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기주도

검색결과 1,353건 처리시간 0.034초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적 학습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Lif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 심정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2호
    • /
    • pp.17-25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적 학습력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K광역시에 소재한 일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40명이었으며, 연구기간은 2017년 10월 10일부터 10월 17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 Multiple linear regression 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적 학습력과 삶의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간호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주도적 학습력(${\beta}=.143$, p=.029)과 수업집중도(${\beta}=.099$, p=.048)이며 설명력($R^2$)은 37.0% 이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자기주도적 학습력과 수업집중도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전략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과 자기효능감, 간호전문직관 및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인과적 관계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Vocational Basic Competencies, Self-Efficacy, Nursing Professionalism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 서요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274-289
    • /
    • 2017
  • 본 연구는 직업기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행동의 선택과 지속성을 유지하는 자기효능감의 영향관계와 자기효능감과 직업기초능력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매개효과와 간호전문직관에 대한 인식을 통해 형성되는 주도적인 학습능력이 직업기초능력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J도 소재 3개 전문대학의 간호학과 학생 396명을 대상으로 편의표집 하였다. 각각의 잠재변인은 직업기초능력, 자기효능감, 간호전문직관, 자기주도학습능력을 설정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과 자기효능감, 간호전문직관 및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인과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직업기초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고 간호전문직관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을 완전매개로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간호전문직관은 직업기초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주도학습능력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직업기초능력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대학수학에서, 자기주도 수학학습 (Toward Self-Directed Math Learning in College Math Classes)

  • 김병무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563-585
    • /
    • 2010
  • 대학수학교육에서 학생들이 자기주도 수학학습방법을 깨우쳐 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갖도록 하는 자기주도 수학학습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위한 연구욕구를 진단할 수 있는 내재적, 외재적 동기와 집중능력, 그리고 자기효능감이 있으며, 학습목표를 설정하기 위한 목표세우기와 계획능력이 있다. 그리고 인적 물적인 학습 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집중능력, 습관, 스트레스, 수학적 가치, 자기주도능력이 필요하고 학습전략의 선정과 실천을 위해서는 필기, 예습과 복습, 시간관리, 시험관리에 대한 전략을 세우고 이를 실천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대학수학에서 자기주도 수학학습에 필요한 요인과 Knowles(1975)의 자기 주도적 학습 5단계모형인 학습욕구 진단, 학습목표 설정, 학습을 위한 인적 및 물적 자원 파악, 적절한 학습전략 선정 및 이행, 학습 결과 평가를 수정 보완하여 자기주도수학학습모형을 개발하였다.

플립러닝 학습법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Flip Learning Learning Method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 양지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467-473
    • /
    • 2021
  • 본 연구는 플립러닝을 적용한 건강사정수업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경상북도 K시 일개 간호대학에서 플립러닝을 적용하여 건강사정을 수강하는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단일군 전후 비교 연구이다. 최종분석은 104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사전 사후 차이는 대응표본검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기주도 학습능력(t=-3.23, p<.01), 비판적 사고성향(t=6.381, p<.001), 학업적 자기효능감(t=-4.62, p<.0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플립러닝 학습법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비판적 사고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이 확인되었다. 플립러닝 학습범의 적용은 장기적으로는 교육환경을 개선하고 학생들의 능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할 것이다.

구체적 조작기 아동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신장을 위한 웹기반 학습 프로그램의 설계와 적용 -초등학교 3학년 수학 '자료 정리하기' 단원을 중심으로-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 courseware to extend self-learning ability in concrete operation age)

  • 이동기;이재인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650-659
    • /
    • 2004
  • 21세기의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을 육성하기 위하여 제7차 교육과정은 자율과 창의에 바탕을 둔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을 표방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의 신장에 역점을 두고있다. 이에 따라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신장을 위한 수학과 교수 학습 자료들이 제작되어 보급 활용되고 있으나 구체적 조작기 아동의 특성에 맞는 초등학교 저학년 수학교과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신장을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 연구 사례들을 분식하여 나타난 단점들을 수정, 보완하고, 초등학교 '확률과 통계'영역 중 3학년 나 단계의 '자료 정리하기' 단원을 재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를 웹기반 학습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해 봄으로써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PDF

