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난 대응 네트워크

Search Result 81,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모바일 환경에서의 재난대응 커뮤니케이션: 연구동향과 과제

  • Ji, Yong-Gu;Yun, Su-Jin;HwangBo, Hwan;Yun, Sol-Hui;Jeong, Ho-Sa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9 no.5
    • /
    • pp.18-26
    • /
    • 2012
  • 재난발생 시 유관기관 간, 유관기관과 개인 간, 그리고 개인과 개인 간 재난대응에 필요한 정보를 적시에 주고 받는 것은 피해 규모를 줄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지금까지 재난상황에서 사용되었던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은 TV, 라디오, 공공기관 통신망 등이었다. 그러나 TV나 라디오는 해당 기기가 주변에 없거나, 개인과 개인 간 정보 교환 시, 그리고 관련 통신망 자체가 무력화된 상태 등에서는 활용에 제한을 받게 된다. 또한 소방통신망 등 유관기관들이 사용하고 있는 통신망의 경우에도 재난의 종류에 따라 그 활용 폭이 달라질 수 있고 일반 대중에게 정보를 전파할 때는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에 급격히 발달하고 있는 모바일 네트워킹 기술은 재난대응 커뮤니케이션과 관련하여 새로운 돌파구를 제시하고 있다. 기존 커뮤니케이션 수단들과 달리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들은 민(民)과 관(官)을 구분하지 않고 이미 거의 모든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상황이며, 이를 활용하여 항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된 상태다. 따라서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재난대응 커뮤니케이션과 관련한 연구동향을 정리하고 새로운 과제를 도출해 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크게 1) 모바일 네트워크 기반의 재난대응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관한 연구와 2) 모바일 환경에서 소설 네트워킹 서비스를 활용한 재난대응 커뮤니케이션이라는 두 개의 주제를 중심으로 최근 연구동향과 향후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Resilience of Companies After Disasters (기업의 재해 발생 후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Bong, Young-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75-76
    • /
    • 2022
  • 본 연구는 기업과 그 기업이 속한 사회에서 사업을 영위하면서 자연재해의 발생이나 COVID-19와 같은 감염병의 유행으로 조직의 업무 중단이 발생하고 난 뒤 다시 사업을 재개하는 데에는 회복탄력성이 중요하다. 기업의 회복탄력성은 기업을 경영하는데 필요한 수많은 요소와 관련이 있다. 또한 기업과 연결된 많은 네트워크와 인프라에 의존하고 있다. 회복탄력성은 재난을 당한 뒤에 다시 사업을 영위하는 능력이라 할 수 있다. 재난에 대응하는 저항의 능력 보다는 기업의 핵심 기능이 단기간에 연속성을 확보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이를 위하여 기업의 재난에 대한 '예방 활동', '대비 활동', '대응 활동'을 필수 요소로 삼고 있다. 그 외에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하기 위하여, 여유 자원, 협력관계, 전략적 유연성, 혁신성, 기술 변화 대응력이 조직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 조직역량이 기업의 회복탄력성에 기여하는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권재득, 2018). 회복탄력성의 미치는 추가요인인 외적 효과 분석에 대한 연구를 제안한다.

  • PDF

Analyzing Disaster Response Terminologies by Text Min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텍스트 마이닝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재난대응 용어분석)

  • Kang, Seong Kyung;Yu, Hwan;Lee, Young Jai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18 no.1
    • /
    • pp.141-155
    • /
    • 2016
  • This study identified terminologies related to the proximity and frequency of disaster by social network analysis (SNA) and text mining, and then expressed the outcome into a mind map. The termdocument matrix of text mining was utilized for the terminology proximity analysis, and the SNA closeness centrality was calculated to organically express the relationship of the terminologies through a mind map. By analyzing terminology proximity and selecting disaster response-related terminologies, this study identified the closest field among all the disaster response fields to disaster response and the core terms in each disaster response field. This disaster response terminology analysis could be utilized in future core term-based terminology standardization, disaster-related knowledge accumulation and research, and application of various response scenario compositions, among others.

