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상적 결과

검색결과 9,082건 처리시간 0.036초

간호대학생의 임상적 추론 역량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요인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Reasoning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 한숙원;전열어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181-18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적 추론 역량에 대하여 조사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GPower 3.1.9.4를 이용하여 간호대학생 3, 4학년 297명을 대상으로 간호핵심역량과 관련된 학습능력을 파악하고자 임상적 추론,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적 의사결정, 자기주도학습, 임상수행능력을 측정하고 임상적 추론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검정하는 서술연구이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학년별로 임상적 추론역량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1), 또한 임상적 추론역량에 대한 영향변수를 확인한 결과 문제해결능력, 임상적 의사결정 능력, 임상수행능력, 임상실습경험(학년)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p,.001). 본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적 추론 역량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교육과정개발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향후 임상적 추론 역량을 높일 수 있는 교육 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중 다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임상적 결과 (Clinical Review in Double-Bundle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 이주홍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1-114
    • /
    • 2009
  • 단일 다발 십자인대 재건술의 임상적 결과를 보다 향상하고자 제안된 이중 다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은 해부학적, 생역학적, 생물학적, 운동역학적으로 많은 이론적 장점이 있고 이에 따른 임상적 측면에서의 결과 향상이 기대되지만 이를 입증할 만한 충분한 관찰 기간을 가진 임상적 연구들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저자는 이중 다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에 관련되어 최근까지 발표된 문헌을 통해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 이에 제기된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측두하악관절 내장증의 임상적 진단의 신뢰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iability of Clinical Diagnosis for TMJ Internal Derangement)

  • 김영구;이승우;정성창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3권1호
    • /
    • pp.37-44
    • /
    • 1998
  • 본연구는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구강진단과 악안면 동통진료실에 내원한 환자 중 임상적 검사에 의해 악관절 내장증으로 진단된 총 32명 53개의 측두하악 관절을 대상으로 악관절 조영술이나 자기공명영상을 실시하여 임상적 진단의 정확도를 알아보고 향후 이 결과를 적절히 활용하여 정확한 적응증의 설정에 도움을 주고자 시행되었다. 각 악관절을 임상적 검사, 조영술 및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기준으로 정상, 정복성 관절원판 변위, 비정복성 관절원판 변위, 퇴행성 관절 질환을 동반한 정복성 관절원판 변위, 퇴행성 관절 질환을 동반한 비정복성 관절원판 변위로 구분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악관절 내장증으로 내원한 환자 32명, 총 53개 관절중, 정상인 경우가 5예, 정복성 관절원판 변위인 경우가 33예, 비정복성 관절원판 변위인 경우가 14예, 퇴행성 관절 질환을 동반한 정복성 관절원판변위인 경우가 1예이었고, 퇴행성 관절 질환을 동반한 비정복성 관절원판 변위인 경우는 없었다. 2. 악관절 조영술 검사를 시행한 35개의 관절중 임상적 검사와 일치하는 경우는 32개로 그 일치율은 91.1%이었으며,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시행한 28개의 관절중 임상적 검사와 일치하는 경우는 20개로 그 일치율은 71.4%이었다. 3. 악관절 조영술 및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동시에 시행한 10개 관절중 악관절 조영술 및 자기공명영상검사가 일치하는 경우는 9개이었으며 이중 8개 결과는 임상적 진단과 일치되는 소견을 보였다. 임상적 검사는 악관절 내장증의 진단에 유용한 방법임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임상적으로는 정상으로 진단되었지만 주관적인 증상을 가진 환자에게는 자기공명영상 검사와 악관절조영술 검사 등의 영상진단술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견봉쇄골 관절 탈구의 수술적 치료

  • 이광원;송대화;최원식
    • 대한견주관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견주관절학회 1998년도 학술대회
    • /
    • pp.33-33
    • /
    • 1998
  • 저자들은 1990년 1월부터 1997년 1월까지 을지의과대학병원 정형외과에서 제3형 급성 견봉쇄골 관절 탈구로 진단받고 Phemister 방법, Bosworth 방법, Weaver and Dunn 방법등으로 수술 받은 70례의 환자에 대하여 이중 1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60례를 대상으로 하여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수상후 평균 오구쇄골간격은 건측과 비교시 평균 7.1mm의 차이를 보였는데 수술 방법에 상관없이 추시시에는 평균 2mm의 차이를 보였다. 임상적 평가에서는 우수 23례$(38\%)$, 양호 31례$(52\%)$, 보통이 6례$(10\%)$를 보여 대부분 좋은 결과를 얻어 오구쇄골 간격 증가가 임상적 결과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 결과를 가져왔다

