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가 투여

검색결과 687건 처리시간 0.033초

대기압 플라즈마를 이용한 보호 유리 표면 처리를 통한 태양광 발전 효율 향상

  • 한덕선;문세연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6년도 제50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175.2-175.2
    • /
    • 2016
  • 외부에서 운용되는 태양광 시스템에 있어서 셀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보호용 유리는 다양한 기후 변화를 겪으며 직면 하게 되는 먼지, 비 그리고 바람으로 부터 그 시스템을 보호하는데 필수적이다. 그러나 유리 자체의 제한된 투과도는 태양으로 부터의 에너지 전달에 있어서 일부 손실을 야기 한다. 많은 연구자들은 유리의 투과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주어진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고자 노력 하였다. 한 예로써 패터닝 및 화학 공정을 통해 특정 크기의 표면 구조를 형성 하게 되면 유리의 투과도가 향상됨으로써 태양광 효율을 높이는 방법이 제시 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고비용 장시간을 요하는 공정 대신 1분 이내의 단 시간에 He/CH4/C4F8 대기압 플라즈마를 이용한 공정의 최적화를 통하여 유리 표면에 마이크로 나노 구조 형성 및 표면 장력 에너지를 낮추어 투과도 향상은 물론 자가 세정 기능을 더함으로써 태양광 시스템의 장기적인 외부 운용 효율을 약 0.3% 가량 높일 수 있었다. 또한 표면 처리에 사용한 대기압 플라즈마의 optical emission spectroscopy 를 통하여 공정의 최적화 과정에서의 반응 가스 온도, 전자 여기 온도 그리고 라디칼 등의 생성 반응 기작을 연구 하였다.

  • PDF

Multiple low-dose Streptozotocin 유도 Type I 당뇨병 상태의 면역 기능에 미치는 Brazilin의 영향

  • 문창규;양경미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321-321
    • /
    • 1994
  • 다양하고 복잡한 기전에 의하여 정교히 조절되고 있는 면역 체계의 비정상적인 기능에 비롯된 자가 면역 질환을 개선, 치료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많은 면역 조절제가 개발되어 온 바 있으며, 이들의 면역 조절 기전은 약물에 따라 그 효능에 있어 차이가 크고 독성등의 부작용등으로 인해 그 사용이 현저히 제한되고있는 경우가 많아 보다 안전하고 효능있는 새로운 면역 조절제의 개발은 아직도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실에서는 천연물로부터의 새로운 면역 조절제의 검색을 수행하여 온 바 있으며, 그중 Brazilin이 Low-dose Streptozotocin의 반복 투여에 의해 유도되는 당뇨병 상태의 면역 조절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검색하고자 하였다. 실험의 결과를 종합하여보면, Brazilin은 외부항원 (SRBC)의 유입시 정상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저하되어 있는 T cell의 기능을 정상 대조군 혹은 그 이상으로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B cell의 기능 역시 활성화 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로부터 Brazilin은 Streptozotocin 유도 당뇨병 상태의 면역기능을 정상화시키는 면역 조절활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자주복, Takifugu rubripes 자치어 소화기관 발달

  • 문순주;김봉원;이영돈;고환봉;강법세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65-266
    • /
    • 2000
  • 자주복, Takifugu rubripes은 경골어류 복어목 참복과에 속하고, 우리 나라 전 연안 및 일본 훗카이도 이남, 중국 등지에 분포하며 전장 70 cm이상까지 성장하는 대형어이다(Abe, 1949). 어류는 자어기에 내부영양에서 외부영양으로 영양원이 전환되는 초기생활사에 있어 소화 기관계의 변화가 일어나고, 치어기의 생장과 생존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제시하고 있다(Lee, 1988). 이 연구는 소화흡수와 직접 관련된 자주복 부화 자·치어의 각 성장단계에 따른 소화 기관의 형태적 기능적 분화과정을 조직학적으로 관찰하여, 종묘생산 과정에서의 초기 대량 폐사를 줄이고, 적절한 먹이 투여시기에 의한 보다 나은 성장률을 얻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중략)

