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난안전

Search Result 2,04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nalysis and Recommendation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System for Citizens (시민 대상 재난안전교육 체계 분석 및 제언)

  • Kwon, Yo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13-214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한국사회 내 2014년 이후 2022년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생애주기별 재난안전교육 체계를 분석하여 재난 발생 시 자신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재난안전교육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제언을 통해 시민 대상별 최적화된 재난안전교육 체계화를 모색하고자한다. 2014년 4월16일에 발생한 세월호 침몰 사고는 2015년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시행규칙의 일부 개정 및 이에 근거한 '국민안전의 날'이 국민안전의 중요성을 되새기자는 의미로 제정된 계기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재난안전교육에 관한 전반적인 변화의 필요성을 깨닫게 해준 가슴 아픈 사건이었다. 이에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현장대응단에서 2014년 말부터 시민대상 초기대응을 위한 재난안전 교육체계를 기획하고 10만의 안전리더 양성을 추진했다. 동시에 다양한 형태의 시민대상의 재난안전교육이 시, 도별로 진행되었다. 특히 서울 시민의 1%인 10만 시민안전파수꾼 양성을 위해 진행되었던 시민안전파수꾼 정책 사업을 위한 재난안전 교육체계는 시민을 대상으로 황금시간 목표달성을 통한 초기대응으로 재난규모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안전에 관한 소양교육의 기본을 구성해 교육했고, 이는 시민 대상 재난안전교육의 방향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정책사업 초기 대학생 이상의 성인을 교육 대상으로 선정하여 교육이 진행되었고, 그 후 2018년 이후 고등학교 이상으로 교육의 대상범위를 확대하여 진행했지만 안전리더로서 역할은 한국사회 전체 구성원들의 인식이 필요한 부분으로 어린 시절부터의 반복 교육을 통한 안전문화가 시스템으로 구축되어 자연스럽게 습득되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다. 이에 다양한 생애주기별 재난안전교육 체계를 분석하여 국민스스로 재난 발생 시 자신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재난안전교육 인프라 구축을 위해 시민대상 재난 안전교육을 '황금시간 목표달성'을 준거틀로 기존의 중앙, 서울시, 부산시, 경기도 및 산하 교육청에서 실시해온 재난안전교육 체계 관련 문헌의 비교분석을 통해 시민 대상별 생애주기별 최적화된 초기대응을 위한 재난안전교육 체계를 모색하여 재난안전교육의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PDF

Analyzing the Capability of University Emergency Management (대학교 재난안전관리 역량 분석)

  • Park, Se-Ryeun;Yoon, Hong-Sik;Lee, Jae-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323-32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대학교의 재난안전관리 역량 증진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이를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학교는 다량의 화학물질 보유, 출입통제 제한적, 인적 물적 인프라 집중 등의 이유로 재난 및 안전사고 발생 확률이 높으며 동시에 발생 시 피해규모도 클 것이라 예측 가능하다. 하지만 아직까지 대학교 재난안전관리에 대하여 대학실험실안전관리에만 치중되어 있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대학교 재난안전관리 역량지표를 개발하고 역량수준을 진단하여 전반적인 대학교 재난안전관리 역량수준을 향상시킬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교 재난안전관리 역량지표 개발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국내외 재난안전관리 역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대학교 재난안전관리 현황분석을 통한 대학교 재난안전관리 업무목록을 바탕으로 국내외 재난안전관리 역량지표를 적용하여 대학교 재난안전관리 역량지표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Disaster Safety Manual for Elderly People with Mobility Disabilities in Disaster Situations (재난상황에서 이동이 취약한 노인의 재난안전 매뉴얼에 관한 연구)

  • Kwon Seung 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01-202
    • /
    • 2022
  • 산업의 발달과 자연환경의 급속한 변화로 재난은 어떠한 모습으로 우리곁에 나타날지 모릅니다.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던 코로나19는 전 세계 모든 사람들의 삶을 바꿔놓았습니다. 우리나라는 저출산과 의학의 발달로 인해 급속도로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고있고 재난상황에서 이동이 취약한 노인의 재난안전 매뉴얼 및 안전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있습니다. 이를 위해 노인의 취약성 분석, 기존 매뉴얼 분석이 필요합니다. 재난은 예방을 통해 발생했을 때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하고 사전에 반복학습을 통해 대응능력을 키우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재난은 누구나 처음격게 되면 대처능력이 부족합니다. 철저한 대비만이 재난을 국복할 수 있습니다. 이동이 취약한 노인의 경우 재난 대피 상황에서 몸에 익힌 대응눙력만이 자신의 생명을 구할 수있습니다. 재난 안전매뉴얼에 대한 포괄적인 재난안전 분석을 적용, 현실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합니다.

