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객 중심적인 서비스 제공을 통해 고객을 만족 시켜 재방문을 유도하고, 경쟁력 강화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쇼핑몰과 테넌트간 기대, 성과, 불일치, 만족 및 재방문 의도의 관계

  • 박봉두;박진용
    • 한국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통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17-133
    • /
    • 2002
  • 본 연구는 쇼핑몰과 쇼핑몰 내에 입점한 테넌트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쇼핑몰과 쇼핑센터가 소매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에 비해서 기존의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대 불일치 패러다임의 주요 변수인 기대, 성과, 불일치, 만족 및 재방문 의도를 쇼핑몰과 테넌트 간의 문제로 확대하여 모형을 제시하고 실증하였다. 결과는 대체로 기대한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테넌트에 대한 만족이 쇼핑몰의 재방문 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축제 서비스 평가속성이 방문객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충북진천문화축제를 중심으로- (Association between Festival Service Evaluation Attribute and Behavior Intention of Visitors -For Chungbuk Jincheon Cultural Festival-)

  • 백운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547-555
    • /
    • 2013
  • 본 연구 목적은 축제서비스 평가속성이 방문객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축제의 만족도 재방문 추천의도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시장전략수립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를 위해 2011년10월14일부터 10월16일까지 총360부를 배포하고 335부를 수집하여 그중 사용하지 않은 15부를 제외한 320부를 사용하였다. 둘째, 서비스평가요인 중에서 프로그램, 시설, 공연평가요인은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추천의도에 있어서도 축제평가 모든 요인에서 정(+)의 영향을 보였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만족도, 재방문의도,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서, 만족도는 친구동반에 있어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학력, 소득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거주지, 직업이 재방문에 정(+)의 영향을 미친 반면, 소득, 가족동반, 처음방문은 재방문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연령, 학력, 소득, 가족동반 또한 추천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