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잠재적 수요

검색결과 3,368건 처리시간 0.037초

제주 자원식물의 잠재적 가치

  • 정용환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0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4-4
    • /
    • 2010
  • 식물자원은 예로부터 인류의 생활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인류에게 삶의 터전을 제공하였으며 쾌적한 환경을 유지시켜 주는 기반이 되었음은 물론 인류의 생존을 위한 많은 재화를 공급하여 왔다. 이러한 식물자원의 가치는 인간생활의 기초적 의 식 주 뿐 만 아니라 질병치료를 위한 재료로도 활용되고 있다. 제주도는 지리적으로 아열대권 생물자원의 확보 및 관리가 용이한 위치에 있어 아열대 자원 및 동북아섬 자원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전진기지로서 최적지이며, 난대, 온대, 한대 및 아고산대에 걸쳐 2,100여종의 식물자원이 분포하는 생태계 보고로 알려져 있다. 특히, 진시황이 불로초를 찾아 신하를 보낸 곳이 제주도라고 전해지고 있는 만큼 이는 제주가 많은 자원식물이 분포하고 있음이 그 옛날에도 알려져 있었다는 증거라 할 수 있다. 제주에 분포하거나 재배되는 식물 중 약용 및 식용 식물자원으로 잠재적 가치를 갖고 있는 식물은 550여 분류군으로서, 양치식물 43종류, 나자식물 6종류, 단자엽식물 31종류, 쌍자엽식물 370종류 등이다. 이러한 자원식물 중 상록성 목본 31종류, 낙엽수 105종류, 만경류가 51종류, 초본류(1년초 또는 다년초)가 358종류이며, 뱀톱, 천남성, 박새 등 독성을 가지는 식물도 43종류가 포함되어 있다. 비록 기존 알려진 약용 및 식용 식물자원이 산업적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고는 하나 그 약효나 효능의 검정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나머지 자생식물까지 포함하면 상당수의 제주 자생식물이 자원식물로 사용될 수 있는 잠재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삶의 질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집중하고 있으며, 자원식물 유래 천연물을 소재로 한 향장품 및 건강기능성 식 의약품을 포함한 기능성 상품은 안전성이 보장되며 우수한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자원식물을 소재로 한 기능성 상품의 개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지역도 청정지역 제주에 자생하고 있는 자원식물의 잠재적 가치를 활용하여 미래 제주 창출을 위한 신산업육성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제주 자원식물들의 잠재적 가치를 활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건강 뷰티 생물산업을 지역전략산업으로 추진하면서 제주 자원식물들의 새로운 잠재적 가치를 조명하고 있어 이에 대한 지역내 추진노력 및 관련 산업현황 등을 정리하여 몇가지 견해를 제기하고자 한다.

  • PDF

대설특성을 통한 잠재적 위험도 분석 - 충청북도 11개 시·군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Potential Danger Factors by the Characteristics of Heavy Snow - Focused 11 Cities and Guns in Chungcheongbuk-do -)

  • Yoon, Sanghoon;Park, Keunoh;Kim, Geunyoung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23-3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 내 각 지자체를 대상으로 지역별 대설특성을 통한 잠재적 위험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35년 평균적설량으로 인한 잠재적 위험도는 제천시와 보은군이 가장 높았으며 35년 최대적설량을 통한 잠재적 위험요인에서는 다른 결과가 도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잠재적 위험요인에 대한 지역의 빈도수를 살펴보면 가장 높은 지역은 보은군, 제천시, 괴산군, 영동군, 청주시 순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대설특성 뿐만 아니라 잠재적인 위험요인들을 도출하고 그에 대한 위험도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충청북도 각 지자체들의 제설대응체계 및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경제적 지표를 활용한 결핵의 잠재적 위험도 분석 - 충청남도 8개 시를 대상으로- (Analysis of Potentioal Risk of Tuberculosis Using Socioeconomic Indicators - Focused on 8 Cities in Chungcheongnam-do -)