  • PDF

6FDA-pTeMPD/mPDA polyimide copolymer membrane의 제조와 기체투과 특성

  • 박훈;남세종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4년도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28-29
    • /
    • 1994
  • 일반적으로 polyimide는 열적,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좋은 기계적 성질을 갖고 있고 기체투과 특성이 뛰어나므로 훌륭한 막 소재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높은 선택도를 나타내면 투과도가 떨어지고 투과도가 높으면 선택도가 떨어지는 일반적인 고분자 막이 보이는 경향을 따르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례적으로 높은 산소 투과도를 보이는 6FDA-pTeMPD polyimide와 높은 선택도를 나타내는 6FDA-mPDA polyimide을 공중합 시킴으로써 각각의 homopolyimide로서는 얻을수 없는 개선된 기체 투과도와 선택도를 얻을 수 있으리라 예상하여 연구를 하였다. 조성과 자유용적, 조성과 Tg관계, 조성과 투과도 및 선택도를 조사하여 공중합 하였을때 고분자의 화학 구조와 미시적 구조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분자 설계로 적절한 막 특성을 갖는 공중합 막을 합성할 수 있는 정보를 확립하였다.

  • PDF

DME 플랜트 $CO_2$흡수탑 대체용 고분자 분리막 모듈 (Polymeric Membrane Modules for Substituting the $CO_2$ Absorption Column in the DME Plant Process)

  • 정종태;이충섭;고형철;하성용;남상용;조원준;백영순
    • 멤브레인
    • /
    • 제22권2호
    • /
    • pp.142-154
    • /
    • 2012
  • DME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혼합가스 중 $CO_2$를 제거하기 위해서 $H_2$ 투과도보다 $CO_2$투과도가 우수한 고무상 고분자를 분리소재로 선정하여 복합막을 제조하고 $CO_2/H_2$의 분리성능을 검증하여 보았다. 지지체 중공사막 소재로 PEI를 이용하여 지지체 중공사막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지지체 중공사막의 기체투과도를 각 가스별로 측정하여 PDMS의 경우는 $CO_2$ 투과도 300 GPU 이상, $CO_2/H_2$의 선택도가 4.3 이상, PEBAX를 사용한 경우 $CO_2$ 투과도 120 GPU 이상 $CO_2/H_2$의 선택도가 5 이상인 복합 중공사를 제조하였다.

올레핀/파라핀 분리를 위한 poly(ethylene oxide)/AgBF4/Al(NO3)3/Ag2O 복합체 분리막 (Poly(ethylene oxide)/AgBF4/Al(NO3)3/Ag2O Composite Membrane for Olefin/Paraffin Separation)

  • 정수영;강상욱
    • 멤브레인
    • /
    • 제27권4호
    • /
    • pp.313-318
    • /
    • 2017
  • 올레핀/파라핀 분리를 위해 $Poly(ethylene oxide)(PEO)/AgBF_4/Al(NO_3)_3/Ag_2O$ 복합막이 제조되었으며, $Ag_2O$가 도입되었을 때, 복합체 분리막의 초기성능은 선택도 13.7과 투과도 21.7 GPU로 관찰되었다. $PEO/AgBF_4/Al(NO_3)_3$ 분리막의 성능(선택도 13와 투과도 7.5 GPU)에 비해서 초기성능이 증가한 이유는 $Ag_2O$의 첨가로 인한 Ag ion의 활성도 증가로 생각되었다. 하지만 시간에 따른 성능저하 현상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고분자 matrix인 PEO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PEO 고분자는 $Ag_2O$ 입자를 안정화 시킬 수 없기 때문에 용매가 증발하면서 $Ag_2O$ 입자끼리 뭉치게 되고, $Ag_2O$가 barrier 역할을 하게 돼서 시간이 지나면 투과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북 청송군 일부 기역의 호르틴스극구흡충 유행양상 (An Epidemilolgical Survey of Echinostoma hortense Infection in Chongsong-gun, Kyongbuk Province)

  • 이상금;정락승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3호
    • /
    • pp.199-206
    • /
    • 1988
  • 경북 청송군 일부 하천 유역에서 호르텐스극구흡충의 유행양상을 조사하는 한편 이 흡충 의 인체감염시 나타나는 임상적 및 기생충학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주민 26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검편에서 호르텐스극구흡충란 양성자는 59명 (22.4%)이었으며, 제2중간숙주인 담수어 조사에서는 미꾸리, 얼룩동사리 및 몰개로부터 호르텐스극구흡충의 피낭유충이 검출되었다. Pragiquantel 투여 후 시행한 충체 수집검사에서 감염자 1인당 1∼649(평균 51)마리의 충체가 검출되었고, 혈액학적 검사에서 호산구가 l∼24%(평균 6%)로 나타났다. 개인별 충란 및 충체검출 성적을 토대로 할 때, 충체 마리당 1일 평균 산란수는 1,478개로 계산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 경북 청송군 일부 하천 유역이 호르텐스극구흡충의 고도 유행지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나노복합체 필름 : 열적-기계적 성질, 모폴로지 및 기체 투과도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Nanocomposite Films : Thermomechanical Property, Morphology, and Gas Permeability)

