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상실습 지도자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6초

대학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대한 만족도 현황과 발전방향 (Satifaction and Improvement of Clinical Experiment of Student Radiotechnologists)

  • 유광열;김현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9권4호
    • /
    • pp.303-310
    • /
    • 2006
  • 임상실습의 목표는 학생들이 유능한 방사선사가 되기 위해 필요한 기술(technic)과 태도(attitude) 그리고 지식을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의료기관이 갖추어야 할 교육시스템과 이를 운영할 임상교육 지도자가 확보되어야 한다. 임상기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평가하기 위해서 반드시 높은 수준의 교육 시스템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임상지도자들이 학생들을 전문가로 육성하고 지도하는데 필요한 교육목표와 실습 수행 원칙은 가지고 있어야 한다. 임상실습을 담당하는 지도자는 적어도 유능한 임상실습 지도자의 자질과 구조적이며 능동적인 실습교육의 피드백 특성을 이해하고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평가와 피드백에 필요한 적절한 시간을 관리할 수 있어야 하며 실습 학생의 능력을 평가한 후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적절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임상실습지도자의 특성을 제시하고 실제 임상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우리나라의 방사선과 임상실습 현황의 한 예를 실습생 설문을 통하여 파악하고 문제점과 개선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 PDF

직무에 대한 임상실습 지도자와 신입 작업치료사의 견해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성인 작업치료사를 중심으로- (View of Occupational Therapy Fieldwork Supervisor and Novice Occupational Therapists in Job : Focusing on Adult Occupational Therapists that Work on Hospital)

  • 이춘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343-352
    • /
    • 2015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 직무에 대해 임상실습 지도자와 신입 작업치료사의 견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국내 58개의 의료기관에서 임상실습을 지도하는 117명의 작업치료사와 신입 작업치료사 104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윈도우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중위수와 범위를 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임상실습 지도자는 실습생을 평가할 때 기본적인 소양과 매너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둘째, 신입 작업치료사는 대부분의 직무에서 중요도는 10점, 수행도는 7점, 만족도는 6점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직무에 대한 임상실습 지도자의 중요도는 중재계획의 문제 확인과 치료계획 수립이 1위와 2위로 나타났지만, 신입 작업치료사의 수행도는 2위를 제외한 5위 내의 4개가 모두 평가 직무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신입 작업치료사가 겪는 어려운 점을 해결하기 위해 임상실습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간호관리학실습 교과내용에 대한 중요도와 실습 경험에 대한 간호대학생과 임상현장지도자의 인식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Perceptions of Nursing Students and Clinical Instructors on the Importance of Learning Contents of Nursing Management and Practical Experience)

  • 구옥희;황성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90-9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관리학실습 교과내용의 중요도와 실습 참여 경험에 대한 학생과 임상현장지도자의 인식을 비교·분석해 간호관리학실습 개선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3개 대학 4학년 학생과 임상현장지도자를 대상으로 Mann-Whitney test와 교차분석 등으로 최종 343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과 임상현장지도자 모두 간호관리학실습의 평가항목 중 '의사소통', '대인관계', '책임', '신뢰', '도덕성'을 중요 요소로 인식하였고 간호관리학실습 교과내용 중 가장 중요하게 인식한 상위 10개 항목 중 6개 항목('감염관리', '간호기록관리', '환자간호관리', '약품관리', '환자안전', '간호과오')은 두 그룹이 일치했다. 또한 임상현장지도자는 대인관계 및 관계윤리를 중요하다고 인식한 반면 간호대학생은 간호사의 '법적책임'을 중요하다고 인식했다. 두 그룹간의 실습경험 분석 결과, 간호대학생은 모두 간접 참여 경험이 높았으나 현장지도자는 직접 지도 경험이 높았다. 이와 같은 인식 차이가 확인된 교과내용은 학교와 실습기관의 유기적 파트너쉽 관계를 구축해 차이를 개선하고 간호대학생의 직접 실습 경험을 증대시키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간호학생에 대한 인턴쉽과 임상실습지도자 활용 모델의 임상실습 만족도 비교 (A Comparison of the Effect of Internship and Preceptorship on Clinical Practice Education of Nursing Students)

  • 김혜순;윤혜상;김옥화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17-228
    • /
    • 2001
  •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effect of internship and preceptorship on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A total of 46 third grade students were assigned to 2 groups; 23 to inturnship group, 23 to preceptorship group. Satisfaction scores of clinical practice instruction and practice environment in internship group were higher than satisfactory scores of preceptorship group. There were no difference between satisfactory scores of clinical practice contents, clinical practice hour and clinical practice environment in internship and preceptorship. Satisfaction scores on clinical practice weren'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chool credit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clinical practice contents, practice environment, practice instruction and clinical practice hour.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clinical practice instruction, practice environment and clinical practice evaluation. Clinical practice instruction was the highest factor predicting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100% of the variance in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was accounted for by clinical practice instruction(59.1%), clinical practice contents(14.9%), clinical practice environment(12.3), clinical practice hour(8.8%), and clinical practice evaluation(5.5%).