  • 박근오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68-80
    • /
    • 2021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결핵에 걸릴 수 있는 잠재적인 인구, 사회, 경제적 영향요인들을 도출하고, IPA분석을 활용하여 충청남도 8개 시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방법: 결핵에 잠재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인구, 사회, 경제측면에서 분류하고, 브레인 스토밍을 통하여 선정하였다. 그리고, 응용된 IPA 분석을 통하여 결핵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 요인을 도출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잠재적으로 결핵발생에 위험한 지역을 구분하고, 그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논산시·보령시·공주시가 결핵과 관련된 잠재적 위험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잠재적 위험요인에 대한 빈도수는 논산시·보령시·공주시가 6개 이상인 것으로 도출되었으며, 이 지역에 대한 적극적인 결핵 예방정책 및 사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충청남도 결핵 관련 예방정책 및 사업 추진시 잠재적 위험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감공간기술 잠재적 사용자들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prospect users' intentions to adopt TSI technologies)

  • 김민규;김주환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685-69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로저스의 개혁확산이론(Rogers, 2003)과 데이비스의 기술수용모형(Davis, 1989)을 바탕으로 실감공간기술에 대한 잠재적 사용자의 태도를 분석하였다. 개혁확산이론과 기술수용모형을 바탕으로 한 선행 연구들을 통해 새로운 미디어의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고찰할 수 있었다. 개혁확신이론을 통해서는 개인의 심리적 수준은 물론 인구통계학적 수준, 사회적 수준 등 다양한 요인과 그 하부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기술수용모형을 통해서는 개혁확산이론을 통해 도출된 다양한 변인들이 실감공간기술에 적용될 수 있다는 가설을 설계할 수 있었다. 개혁확산 이론과 기술수용모형을 통해 이미 설명된 기존의 뉴미디어들과 달리 실감공간기술이 개발 진행 중이라는 점과 그 다양한 발전 가능성이라는 특징을 고려했을 때, 실감공간기술의 확산을 어떻게 예측하고 설명할 수 있는지 고찰하는 것 또한 본 연구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감공간기술에 대한 잠재적 사용자들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실감공간기술의 다양한 활용 방안에 대하여 모색하였다.

  • PDF

거푸집공사 안전관리를 위한 잠재적 위험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tential Risk Analysis for the Safety Management in the Formwork)

  • 신윤석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1-128
    • /
    • 2021
  • 국내 건설 프로젝트가 점차 대형화 및 복잡화됨에 따라 국내건설산업은 타 제조업에 비해 산업재해가 더 많이 발생한다. 거푸집 공사는 건축공사, 특히 철근콘크리트조에서 전체 공사기간과 공사비 측면에서 모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실제로 건축공사에서 발생하는 건설재해 중 거푸집공사에서 발생하는 건설재해의 비율이 매우 높다. 거푸집공사 중 발생 가능한 건설재해 예방을 위해서 많은 기존 연구들이 수행되었는데, 이 연구들 중 설문조사 분석을 이용한 연구들은 일반적으로 설문 응답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기 때문에 얼마나 많은 작업자와 관리자들이 거푸집공사에서 위험을 느끼는가 하는 잠재적인 위험에 대한 파악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거푸집공사 안전관리를 위해서 잠재적 위험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실제 설문조사 및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를 기존의 IPA기법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잠재적 위험분석 방법은 기존의 IPA에서 확인할 수 없었던 잠재적인 위험이 있는 위험요인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현재 수행 중인 거푸집공사에서 어떠한 위험요인들이 시급히 조치가 필요한 지 파악할 수 있게 해주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잠재적 위험분석 방법은 거푸집공사에서 잠재적 위험이 있는 항목을 도출함으로서 안전관리자가 건설현장 안전관리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러일전쟁에서 본 한국해군의 발전방향 (From the Sea to Post-Modern Navy as a Future Korean Maritime Strategy based on the Russo-Japanese War case study)