Voice Information System to Guide Evacuation based on Directional Speake (지향성 스피커를 활용한 청각 피난안내 시스템)

  • Kang, Shin-Wook;Park, Jung-Woo;Kim, Tae-Hwan;Kim, Jung-g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67-69
    • /
    • 2015
  • 최근 우리나라는 사회경제적 발전과 함께 본격적인 고도기술사회로 진입하였다. 그러나 사회의 복잡성 증가로 인하여 오히려 재난에 대한 개인의 대응 능력은 낮아지고 있다. 즉 재난발생시 개인이 파악할 수 있는 정보의 한계로 인하여 정확한 상황판단 및 재난대응이 어려워진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지향성 스피커를 활용하여 사람들에게 재난발생 상황 및 피난에 유효한 정보들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한다. 또한 센서네트워크를 통하여 재난상황을 종합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과 연계하여 IoT기반의 지향성스피커 시스템을 개발하여 다양한 사회재난에 활용이 가능한 재난상황 및 피난 유효정보 제공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Development of M2M-based Underground Space (subway) Disaster Response Network and EL Display Integrated Board (M2M기반 지하공간(지하철) 재난대응 네트워크 및 EL 디스플레이 통합 보드 개발)

  • Park, Miyun;Kwon, Segon;Park, EunChurn;Lee, Jeonhu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3 no.4
    • /
    • pp.422-441
    • /
    • 2017
  • Notifying emergency evacuation methods, accurate disaster location and evacuation route guidance can be very active alternatives to quickly minimize evacuation and casualties in disaster situation in the development of subway disaster prevention detection system that detects the disaster signs at the subway station early on the basis of Internet of things and leads passengers to evacuate. It's not easy to ensure perfect functioning of fire fighting facilities and equipments due to underground space structure with narrow exits. Therefore, we developed disaster provision EL Display integrated board that can induce the most efficient evacuation and the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ractical application in this study. Especially the applicability was verified by field application test because there is no case in which EL panels are used to evacuate disasters.

Plan for Improvement of Local Governments' Roles for Effective Countermeasures for Disasters - Centering on Comparison with USA and Japan - (효율적 재난대응을 위한 지방정부 역할 개선방안 - 미국, 일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 Choi, Ho-Taek;Ryu, Sang-I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6 no.12
    • /
    • pp.235-243
    • /
    • 2006
  • In this study, in order to grope for local governments' roles for effective countermeasures for disasters, the researcher did comparative research on such roles of local governments of the USA and japan. In case of the USA and japan, their local governments take the 1st responsibility for quick countermeasures for disasters and cope with disasters in cooperation with central government and NGO, etc. In conclusion, in order to make Korea's system to cope with disasters more effective, first it is necessary to readjust roles of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In other words, in case of the USA and japan, law provides that initial responsibility for coping with disasters lies in local governments. Accordingly, when disaster happens, initial countermeasures are quickly made by local governments. It is also possible for local governments to secure organizations, tools and manpower in their own ways. Therefore, in case of Korea, it is also urgently required to divide roles for disaster management between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loc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per type that is proper for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s. Third, it is necessary to form organic networks between civic groups, local private enterprises, and central government. Fourth, informatization of loc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must be prepared quickly. Finally, in order to do local governments' activities to cope with sites smoothly, specialization of manpower is require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train professional manpower of local governments for disaster management and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specialty.

