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원기반이론

Search Result 34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Study on Satisfaction on Use of VR Tourism Program (VR관광콘텐츠의 이용만족에 대한 연구)

  • Yang, Sung-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8
    • /
    • pp.184-193
    • /
    • 2019
  •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ourism items or products based on new technology is created or developed for tourists. This study examines tourist's satisfaction about VR program, "Secret Wind Forest", which is the story of Gotjawal, one of famous Jeju eco-tourism attraction.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goal, it identified a study model from the previous studies. It collected data using survey from visitors who used VR program. The total of 227 questionnaires was utilized for data analysis. Based on the study model, it accepted five hypotheses (H1~H5), which are as follows. Firstly, individual innovativenes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Secondly, individual innovativeness influenced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influenced usage satisfaction. These results have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 in terms of the development to tourist products using VR program. Academics can provide basic theories such as tourism activities, behaviors, and attitudes to tourism consumer-related studies on VR tourism program in terms of content application. Practically, it can help tourist marketers who want to use VR tourism program and content developers who use VR devices to construct VR program stories using tourism resources and to plan and execute contents considering the target market.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lobal Unicorn Club' and the Factors Influencing its Valuation: Focusing on the 'Unicorn Club' in 2019 ('글로벌 유니콘 클럽' 기업의 특성 및 기업가치 영향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2019년 '유니콘 클럽' 기업을 중심으로)

  • Lee, Young-Dall;Oh, Soyoung;Yoon, Yoni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5 no.6
    • /
    • pp.1-26
    • /
    • 2020
  • The term 'Unicorns' in the corporate ecosystem was firstly introduced by Aileen Lee in 2013. It has been actively discussed in South Korea particularly to compare the level of the 'start-up ecosystem' from a global perspective. Accordingly, the Korean government has recently set a policy goal 'to nurture 20 Korean unicorn companies by 2022'. While the phenomenon of 'Unicorn Club Company' has been brought to the level of policy objectives and spread more widely to the public, existing academic research to understand its substantial and underlying implications has been insufficient. First,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479 'Unicorn Club' companies in 2019 were analyzed in-depth. Previous research has focused on the general status and trend by analyzing the number of unicorn companies by country and industry classifications. However,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exploratory analysis by investigating descriptive statistics about unicorn companies, including their investors, while providing case studies. Also, cluster analysis, ANOVA, and multi-level regression were employed for quantitative explo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companies were examined based on the "ERIS Model (Entrepreneur - Industry(Market) - Resource - Strategy Model)". Secondly, factors influencing its valuations were examined in connection with the previously analyzed characteristic variables and investor characteristics. Finally, based on these, the future direction of the "Unicorn Phenomenon" from the perspective of "Enterprise Ecosystem" and productively using i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ublic policy is suggested.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mage, attachment, long-term orienta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as a tourism product of local traditional food (지역전통음식의 관광상품으로서 이미지, 애착이 장기지향성 및 행동의도간 구조적 관계)

  • Seo, Gyeong-Do;Lee, Jung-E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11
    • /
    • pp.75-83
    • /
    • 2021
  • This study presented the analysis results and implications by identify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 of food tourism products, the long-term orientation of attachment, and the behavioral intention.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of the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was used,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non-face-to-face due to COVID-19.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customers who live in Jeollabuk-do and Jeollanam-do and have experienced local traditional food. As for the survey method, the main researcher's acquaintances and related experts were consulted and utilized to select the survey subject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by sending/returning them by mail or e-mail. Statistical processing was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5.0 statistical packages.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 and attachment of food touris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ng-term orientation in the attachment of traditional food, and the behavioral intention in the attachment of traditional food are significant. A significant positive (+) relationship was formed in the relationship of hypothesis setting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of the relationship.