간호대학생의 인성, 간호전문직관 및 자기효능감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aracter, Nursing Professionalism and Self-Efficacy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 정미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302-314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인성, 간호전문직관, 자기효능감 및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는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7년 5월 22일부터 6월 8일까지 J도에 소재하는 396명의 간호대학생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Dunnett T3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들의 인성 평균 $3.93{\pm}0.47$점, 간호전문직관 평균 $3.83{\pm}0.48$점, 자기효능감 평균 $3.53{\pm}0.59$점 및 자기주도학습능력 평균 $3.63{\pm}0.51$점이었다. 인성, 간호전문직관, 자기효능감은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고,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간호대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업참여도, 전공만족도, 주도적 삶에 대한 인식, 자아통제, 의지 및 능력, 습관 및 자기효능감이었다. 그러나 간호전문직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인성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교육과정 내에 자아효능감, 간호전문직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독서교육의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Reading Instruction on the Creative Ability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조미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53-71
    • /
    • 2006
  • 본 연구는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유형과 독서방식에 따라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리고 교육 기간에 따라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2005년 4월부터 12월까지 초등학교 6학년 2개 반을 대상으로 한 반은 쓰기 중심 독서프로그램 모형인 'Author-Reader-Inquirer Cycle'을 실시하고, 다른 한 반은 말하기 듣기 프로그램중심 독서프로그램 모형인 'Literature Circles'를 실시하였다.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 1회차 검사, 7월에 단기 교육 사후검사. 2학기말인 12월에 장기 교육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독서교육은 어린이들의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쓰기 중심의 독서교육 프로그램이 말하기 듣기 프로그램에 비해 효과적이고, 단기 독서교육 보다는 장기 독서교육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서 방식 중에서는 음독, 묵독, 다독, 통독, 발췌독에 비해 정독을 통한 독서방식이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향상을 위한 앱인벤터 활용 수학영재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 Learning Program Utilizing App Inventor fo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이재준;유인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8
    • /
    • 2016
  • 우리나라는 영재교육에서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신장을 매우 중요한 목표로 내세운다. 최근에는 다양한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영재 학습 프로그램이 개발되었고 이를 통해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 향상되기도 한다. 하지만 프로그래밍 활용 영재 학습 프로그램은 정보 영재를 대상으로 개발된 것이 대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향상을 위한 앱인벤터를 활용한 수학영재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에 관해 탐구하였다. 4, 5학년으로 이루어진 초등 수학 영재 1개 학급을 대상으로 모둠별로 앱인벤터를 활용해 수학 퀴즈를 만드는 활동을 하였다. 실험 적용 후 실험집단의 내재적 동기, 자율성, 개방성 등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의 하위 요소의 사후 검사 값이 유의도 .002이하로 매우 유의하였다. 따라서 앱인벤터의 활용을 통한 수학영재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은 수학 영재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전 영역에서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등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력 향상을 위한 블로그 시스템의 활용 (Th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using Blog Systems in Elementary School)

  • 윤경남;한선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89-496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자기주도적 학습력 신장을 위한 교육용 블로그 커뮤니티를 구현하여 적용한 뒤 그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블로그 커뮤니티를 활용한 수업을 한 후 자기주도적 학습력 검사지를 통해 그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 연구에서 설계 및 개발한 블로그를 활용한 학습이 일반 학급홈페이지를 활용한 학습보다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력 신장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위 척도별 검사 결과를 보았을 때 인지조절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동기조절, 행동조절 등의 척도에서 특히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블로그 커뮤니티를 활용한 학습 및 학급경영이 자기주도적 학습력 신장에 효과적이며, 특히 학습자의 동기 및 행동에 영향을 미쳐 학습자 주도형 수업 및 학급 커뮤니티를 개발하는 데 큰 도움을 주리라 기대된다.

  • PDF

지역아동센터학생 대상 EBS 동영상을 활용한 자기 주도적 수학학습 사례 연구 (Case Study on self-directed learning of mathematics using EBS contents for students at Child care centers)

  • 박경은;이상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9권4호
    • /
    • pp.589-62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라는 경제적 빈곤과 교육의 사각지대에 놓인 저소득층 아동 청소년의 자기 주도적 수학학습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방법으로 EBS 콘텐츠의 활용이 저소득층 아동 청소년의 자기 주도적 수학학습 능력을 함양하는데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본다. EBS 동영상과 학습자의 수준에 맞춘 수준별 학습 자료를 이용한 자기 주도적 수학학습 프로그램이 청소년들에게 수학에 대한 적극적인 학습 태도를 갖게 해 주며, 수학 개념 형성을 용이하게 해 주며, 의사소통능력과 인격함양에 도움을 주며, 수준별 학습을 강화시켜 주고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키고 스스로 객관적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자기 주도적 수학학습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본 연구의 과정과 내용 및 결과물을 통하여 확인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