  • PDF

A Study on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of Disaster Safety Information Service for the Elderly (노인을 위한 재난안전 정보 서비스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 Jeong, Ji-Hye;Pyo, Ky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223-224
    • /
    • 2020
  • 디지털과 인터넷의 발달로 재난안전 정보 서비스는 오프라인, 온라인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하여 제공되고 있다. 특히, 재난안전과 관련된 정보는 재난 대비와 재난 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점에서 재난안전 정보 서비스 제공은 중요하다. 그러나 노인은 오프라인과 온라인 정보 접근성에 있어 제한사항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관점에서 현재 제공되고 있는 대비에 초점을 둔 재난안전 정보 서비스를 오프라인과 온라인으로 구분하여 현황분석을 하였다. 노인을 위한 재난안전 정보 서비스의 개선방안을 통하여 앞으로 재난안전 정책에서 나아가야할 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Disaster & Safety Education Based on Voluntary Leisure Activities (자발적 레저활동 기반 재난안전교육 방안 연구)

  • Kim, Jae-Hyeon;Kim, You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359-36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재난안전교육에 대한 접근성과 기회를 확대하고 시간적 제약을 해소할 수 있는 재난안전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 레저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증가하였고, 이를 가지고 여러 기관과 단체는 사회문제 또는 특수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레저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여러 프로그램과 행사 등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 중 '플로깅'은 달리기를 하는 사람들에게 달리기 활동에 쓰레기를 줍는 활동을 녹여 자연스럽게 쓰레기를 줍도록 만들었다. 위와 같은 사례를 응용해 레저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안전교육 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모델을 통해 재난안전교육에 대한 접근성과 기회가 확대될 것이며, 사람들은 레저활동을 즐기며 자연스레 재난안전교육을 받게 될 것이다. 또한 재난 안전에 대한 인식이 늘고, 활동의 전이 및 확산을 통해 타인까지도 재난안전교육의 현장으로 이끌어 올 것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Plan of Design and Operation for Education Training of Disaster & Safety Field Workers with the Amendment of Framework Act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s and Safety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개정에 따른 재난안전분야 종사자 교육훈련 설계 및 운영 발전 방안 연구)

  • Nam, Sangwhun;Park, HaeJu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9 no.4
    • /
    • pp.484-49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development plan for systematic design and management of disaster and safety education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revision of Framework act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s and safety. The curriculum is intended for current disaster management professionals. Prior to analysis, disaster and safety professional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disaster practitioner, disaster manager, and disaster higher manager. And based on 24 disaster safety functions and 13 disaster management competence items, priorities of their task ability were derived. Considering practical effect of disaster and safety education, the course curriculum is divided to target groups of disaster practitioner, disaster manager, and disaster higher manager. Disaster management education curriculum and its design are based on the results of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contents development planning to reflect the elements of advanced disaster management education and to consider brand making of the curriculum and operation pattern.

A Study on Analysis and Improvement of Contents of Domestic Disaster & Safety Education (국내 재난안전교육 컨텐츠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Chung, Hee-Soo;Song, Chang-Geun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2 no.1
    • /
    • pp.76-82
    • /
    • 2022
  • Recently,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in Korea are increasing, and new disasters such as COVID 19 and sinkholes, and large-scale disasters that combine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are occurring frequently. In order to reduce damage caused by disasters and effectively respond to disasters, the importance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is emerging becaus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awareness of disaster situations and the functional response process. Ministry of Public Interior and Security is providing disaster safety education for emergency managers through 54 specialized disaster safety education institutions. There is also a lack of experience facilities. This has a problem in that it makes it difficult for disaster safety personnel to effectively respond to disasters due to lack of experience in actual disaster sites. Also, unlike other education fields, the connection between disaster safety education contents and new technologies such as AI is still lacking. In this study, focusing on natural disaster,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domestic disaster safety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ir contents a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nd based on this, this study suggested improvement plans for domestic disaster safety education contents such as establishment of a unified disaster safety standard curriculum,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experience contents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and infotainment technology, and development of mobile AI tutoring service.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through the Analysis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in High School in Korea (국내 고등학교 재난안전교육 실태분석을 통한 개선 방안 연구)