  • PDF

신선 동결 아킬레스 동종건을 이용한 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보행분석 (Gait Analysis After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Fresh-Frozen Achilles Allograft)

  • 전철홍;조재득;전근철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76-82
    • /
    • 2009
  • 목적: 아킬레스 동종건을 이용한 관절경적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군에 대해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고 보행분석을 시행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3월에서 2005년 3월 까지 후방십자인대 손상에 대해 신선 동결 아킬레스 동종건을 이용한 관절경적 재건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 중, 저자들이 지시한 재활 프로그램에 순응한 1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수술후 추시 36개월에 임상적 결과 평가와 보행분석을 시행하였다. 임상적 결과는 관절 운동 범위, Lysholm knee score, Tegner Activity Score, IKDC score, 후방 전위 검사, Telos stress arthrometer를 이용한 후방 전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고 보행검사는 3차원적 보행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모든 임상적 결과 평가 항목에 있어서 술 전과 비교하여 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다. 보행분석 결과 환측과 건측 슬관절에 굴곡각 및 내반각의 약간의 차이를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전반적으로 양쪽 슬관절의 유의한 보행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후방십자인대 손상 슬관절에서 관절경적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 중 재활프로그램에 순응한 환자를 대상으로 평가한 결과 술 전과 비교하여 의미있게 증가된 임상적 결과와 건측과 비교하여 차이를 보이지 않는 보행분석 결과를 얻은바 후방십자인대 재건시 체계적이고 엄격한 재활치료가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임상시험연구의 통계적 고찰

  • 박미라;이재원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권1호
    • /
    • pp.229-247
    • /
    • 1995
  • 신뢰할만한 임상시험연구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통계학자가 임상시험연구의 준비단계에서부터 실험계획 및 연구의 운용, 분석은 물론 결과의 보고에 이르기까지 총체적으로 관여해야 한다. 의학전문가들과의 원활한 공동연구를 위해서는 통계학자들이 의학분야에서의 용어나 관례, 임상시험이 이루어지는 절차등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임상시험에서 진행되는 제반문제에 대해 통계학자가 숙지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 논의 하였다.

  • PDF

반월상연골 파열에 대한 관절경적 inside to out 봉합술의 결과 (Results of Arthroscopic inside to Out Repair of Meniscus Tear)

