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기 낙인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1초

대학생의 낙인, 상담에 대한 기대와 상담 추구태도 간의 관계 (The Relations among Stigma, Expectation About Counseling, and Attitude Toward Seeking Counseling in College Students)

  • 김정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391-402
    • /
    • 2016
  • 본 연구는 낙인이 상담 추구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상담에 대한 기대의 매개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2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17.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낙인과 사회적 낙인이 상담 추구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상담에 대한 기대와 관련하여서는 자기낙인은 상담에 대한 기대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낸 반면, 사회적 낙인과 상담에 대한 기대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자기낙인과 상담추구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있어 상담에 대한 기대에 의해 부분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낙인과 상담 추구태도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에 대한 구체적인 탐색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실제 상담 서비스를 이용하는 상담 추구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각 개인이 지닌 심리 정서적 문제의 인식보다는 개인이 경험하는 자기낙인이 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중심으로 상담 추구태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개입방법으로서의 상담에 대한 기대를 높일 수 있는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정신장애인의 자기 낙인과 삶의 질, 자존감과의 관계 연구 (Correlates of Self-Stigma,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Among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 이현지
    • 재활복지
    • /
    • 제22권2호
    • /
    • pp.83-102
    • /
    • 2018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자기 낙인과 자존감, 삶의 질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기 낙인과 다양한 삶의 질 영역과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D와 K지역에 위치한 정신건강복지시설을 이용하는 정신장애인 254명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자기 낙인과 자존감, 삶의 질은 유의한 부적관계가, 자존감과 삶의 질은 유의한 정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자기 낙인과 삶의 질 하위영역과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존감은 자기 낙인과 삶의 질의 신체적, 심리적, 환경적 영역과의 관계에서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기 낙인과 삶의 질 사회관계 영역과의 관계에서 자존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정신장애인의 자기 낙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를 저하시키는데 자존감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신장애에 관한 사회적 편견과 차별의 감소를 위한 개입뿐 만 아니라 정신장애인의 스스로 장애에 관한 부정적 인식의 전환과 자존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개발의 필요성 및 향후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낙인이 자살생각에 대한 도움요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 군 병사를 대상으로 (Effects of Stigma on Help-Seeking Intentions for Suicidal Ideation: Focused on Korean Soldiers)