  • Kwon, Y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11-112
    • /
    • 2023
  • 세월호 참사 후, 전 사회적으로 안전이 강조되면서 정부 부처로서 국민안전처, 그후 행정안전부로 명칭이 변경되고 관련 법규가 제정 및 정비, 시행되면서 교육측면에서도 전보다 강력한 재난안전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정책적 노력의 연장선상에서 정부는 국민 안전교육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2016년 5월 「국민안전교육 진흥기본법」을 제정하여 대국민 안전교육 관련 제도, 정책 수립 및 집행 기능을 대폭 확대하였다. 그러나 국민 안전교육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전 국민 대상 재난안전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기에는 한계가 있음이 여러 연구에서 나타나고 있다. 2015년 이후 재난안전교육 관련 선행연구들은 국내 안전교육이 일회성이나 단기간의 교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지양하고, 생활 속에서 계획적으로 실시되어 지식적 측면·행동적 측면·태도적 측면의 유기적 통합이 이루어지도록 요구하고 있고, 이를 통해 안전교육 효과가 증진됨을 알려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재난안전교육의 목표를 재확인하고 2023년 초까지 진행되었던 안전교육의 실태를 2014년 이후 안전교육을 가장 체계적·지속적으로 받아온 고등학교 학생 대상의 재난 안전 인식 설문을 통한 통계 분석의 과정을 진행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생애주기별로 지속적·체계적·반복적으로 이루어져야만 그 목표를 구현할 수 있는 재난안전교육의 특성을 파악하고 교육효과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 PDF

Survey and analysis of disaster safety awareness by gender (성별 차이에 따른 재난 안전 인식에 대한 조사 및 분석)

  • Lee, Min Ji;Chung, Gun 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83-483
    • /
    • 2021
  • 전 세계적으로 대형 재난의 발생으로 인해 사회문화적 관습이나 신체조건 등의 차이로 남성보다 여성의 피해가 크다는 사실들이 다양한 사례와 연구를 통해 보고되었고, 개발도상국은 여성의 피해가 큰 반면에 선진국은 여성들의 재난 안전 및 교육 관리에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전반적인 대응 능력을 보일 수 있다는 연구들도 존재한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빈번하게 자연 재난이 발생하고 있지만, 실제로 재난 안전 인식에 대한 성별 분석을 하기 위한 자료가 부족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 국민 남녀 489명을 대상으로 재난위험인식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거주지 주변 발생 가능한 재난을 인지하고 있는지, 대피소의 위치를 인지하고 있는지, 안전 관리 교육 경험이 있는지 등의 문항으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들의 재난 안전의 위험도에 대한 인식 수준이 어떠한지 분석하고, 영향 요인을 탐색 하는 데에 있다. 조사결과 안전취약계층은 스스로 대피 하는 데에 있어 큰 어려움이 있으며, 이중 여성은 남성에 비해 안전교육과 훈련의 접근성이 적음에 따라 위험도가 더 큰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난 및 안전관리 교육 및 훈련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는 남성과 여성의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재난 안전교육의 필요성을 가지고 재난 안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구축되는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되어지고, 미래에 자연재해 발생 시 문제점을 파악하고 인명 피해 감소가 될 전망으로 기대가 된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for Soldiers on Safety Consciousness from the Perspective of Continuity (연속성관점에서 군장병 재난안전교육이 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Nam, Ji-Young;Hyun, Jae-Cheol;Cheu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53-25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연속성 관점에서 군장병의 재난안전교육이 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군장병들에 대한 효율적인 안전교육 및 안전사고 예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군장병 200명을 대상으로 안전의식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군부대 재난안전교육에 대한 모델 개발을 통하여 국방부 재난안전교육의 체계성을 높이는데 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