  • 임종수;백병선
    • Strategy21
    • /
    • 통권30호
    • /
    • pp.286-311
    • /
    • 2012
  • 한국은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로서 대륙으로는 북한과 대치 중에 있으며, 해양으로는 세계 강대국인 중국, 일본, 러시아 등에 의해서 둘러 쌓여 있다. 이러한 안보환경에서 최근 북한은 김정은 후계세습을 위해 천안함 피격사건과 연평도 포격도발 사건을 감행하였으며, 이러한 북한의 도발위협은 김정일 사후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은 북한이라는 현존 위협에 대비함과 동시에 주변국으로 상정할 수 있는 잠재적 위협에도 대비해야 한다. 특히 잠재적 위협의 경우 해상에서 한국과 국가이익이 상충되고 있으며, 이들 모두 한국보다 강한 해군력을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들어 해군력을 강화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의 안보정세는 한국해군이 향후 어떠한 해양전략을 추구해야 하는지에 대한 재정립을 요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한국의 잠재적 위협인 러시아와 일본 간에 발생한 러일전쟁을 통해 미래 위협에 대비한 최정예해군(Post modern navy)으로 도약하기 위한 한국해군의 발전방향을 도출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4가지 핵심개념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는 최정예해군으로서 해양통제와 거부를 균형적으로 갖추고, 원정작전 수행능력을 보유하며, 해양경찰과 결속력이 있는 유대관계를 형성 및 북한의 비대칭전력에 대한 대응능력을 갖춘 해군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결국 한국해군은 대륙세력인 북한의 위협에 대비하고 동시에 미래 잠재적 위협에 대비함과 동시에 해양에서의 국가이익을 보호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은 해양국가이다. 한국은 결코 바다를 포기할 수 없으며, 한국해군이 추구하는 해양전략은 국가의 운명을 결정짓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논문은 향후 한국해군이 어떠한 해양전략을 추구해야 하는지에 대해 하나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 PDF

해외부문과의 잠재적 경쟁과 시장구조: 실증분석과 정책적 함의 (Potential Foreign Competition and Market Structures: Empirical Analysis and Policy Implications)

  • 최용석;조성빈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29권1호
    • /
    • pp.79-112
    • /
    • 2007
  • 대외개방의 진전은 해외로부터의 실재적 경쟁(actual competition)과 잠재적 경쟁(potential competition)을 동시에 촉진할 수 있다. 경쟁정책을 집행하는 데 있어 지금까지 경쟁당국은 국내시장에서 수입품이 차지하는 비율, 즉 실재적 해외경쟁만을 고려해 온 경향이 있으며, 잠재적 경쟁에 대한 고려는 상대적으로 적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은 수입침투율의 국내시장조건에 대한 동태적 반응을 잠재적 경쟁의 측정지표로 사용하여 해외로부터의 잠재적 경쟁이 한국의 산업별 시장구조에 따라 어떤 차이를 가지는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동태적 패널모형을 이용한 실증분석의 결과, 해외로부터의 잠재적 경쟁이 유의하게 존재하며, 이는 국내시장구조가 상대적으로 독과점화되어 있는 경우 보다 강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시장구조만으로 경쟁의 정도를 파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따라서 경쟁정책의 왜곡을 줄이기 위해서는 해외부문과의 잠재적 경쟁을 적절히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잠재적 후보기술 경로 탐색방법 : 바이오 연료 사례 (Method to Identify Future Technology Candidates: Biofuel Case)

  • 이용승;신준석
    • 기술혁신연구
    • /
    • 제28권3호
    • /
    • pp.29-53
    • /
    • 2020
  • 기존 주경로 연구는 과거 핵심기술의 진화를 구조화하는데 적합하나, 패러다임 전환기의 잠재적 후보기술 파악과 주류기술 교체를 예측하기는 어렵다. 본 연구는 링크 중요도, 성장 속도 지표, 핵심 루트 방법을 복합해 특허 인용 네트워크로부터 주경로상의 기술을 대체할 잠재적 후보기술들을 파악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링크 중요도에 기반해 주경로를 도출하고, 성장 속도 지표를 활용해 주경로 대비 고성장하는 잠재적 후보기술 경로들을 도출한다. 성장 속도 지표는 상대적 성장성 평가에 활용되고, 이를 통해 주경로를 교체할 가능성이 높은 잠재적 후보기술을 파악할 수 있다. 차세대 기술 후보들이 다수 등장해 경쟁하고 있는 바이오 연료기술에 적용한 결과 실제 차년도에 주경로상의 기술을 교체하는 후보기술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기술 패러다임 전환기 후보기술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가능하게 하고, 주경로 기법의 활용범위를 미래기술 예측으로 확대한 측면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실무에서는 차세대 후보기술 파악의 정확도 제고에 기여할 수 있다.