  • PDF

Design and Analysis of Fire Detection and Alarm System using Bio-adhoc Network (바이오 애드 혹 네트워크를 이용한 재난 조기 경보 시스템 설계 및 분석)

  • Lee, Dong-Eun;Lee, Goo-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a
    • /
    • pp.33-38
    • /
    • 2006
  • 인프라가 필요 없는 특성을 갖고 있어 임시 구성용 네트워크나 군사용 망에서 많이 개발되어온 애드 혹 네트워크는 산악과 같은 고립된 지역에 설치하여 산불과 같은 재난의 조기 경보 시스템에 이용한다면 효과적이다. 그러나 넓은 산악지역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 애드 혹 노드들을 설치 운영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불가능하다. 또한 인포스테이션은 전송지연에 민감하지 않는 정보들을 적은 비용으로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우리는 본 논문에서 동물들에 애드 혹 노드들을 탑재한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와 인포스테이션을 결합하여 화재와 같은 재난에 조기 대처할 수 있는 재난 조기 경보 시스템을 제안한다. 동물들의 이동성이 노드들간의 연결성을 향상시키므로서, 합리적인 수의 동물 노드로서 원하는 조기 경보의 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우리는 또한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을 수식으로 분석하여 이를 시뮬레이션과 비교해 보았고, 실제 시스템 구축시 필요한 비용을 분석해 보았다. 이는 시스템 구축 시 필요한 파라미터를 제공할 것이다. 이 제안된 시스템을 실제 환경에 적용하면 산악지역에서의 화재등의 재난에 조기대응을 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Establishing Disaster Response Base Station through Overseas Case Review (해외사례를 통한 재난대응 거점기지 구축 연구)

  • Oak, Young-Suk;Park, Miri;Chon, Jae-Jo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11
    • /
    • pp.668-675
    • /
    • 2017
  • In Korea, natural disasters such as earthquakes and floods continue to occur, but it is difficult to respond and provide relief effectively and promptly. Due to the Circulation Position and administrative characteristics, soft and physical systems for basic disasters, such as private cooperation and disaster response bases, have not yet been built organically. This is mainly due to the job rotation of the responsible persons and bureaucratic problems limiting cooperation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Japan is responding to disasters through a mutual cooperation network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NGOs), but in Korea the public sector still manages disasters entirely by itself. However, in modern society, the ability of the public sector to effectively manage disasters is limited due to the large number of natural disasters and their wide-ranging consequences. This situation makes it difficult to respond quickly and effectively to the various crises that arise. In this paper, we review the disaster response bases in the cases of Japan and the United States, and propose the establishment of a disaster response base system that supports disaster countermeasures together with a cooperative network incorporating the private and business sectors.

Science and Technology Networks for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Based on Expert Survey Data (재난안전관리 과학기술 네트워크: 전문가 수요조사를 중심으로)

  • Heo, Jungeun;Yang, Chang H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11
    • /
    • pp.123-134
    • /
    • 2018
  • Recently, due to the rising incidence of disasters in the nation,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relevance and rol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solving disaster and safety related issues. In addition, the necessities of securing the human rights of all citizens in disaster risk reduction, identifying fields of technology development for effective disaster response, and improving the efficiency of R&D investment for disaster and safety are becoming more important as the different types of disasters and stages of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process have been considered. In this study, we analyzed bipartite or two-mode networks constructed from an expert survey dataset of technology development for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The results reveal that earthquake and fire are the two disasters affecting an individual and society at large and demonstrate that AI and big data analytics are effective supports in managing disaster and safety. We believe that such a network analytic approach can be used to explore some important implications exist for the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effort and successful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practices in Korea.

A Study on Disaster Management Officer's Perception about the Disaster Response Exercise - Focused on General Officers and Firemen - (재난관리 공무원의 재난대응훈련에 관한 인식 연구 - 일반 행정직공무원과 소방공무원을 중심으로 -)

  • Ko, Gi-Bong;Lee, Si-Young;Chae, Ji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4 no.6
    • /
    • pp.34-44
    • /
    • 2010
  • This research paper surveyed the awareness of general administrative officials who oversee the disaster management and firefighting officials who take part in emergency rescue work in local governments on disaster response exercises. The result of the survey showed that both officials acknowledged the need of the equipment used in disaster response exercises, securing the budgets for exercises, establishing a network among related institutions, reflecting actual conditions and local characteristics to the exercises, reflecting the result of exercise evaluations to the disaster response manual and next exercises, and securing a command communication system required for exerci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