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zing Disaster Response Terminologies by Text Min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텍스트 마이닝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재난대응 용어분석

  • Kang, Seong Kyung (Department of MIS, Business College, Dongguk University) ;
  • Yu, Hwan (Department of MIS, Business College, Dongguk University) ;
  • Lee, Young Jai (Department of MIS, Business College, Dongguk University)
  • 강성경 (동국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 유환 (동국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 이영재 (동국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Received : 2015.10.06
  • Accepted : 2016.02.25
  • Published : 2016.03.31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d terminologies related to the proximity and frequency of disaster by social network analysis (SNA) and text mining, and then expressed the outcome into a mind map. The termdocument matrix of text mining was utilized for the terminology proximity analysis, and the SNA closeness centrality was calculated to organically express the relationship of the terminologies through a mind map. By analyzing terminology proximity and selecting disaster response-related terminologies, this study identified the closest field among all the disaster response fields to disaster response and the core terms in each disaster response field. This disaster response terminology analysis could be utilized in future core term-based terminology standardization, disaster-related knowledge accumulation and research, and application of various response scenario compositions, among others.

세월호 침몰사고, 판교 환풍구 붕괴사고 등 재난은 점차 복합적이고 대형화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재난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한 기관들의 협업 또한 중요해지고 있다. 다수기관 간 협업과정에서는 다양한 용어를 바탕으로 의사소통이 이루어진다. 의사소통은 '용어'를 기반으로 하므로 '용어'에 대한 중요성 또한 간과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난현장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선정하여 텍스트 마이닝 및 소셜 네트워크 분석(SNA: Social Network Analysis)을 이용해 어떤 용어가 대응과정에 있어 핵심적인 용어인지를 파악해보았다. 텍스트 마이닝의 TDM을 이용하여 역문헌 빈도수를 산출해 용어와 문서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SNA를 통해 노드(용어)와 노드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용어분석의 결과 표현은 용어 간의 유기적인 관계를 시각화할 수 있는 마인드맵(Mind Map)을 이용하였다. 용어는 미국의 NIMS, EMR, 그리고 우리나라의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을 토대로 온톨로지 개념에 따라 계층적(Class, Object, Instance)으로 분류하였으며. 신문기사와 사설, 정책보고서 등의 정부 간행물에서 선정하였다. 이러한 재난대응 핵심용어의 파악은 재난현장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온톨로지 개념에 따라 용어들을 계층적으로 분류하였기 때문에 재난 대응에 대한 다양한 자료들을 축적하고 검색하는데 용어의 분류체계를 활용할 수 있다. 이 밖에 사고대응 시나리오 작성 시에도 핵심용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Cited by

  1.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숭례문 관련 기사의 트렌드 분석 vol.17, pp.3,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7.17.03.474
  2. 소셜미디어를 통해 본 재난안전 분야 어휘 사용 양상 분석 vol.17, pp.10,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7.17.10.085
  3. 자연어 처리 기법을 활용한 산업재해 위험요인 구조화 vol.36, pp.1, 2016, https://doi.org/10.14346/jkosos.2021.36.1.56
  4. Analysis of Issues Based on Disaster Type Using Text Mining and a Semantic Network vol.21, pp.3, 2016, https://doi.org/10.9798/kosham.2021.21.3.49
  5. 언어 네트워크를 이용한 야외지질답사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최근 21년(2000~2020년)을 중심으로 vol.14, pp.2, 2016, https://doi.org/10.15523/jksese.2021.14.2.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