  • 김지인;권호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29-38
    • /
    • 2017
  • 자살 위험성이 있는 사람이 주변지지 체계에 도움요청을 하는 행위는 자살예방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군 병사를 대상으로 자살생각에 대한 도움요청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기제를 파악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총 471명의 한국 군 병사가 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낙인과 자기 낙인이 자살생각과 도움요청의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사회적 낙인과 자기 낙인은 자살생각과 도움요청의도를 부분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나, 자살생각은 낙인을 통해 간접적으로 도움요청의도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낙인은 자기 낙인을 강화시킬 뿐 아니라 직접적으로 도움요청 의도를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군 병사의 자살에 대한 도움요청 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 낙인과 자기 낙인 모두를 감소시키는 자살예방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낙인에 대한 출소자의 인식이 대인관계에서 신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x-prisoner's Perception of Stigma on Trus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 공정식
    • 시큐리티연구
    • /
    • 제57호
    • /
    • pp.57-84
    • /
    • 2018
  • 본 연구는 낙인에 대한 출소자의 인식이 대인관계에서 신뢰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선행연구들은 일반인들이 출소자를 기피하고 차별하는 의식들의 근저에는 낙인이 있다고 하였다. 이는 결국 출소자들의 재범에도 영향을 준다고 하였으나, 낙인에 대한 출소자 스스로의 인식에 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거의 없는 편이다. 낙인은 다양하게 설명될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낙인의 하위척도를 대중낙인, 개인낙인, 그리고 자기낙인으로 구분한 Phillips(2016)의 견해에 기초하였다. 그는 출소자들이 자기 낙인보다는 대중낙인을 더 크게 인식한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와도 일치한다. 그런데 출소자들이 자기낙인보다 대중낙인을 더 크게 인식하면서도, 대인관계에서 상대에 대한 신뢰에 있어서는 대중낙인보다 자기낙인의 영향을 더 받는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출소자들이 외면적인 사회적 인식보다는 내면적인 심리적 인식에 더 민감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출소자의 내면적 자기낙인을 극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개입이 요구된다. 본 연구결과, 첫째 낙인은 대인관계에서 신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자기낙인이 대부분의 대인관계에서 신뢰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자기낙인이 심할수록 대부분의 대인관계에서 신뢰가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구체적으로 가족관계 중에서는 자녀, 사회관계 중에서는 직장동료, 그리고 일반관계 중에서는 자신과의 신뢰에 낙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낙인이 출소자들의 삶에 있어서 중요한 타자들과의 관계에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는 점을 확인해준다. 셋째 출소자들은 자기낙인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이 필요한데, 자기낙인은 자아정체성을 부정적으로 재정립하여 스스로를 일탈자로 인식하고 불량한 생활양식을 보이며, 경력범죄자로 발전해가는 것을 의미하는 바, 자아정체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개입이 요청된다. 넷째 본 연구는 남성범죄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성별에 따라 낙인을 인식하는 것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이고, 또한 낙인은 대인관계 뿐만 아니라 결국 사회 내 재통합과 재범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는 바, 이를 추후 연구과제로 제시한다.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과 심리사회적 적응 간의 관계: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Psychosocial Adjustment in Out-of-School Youth: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 이화명;김영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549-56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낙인이 학교 밖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사회적 낙인과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시에 거주하는 학교 밖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첫째, 사회적 낙인은 자기개념 명확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낙인은 심리사회적 적응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개념 명확성은 심리사회적 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낙인과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사회적 낙인과 심리사회적응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봄으로써 학교 밖 청소년들의 심리사회적 적응 방안을 모색하고, 자기개념 명확성을 높일 수 있는 상담적 개입을 촉구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자살 사고를 가진 20-30대 성인의 도움요청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intentions to seek help in Adults with Suicidal Ideation)

  • 김나리;권호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69-47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살사고를 가진 20-30대 성인의 공식 및 비공식 도움요청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모집된 성인 215명으로, 이들은 자신의 자살 사고, 자기 은폐, 자살 낙인, 사회적 지지에 대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에 참여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사회적 지지와 자살 낙인은 일반적인 도움요청의도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또한 사회적 지지는 공식 및 비공식적 도움요청 의도에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자살 낙인과 자기 은폐는 비공식적 도움요청 의도와만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자살 고위험군에서 자살에 대한 도움요청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 증가 및 자기 은폐를 감소시키는 개입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청소년의 피학대경험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공식낙인의 종단적 매개효과 검증: 낙인이론과 자기회귀교차지연 모델을 적용하여 (Longitudinal Mediated Effects of Informal Label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Abuse and Academic Achievement: Application of Labeling Theory with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 이택호 ;한윤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2권4호
    • /
    • pp.567-59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낙인이론과 여러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하여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의 욕설 및 폭력 등의 피학대경험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공식낙인이 매개하는지 종단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비공식낙인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한국청소년패널 조사 중2 패널 2차년도~4차년도 데이터(N=3,168)를 활용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모델(ARCL)로 분석을 진행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피학대경험은 비공식낙인에 종단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둘째, 청소년의 비공식낙인은 학업성취에 종단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셋째, 청소년의 피학대경험은 학업성취에 종단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나타냈고, 이 경로를 비공식낙인이 부분 매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아동학대 예방의 방향성과 비공식낙인에 대한 예방 및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비공식낙인을 받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대처 프로그램을 개발한다고 했을 때의 방향성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낙인이론을 검증한 경험적 뒷받침이 됨과 동시에 피학대경험과 비공식낙인의 지속적인 영향력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촉구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노력을 가속화 할 수 있게끔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된다.