Research Trend on ESG Management of Corporation (기업의 ESG 경영에 대한 국내·외 연구동향)

  • Byun, Youngjo;Woo, Seung Han
    • Clean Technology
    • /
    • v.28 no.2
    • /
    • pp.193-200
    • /
    • 2022
  • The term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ESG) was first used in the 2003 United Nations Environmental Programme Finance Initiative (UNEP FI). Among the three areas of ESG, environment refers to the impact of companies on the environment. Environmental factors address climate change policies and attempts to reduce emissions, waste and natural resource consumption. Social factors refer to the direction in which a company can improve the social impact of stakeholder includes employees, customers, communities, and governments involved in direct or indirect interaction with the organization itself and the company. Governance factors refer to stakeholders who make major decisions, the composition of the board of directors, their diversity and independence, and the internal policies that set limits and expectations for decision-making. Research related to ESG management is par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sustainability, corporate or financial performance, and social responsibility investment. Through case studies and data-based empirical studies, it was confirmed that ESG management companies had positive results for most of the ESG related fields. Through literature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ESG history, introduction background,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is paper presents theoretical, practical implications by confirming that ESG's introduction and operation strategies are strong competitive strategies that directly affect corporate growth by creating attractive factors.

The Effect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of Customized Cosmetics According to Selection Attributes on Purchase Satisfaction Behavioral Intention (선택속성에 따른 맞춤형화장품의 계획행동이론이 구매만족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Kim, So-Ye;Baek, Won-Jin;Kim, Hyeon-Gyeong;Han, Chae-Jeong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2 no.3
    • /
    • pp.222-235
    • /
    • 2022
  • The Government provides a financial assistance to stimulate firm R&D and innovation activities. Previous papers on the impact of public subsidies on firm R&D investments mainly had a focus on an individual policy tool regardless of potential impacts of other policy instruments. This study addresses this gap by examining the effects of policy mix regarding a subsidy and a tax credit. The empirical analyses from fixed effect model using Survey on Technology of SMEs 2015-2017 revealed valuable points. First, policy mix induces more R&D investment of SMEs, which in turn, shows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wo instruments. Second, even if impact of tax credit controlled, subsidy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MEs R&D investment. These findings justify policy mix interventions to promote SME R&D activity. Moreover, grants can be applied as a more useful policy tool for SMEs that are constrained by resources and capabilities.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Secondary Teacher Training Program to Build TPACK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기업가정신 교육에서의 TPACK 강화를 위한 중등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Seonghye Yoon;Seyoung Kim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8 no.4
    • /
    • pp.51-63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a secondary teacher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TPACK model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teachers of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the context of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entrepreneurship as a future competency, and to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it. To this end, a teacher training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based on the ADDIE model, and 22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Gangwon Province were trained and the effectiveness and validity were analyzed. First, the results of the paired sample t-test of TPACK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ll sub-competencies. Second, the satisfaction survey of the training program showed that the overall satisfaction was high with M=4.83. Third, the validity of the program was reviewed by three experts, and it was found to be highly valid with a validity of M=5.0, usefulness of M=4.7, and universality of M=5.0. Based on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in order to exp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opportunities for teachers' holistic capacity building such as TPACK should be expanded, teachers'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backward design should be promoted, and access to various resources that can be utilized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 PDF

Design of MAHA Supercomputing System for Human Genome Analysis (대용량 유전체 분석을 위한 고성능 컴퓨팅 시스템 MAHA)

  • Kim, Young Woo;Kim, Hong-Yeon;Bae, Seungjo;Kim, Hag-Young;Woo, Young-Choon;Park, Soo-Jun;Choi, Wan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2 no.2
    • /
    • pp.81-90
    • /
    • 2013
  • During the past decade, many changes and attempts have been tried and are continued developing new technologies in the computing area. The brick wall in computing area, especially power wall, changes computing paradigm from computing hardwares including processor and system architecture to programming environment and application usage. The high performance computing (HPC) area, especially, has been experienced catastrophic changes, and it is now considered as a key to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late 2000's, many leading countries rushed to develop Exascale supercomputing systems, and as a results tens of PetaFLOPS system are prevalent now. In Korea, ICT is well developed and Korea is considered as a one of leading countries in the world, but not for supercomputing area. In this paper, we describe architecture design of MAHA supercomputing system which is aimed to develop 300 TeraFLOPS system for bio-informatics applications like human genome analysis and protein-protein docking. MAHA supercomputing system is consists of four major parts - computing hardware, file system, system software and bio-applications. MAHA supercomputing system is designed to utilize heterogeneous computing accelerators (co-processors like GPGPUs and MICs) to get more performance/$, performance/area, and performance/power. To provide high speed data movement and large capacity, MAHA file system is designed to have asymmetric cluster architecture, and consists of metadata server, data server, and client file system on top of SSD and MAID storage servers. MAHA system softwares are designed to provide user-friendliness and easy-to-use based on integrated system management component - like Bio Workflow management, Integrated Cluster management and Heterogeneous Resource management. MAHA supercomputing system was first installed in Dec., 2011. The theoretical performance of MAHA system was 50 TeraFLOPS and measured performance of 30.3 TeraFLOPS with 32 computing nodes. MAHA system will be upgraded to have 100 TeraFLOPS performance at Jan., 2013.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 of Age-friendly Industry Activation Policy of the Korean Government: 'From the First to Third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2006-2020)' (한국 정부의 고령친화산업 활성화 정책의 가능성과 한계: '제1-3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2006-2020)'을 중심으로)