  • 김보현;황인성;윤태봉;변재용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8
    • /
    • 2004
  • 목적: 반월상 연골 파열에 대한 비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inside to out봉합술후 임상적 치유와 환자의 만족도를 결과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따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8월부터 2002년 6월까지 반월상 연골 파열에 대한 관절경적 Inside to out 봉합술을 비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하여 시행 후 12개월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95명 110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는 임상적 치유와 주관적 만족도로 평가 하였으며 이들 결과에 대한 나이, 수상 후 수술까지의 기간, 파열의 부위, 파열 길이, 파열의 종류, 관절 연골의 손상 정도, 동반된 전방 십자인대 수술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임상적 치유는 84례(76%)이었으며, 환자의 주관적 만족도는 98례(89%)이었다. 전방십자인대 파열을 동반한 경우에, 파열 길이가 2cm이하인 경우가 2cm이상인 경우보다. 관절 연골의 퇴행성 정도가 심하지 않은 경우가 심한 경우보다 임상적 치유율과 환자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의 경우에, 수상후 수술까지의 기간이 짧을수록, 파열의 종류가 종 파열인 경우 임상적 치유율이 높았다. 복잡 또는 퇴행성 파열의 경우 낮은 임상적 치유율에 비해 환자의 만족도는 높았다. 결론: 비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반월상 연골 Inside to out 봉합술은 다양한 봉합이 가능하고 사용이 쉬운 술식이다. 반월상 연골의 봉합 여부 결정에 있어 환자의 연령은 절대적인 고려 대상이 아니며, 퇴행성 또는 복잡파열, 관절연골의 손상이 동반된 파열의 경우 환자선택과 수술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으로 사료 된다.증을 줄일수 있으며, PASTA 병변을 포함해서 후상방 파열과 동반되지 않은 견갑하건의 부분 파열은 매우 적합한 관절경하복원술의 적응증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소아환자를 위한 음악: 무작위 임상연구의 체계적인 문헌고찰 (Music for Pediatric Patients in Medical Settings: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이진형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0권2호
    • /
    • pp.1-33
    • /
    • 2013
  • 본 연구는 소아환자대상 최근의 음악치료 및 음악을 사용한 임상연구들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을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13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2000년부터 2012년 사이에 영어로 발표 된 무작위 임상 및 교차설계 연구들을 자료로 수집하였고, 최초 검색 되었던 1023개의 논문 중 선정 및 제외기준에 따라 영어문헌 15건을 선별하였다. 선별 결과 연구 대상자는 1개월에서 만 18세까지의 아동 및 청소년으로 11명에서 150명 까지 표본크기가 다양했으며 전체 연구 참여자는 987명으로 집계되었다. 선별된 연구들은 음악요법 및 음악치료 연구로 분류되어 전반적인 유형, 연구절차와 방법론, 임상접근법, 측정도구 및 연구결과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되었다. 총 7건의 음악요법과 8건의 음악치료로 분류된 연구들은 7개영역의 종속변수를 36종류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는데 음악의 임상적 사용에 있어 음악의 선택, 종류 및 임상접근방법에 큰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연구절차와 방법론의 분석 결과 다수의 연구들이 주요 연구절차에 대한 기술이 충분치 않고 특히 무작위배정(Randomization), 배정순서 은폐(Allocation Concealment), 이중 또는 부분은폐(double or partial blinding) 및 참여자 감소율(Attrition Rate)과 같은 방법론적 표준에 미치지 못함이 도출되었다. 전반적인 연구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거나 긍정적 결과가 보고된 바 있으나, 연구 방법론적 문제들과 임상접근법들의 이질성으로 인해 그 결과가 편향에 의해 오염되거나 신뢰성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음악이 소아 환자들의 신체 및 사회 심리적 필요를 다루는 도구로 임상적 가치가 있음을 제안할 수는 있지만 이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로서는 절차와 접근법이 보다 엄격하고 균일하여 추후 재현이 가능한 연구들이 다수 요구됨을 알 수 있다.

단일다발 및 이중다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전향적 무작위적 비교 연구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Comparing Single-Bundle and Double-Bundle Techniques)

  • 박상은;임무준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3-19
    • /
    • 2010
  • 목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에 있어서 이중다발과 재건술과 단일다발 재건술의 임상적 결과 및 방사선학적 결과에 대한 전향적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연구는 편측 무릎의 전방십자인대 손상이 있는 56명의 환자군(group T)을 모집하여 27명은 이중다발 재건술군으로 배정하였으며(group D), 29명은 단일다발 재건술군으로 배정하였다(group S). 두 비교군 간의 임상적인 수술 결과는 최소 2년간의 추적 관찰 기간 내 Lysholm knee score, Tegner activity score, Lachman & pivot shift test와 영상 검사(슬관절 전후방 부하 X선 촬영검사)를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술후 2년 추적 관찰에서의 Lysholm knee score, Tegner activity score 수치에서, 두 비교군 사이에 유의한 임상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와 영상 검사 결과상에서도 두 비교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점이 밝혀지지 않았다(p>0.05). 결론: 이중다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은 최소 2년간의 추적 관찰에서, 단일다발 재건술에 비해 임상적 결과나, 수술 후 영상 검사 상에서의 우월함을 보이지 못하였다. 이는 전방십자인대 손상 환자들에서 전내측 다발 재건술만으로도 우수한 임상적 결과가 나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임상실습 수행능력, 임상실습 스트레스 간의 융합관련성 (Convergence among Resilienc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Stress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 신미자;전열어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9-32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임상실습 수행능력, 임상실습 스트레스 간의 융합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6개월 이상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 433명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회복탄력성은 평균 3.58(${\pm}.39$)점으로 나타났으며, 임상실습 수행능력은 평균 3.65(${\pm}.50$)점,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3.40(${\pm}.62$)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상자의 회복탄력성과 임상실습 수행능력 및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학생활 만족도, 간호학 전공만족도 및 임상실습 만족도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회복탄력성, 임상실습 수행능력, 임상실습 스트레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복탄력성과 임상실습 수행능력은 정적 상관관계(r=.510)를, 회복탄력성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사이에는 부적 상관관계(r=-.153),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고, 임상실습 수행능력을 향상시켜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긍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