계약정보 공유에 따른 언더라이팅 활용에 대한 고찰 (Study of Usage of Underwriting under Shared Policy Contract)

  • 배영희
    • 보험의학회지
    • /
    • 제22권
    • /
    • pp.121-137
    • /
    • 2003
  • 현행 생명보험업계는 중복가입계약에 대한 정보교환제도를 시행함으로써 잠재적 위험에 대한 위험평가를 하고는 있으나 실제 언더라이팅 과정에서는 효율적인 활용을 못하고 있다. 따라서 언더라이팅 실무 입장에서 현행 정보교환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각 보험회사가 취할 수 있는 효율적인 대응방안을 제시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현행 정보교환제도의 문제점을 크게 몇가지로 나눌 수 있다. - 교환기준에 미달하는 다수의 계약건을 가입한 경우 위험평가 불가 - 위험평가상 고지의무에 충실한 계약자의 상대적 불리 - 정해진 기준과 다른 임의적 기준적용 등 선별적 자료교환으로 위험선택에서 배제된 잠재적 위험들의 계속적인 계약 및 지급 등 역선택 방조기능 - 실시간 반영된 정보부재 및 교환된 자료만으로 one-stop 위험평가를 할 수 없는 어려움 내재 - 정보교환에 대한 전체적 참여노력 부족 및 자기정보에 대한 방어와 자체 활용 이런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효율적 대응방안을 제시해 본다. - 언더라이팅 측면에서 판매채널 다변화, 업무겸업화 둥 대외 환경변화에 따른 위험분석 및 평가, 위험분산을 위한 multi-player로서의 언더라이터 양성 필요 - 지급, 조사건의 분석 및 통계화 등 feed back 기능 강화통한 언더라이팅 활용 - 방문진단 통한 적부기능 활용 또는 모집자 사정평점제 등 언더라이팅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위험평가 자료축적 - 영업환경적 측면에서 고보장 상품의 경쟁적인 개발제한 - 정보교환제도 측면에서 정보교환 기준 변경 및 교환내용 추가 및 공동의 계약인수 guideline 필요 - 진단거절체, 표준미달체, 사절체 등 새로운 정보교환의 추진 필요 - 종합적인 피보험자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피보험자 종합정보의 데이터 구축 및 활용 효율적인 위험관리 외에도 각 보험회사별로 역선택 위험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하고 업계간 정보교환에 적극적인 참여와 노력이 필요하며 잠재적 위험평가를 하는데 있어 계약자에게는 객관적 근거없이 불편을 갖지 않도록 언더라이팅 서비스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지속적인 피보험자의 위험통계축적으로 잠재위험에 대한 보다 객관화된 위험평가를 할 수 있는 언더라이팅 기법을 체득함으로써 언더라이팅 경쟁력을 갖을 수 있다.

  • PDF

면역체계와 연관된 척추의 잠재적 역할에 대한 통찰 (Insight Into the Potential Role of the Spine in Relation to the Immune System)

  • 조일영;최현석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2호
    • /
    • pp.85-92
    • /
    • 2023
  • 비정상적인 척추 질환 및 기능은 단순한 근·골격계 문제 외에도 항상성을 방해하고 직·간접적인 생리적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척추를 통해 나오는 신경이 면역체계를 조절하는 기관에 적절한 신호를 전달하지 못하면 면역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에 문제가 생겨 더 많은 질병에 노출될 수 있다. 이 연구는 기본적인 해부학 및 생리학적 지식에 초점을 맞추고 척추 기능이 잠재적으로 면역 기능을 유지하거나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잠재적 메커니즘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조혈, 스트레스, 호흡, 척추와 신경의 관계, 면역체계와 관련된 척추의 역할을 살펴보고 이러한 역할이 면역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