  • Park, Seung-Min
    • 한국노년학
    • /
    • v.37 no.1
    • /
    • pp.55-8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ge-friendly industry of Korea by analyzing the age-friendly industry activation policy suggested by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Policy in response to the population ageing problems. Policy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derived from an analysis of age-friendly industry activation policy as directly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the three major problems (i.e. health, economy, and loneliness) of Korean older people. This analysis focuses on its specific content, common and core logic, and the validity of the logic. The results show that: 1)the first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suggests a policy for improving poverty, 2)the second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suggests a policy for improving health, and 3)the third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suggests a policy for improving health and loneliness. All policies not only are commonly based on the logically limited concepts of successful ageing and active ageing, but also are characterized by narrow realm, insufficient content, and fragmented policy. The results result in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1)the age-friendly industry activation policy should be developed with continuity, sufficiency, and diversity, 2)lessons from the limitation related with the de-contextualisation of successful ageing and its elective affinity with consumer capitalism, 3)lessons from the prevention-oriented perspective of active ageing, and 4)lessons from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non-)psychological resources, limitation of the reablement related with social investment state. The analyses also provide a theoretical implication that a different perspective on the social construct of ageing is needed beyond the dichotomy of ageing based on modelling ageing. Lastly, the paper suggests not only the limitation of the research but also the preferred follow-up studies regarding age-friendly industry activation policy.

Performance Analysis of Slave-Side Arbitration Schemes for the Multi-Layer AHB BusMatrix (ML-AHB 버스 매트릭스를 위한 슬레이브 중심 중재 방식의 성능 분석)

  • Hwang, Soo-Yun;Park, Hyeong-Jun;Jhang, Kyoung-Son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34 no.5_6
    • /
    • pp.257-266
    • /
    • 2007
  • In On-Chip bus, the arbitration scheme is one of the critical factors that decide the overall system performance. The arbitration scheme used in traditional shared bus is the master-side arbitration based on the request and grant signals between multiple masters and single arbiter. In the case of the master-side arbitration, only one master and one slave can transfer the data at a time. Therefore the throughput of total bus system and the utilization of resources are decreased in the master-side arbitration. However in the slave-side arbitration, there is an arbiter at each slave port and the master just starts a transaction and waits for the slave response to proceed to the next transfer. Thus, the unit of arbitration can be a transaction or a transfer. Besides the throughput of total bus system and the utilization of resources are increased since the multiple masters can simultaneously perform transfers with independent slaves. In this paper, we implement and analyze the arbitration schemes for the Multi-Layer AHB BusMatrix based on the slave-side arbitration. We implement the slave-side arbitration schemes based on fixed priority, round robin and dynamic priority and accomplish the performance simulation to compare and analyze the performance of each arbitration schem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ster and slave. With the performance simulation, we observed that when there are few masters on critical path in a bus system, the arbitration scheme based on dynamic priority shows the maximum performance and in other cases, the arbitration scheme based on round robin shows the highest performance. In addition, the arbitration scheme with transaction based multiplexing shows higher performance than the same arbitration scheme with single transfer based switching in an application with frequent accesses to the long latency devices or memories such as SDRAM. The improvements of the arbitration scheme with transaction based multiplexing are 26%, 42% and 51%, respectively when the latency times of SDRAM are 1, 2 and 3 clock cy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