  • 정민혜;김정철;장진해
    • 폴리머
    • /
    • 제31권5호
    • /
    • pp.428-435
    • /
    • 2007
  • 종류가 다른 두 가지 유기화 점토를 사용하여 얻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나노복합재료의 열적, 기계적 성질 및 기체 투과도를 서로 비교하였다. UHMWPE 복합체 필름을 얻기 위해 유기화 점토로는 헥사메틸렌 벤즈이미다졸-마이카($C_{16}BIMD-Mica$)와 Cloisite 25A가 사용되었다. 용액 삽입법을 이용하여 UHMWPE에 여러 다른 농도의 유기화 점토를 분산시켜 나노 크기의 복합재료를 합성하였다. 투과 전자 현미경(TEM)을 이용하여 비록 일부는 뭉쳐진 점토의 형태를 나타내었지만 한편으로는 점토가 나노 크기로 고루 분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약간의 유기화 점토 첨가(1-3 wt%) 만으로도 순수한 UHMWPE에 비해서 나노복합재료의 열적, 기계적 성질 및 기체투과도 성질이 높아짐을 알았다. 또한 전체적으로는 첨가된 두가지 유기화 점토 모두 적당한 농도에서 UHMWPE의 물성 증가에 큰 효과가 있었으며, 매트릭스 고분자에 사용된 두 가지 충전제중 Cloisite 25A가 $C_{16}BIMD-Mica$ 보다더 우수한 물성을 보였다.

고선택성 폴리이미드 소재의 합성 및 분자동력학 연구를 통한 기체투과도의 비교 (Synthesis of Highly Selective Polyimide Material and Comparison of Gas Permeability by Molecular Dynamics Study)

  • 이정무;김득주;정문기;이명건;박치훈;남상용
    • 멤브레인
    • /
    • 제25권2호
    • /
    • pp.162-17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아민기를 가지는 폴리이미드 소재 및 분리막을 제조하여 그들의 구조의 변화에 따른 기체 투과도를 측정하였으며 동력학(Molecular dynamics; MD) 기술을 이용하여 해당 기체의 시간의 변화에 따른 위치와 속도를 계산하여, 기체분자의 동적 특성을 분석하는데 활용하였다. 투과도 측정결과 합성된 고분자 소재의 경우 고분자 내의 free volume을 증가시키는 치환기를 도입시켰을 경우 기체투과도가 증가되었으나 rigid한 구조가 도입된 폴리이미드는 투과도가 감소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자동력학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기체투과거동 변화를 분석한 결과 실제 기체투과도 측정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방사선불투과성 무기입자를 첨가한 교대배열 폴리비닐알코올 마이크로피브릴의 제조 (Preparation of Syndiotactic Poly(vinyl alcohol) Microfibrils with Radiopaque Inorganic Particles)

  • 조혜원;차진욱;한성수;이준석;오태환
    • 폴리머
    • /
    • 제37권5호
    • /
    • pp.563-570
    • /
    • 2013
  •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마이크로피브릴(microfibrils)을 금속 색전코일을 대체할 수 있는 고분자 색전코일에 적용하기 위해 벌크중합으로 폴리피발산비닐(poly(vinyl pivalate), PVPi)을 제조하고 비누화 공정에서 방사공정 없이 중합도가 1100 교대배열 다이애드(diad)기 함량 60.4%인 교대배열 PVA(syndiotactic PVA, s-PVA) 마이크로피브릴을 제조하였다. 또한 별도의 조영제의 투여가 불필요한 마이크로피브릴 제조를 위해 방사선불투과성 물질인 이산화지르코늄과 황산바륨을 비누화 공정에서 첨가하여 방사성불투과성 교대배열 PVA 마이크로피브릴을 제조하였고, 무기입자 함유 s-PVA 마이크로피브릴의 computed tomography(CT) value 값 측정 결과 이산화지르코늄의 함량이 12 wt% 이상에서, 황산바륨은 6 wt% 이상에서 1000 이상의 우수한 방사선불투과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