학교 밖 청소년의 게임중독과 사회적 낙인감에 관한 상호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ame Addiction and Social Stigma of the Youth outside school)

  • 문진영;박주원;이창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343-355
    • /
    • 2020
  • 본 연구는 학업중단 청소년의 게임중독과 사회적 낙인감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종단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게임중독과 사회적 낙인감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어떻게 서로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양자사이에 시간적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기존의 여러 연구에서 검토된 사회적 낙인감 & 자기 낙인감 이론을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고찰한 후 학교 밖 청소년 패널 3차 자료와 4차 자료, 5차 자료를 이용하여 학교 밖 청소년의 게임중독과 사회적 낙인감의 관계에 대해 종단적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Amos2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게임중독과 사회적 낙인감 두 변수를 사용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모델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교 밖 청소년의 게임중독은 다음시기의 사회적 낙인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사회적 낙인감은 다음시기의 게임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게임중독과 사회적 낙인감은 강력한 자기회귀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정도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상생, 지역 사회 지지, 다학제적 관점과 민관 협치를 제언하였다.

여성출소자의 사회재진입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Re-entry Experiences to Socialization of Female Ex-Offender : Based on Grounded Theory Methodology)

  • 이아름;김미현;이동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388-409
    • /
    • 2017
  • 본 연구는 여성출소자들의 사회진입과정에 대한 경험을 이해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출소 후 법무부 산하의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으로부터 주거 및 교육지원을 받고 있는 9명의 여성출소자를 대상으로 근거이론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개방코딩에서는 88개의 개념, 33개의 하위범주, 1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 결과 인과적 조건은 "사회적 낙인", "피해의식", "자라목으로 살기: 자기-낙인"으로 나타났으며, 현상으로는 "초라한 자기초상 그리기"로 나타났다. 맥락적 조건은 "생활의 과부하", "바닥에서 다시 시작해야하는 막막함", "내가 가진 자원들의 한계", "속수무책", "의지할 수 없는 가족들"로 나타났으며, 중재적 조건은 "주변 사람들의 지지"로 나타났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내 삶을 반성하고 다시 일어서기", "자립의 도약판 놓기"가 나타났으며, 결과는 "새롭게 발견한 삶의 소소한 즐거움들", "조금씩 안정을 찾고 있는 삶", "삶을 바라보는 눈이 바뀜"으로 나타났다. 핵심범주는 "낙인의 장벽을 삶의 관점 바꾸기로 넘고 사회 속으로 다시 스며들기" 로 상정하였다. 여성출소자들이 출소 후 사회 진입에서의 경험 및 진입과정에서 필요한 도움들을 중심으로 논의되었다.

정신과 외래 환자가 지각하는 낙인과 자기효능감 및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Self-perceived Stigma,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in Psychiatric Outpatients)

  • 성기혜
    • 임상간호연구
    • /
    • 제15권2호
    • /
    • pp.127-138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elf-reported perceived stigma,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among psychiatric outpatients Methods: In the present study, researchers analyzed the survey responses of 195 patients recruited in the S hospital psychiatry outpatient clinic. The measurement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Devaluation & Discrimination" scale to determine perceptions of stigmatization, general and social efficacy scales to measure self-efficacy, and the "General Well-Being Index" to measure quality of life in psychiatric outpatient. Statistical analysis included means with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o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perceived stigma and quality of life in psychiatric outpatients (r=-.233, p=.001)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r=-.424, p=.000).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support the hypothesis that higher self-perceived stigma scores were related to reduced quality of life among patients with schizophrenia (r=-.231, p=.021), whil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perceived stigma scores and self-efficacy scores among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r=.362, p=.013).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nursing imtervention strategies should include education programs to reduce stigmatization and enhance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among patients with chronic psychiatric illne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