  • PDF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만족도에 관한 연구 (Study o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by Students in Department of Radiologic Science)

  • 고성진;강세식;김창수;최석윤;김정훈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4권4호
    • /
    • pp.287-296
    • /
    • 2011
  • 급변하는 의료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현장실무형 인재양성을 위해 방사선(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임상 실습교육의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학제에 따라 3년제와 4년제 학생 30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Win 13 버전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일반적 특성 분포와 임상 실습 특성은 빈도분석, 둘째, 변인에 따른 임상실습 만족도 차이는 일원분산분석, 셋째, 변인 간 관계는 단순 적률상관관계로 분석하였다. 임상실습교육과 관련하여 실습과목의 도움, 지도자의 전문성, 실습내용, 실습환경, 실습시간, 실습 후 평가, 그리고 실습 전반에 대한 만족도 분석 결과, 실습 전반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임상실습 내용, 시간 순이었다. 그리고 임상실습교육 만족도 관련 요인들은 높은 상관관계를 지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임상실습교육 시 임상실습지도자의 교수효율성 및 임상실습만족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teaching efficiency and satisfaction levels of clinical practice instructors during clinical practice training for some dental hygienists and students)

  • 오혜승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777-786
    • /
    • 201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e is to investigate the teaching effectiveness of clinical practice instructors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dental hygiene major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training. Methods : Subjects were second and third grade 480 dental hygiene majoring students in Seoul and Gangwondo. Except 48 incomplete answers, 438 data were analyzed.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teaching of clinical practice instructors, educational content, organization al skills, leadership, learning environment, evaluation skills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level. Results : 1.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r = 0.832) was found between teaching effectiveness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 positive correlation more than 0.50 was found between th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encouragement and support for teaching effectiveness, educational contents, and leadership. 2.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encouragement and support (B = 0.209), educational content (B = 0.199), leadership ability (B = 0.257) and ability to create an environment (B = 0.084), evaluation ability (B = 0.083). Conclusions : Teaching effectiveness of the clinical practice instructors had influences on th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connect clinical practice instructions with satisfaction towards clinical practice to the students.

방사선(학)과 학생 임상실습에 따른 스트레스 특성 (Characteristic of Stress According to Student Clinical Training in Department of Radiology)

  • 백창무;채수인;김정구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291-298
    • /
    • 2012
  • 방사선(학)과는 학생들의 실무적응과 진료기술의 수용을 도모하고자 병원 임상실습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임상실습현장에서 낯선 환경과 진료업무를 체험함으로써 많은 학생들이 복합적이고 다양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 때로는 실습의 부담감과 전공에 대한 회의로 이어져 실습교육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이에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시 경험할 수 있는 스트레스에 대해 그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전국 3년제 4년제 대학 중 6개 대학의 방사선(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2011년 9월 15일에서 10월 2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방사선(학)과 학생들이 임상실습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 정도는 비용적인 측면(3.06)과 임상지도자(3.02)에 관련한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가치와 이상(2.94), 역할과 실습활동(2.93), 실습환경(2.74), 실습생 간 관계(2.64)의 순으로 나타났다. 임상실습 스트레스 요인에 대해 비용적인 측면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스트레스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P<.05), BEPSI-K 구분에 따른 스트레스군 간에는 실습환경, 실습생 간 관계, 역할과 실습활동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1, P<.001, P<.05). 따라서 임상실습에 임하는 학생들의 스트레스가 임상실습의 만족도와 상호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임상실습 중 간호대학생이 경함하는 무례함, 소진, 전공만족도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Rudeness, Burnout, Major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which Nursing Students Experience During Clinical Practice)

  • 전미경;오재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339-346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 중 경험하는 무례함, 전공만족도, 자기효능감 및 소진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질적인 임상실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상관성 조사연구로서,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 4학년 2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10월 1부터 10월 15일까지였다. 자료는 SPSS Program20.0을 이용하여 Correlation coefficient,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이 경험한 무례함은 소진과 정적 상관관계를, 전공만족도 및 자기효능감은 소진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간호대학생의 소진에는 무례함, 전공만족도, 자기효능감이 영향력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무례함을 감소하기 위한 병원과 학생, 임상실습지도자 및 병원의 유기적인 관계형성 및 대처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자아탄력성, 임상실습스트레스 (Emotional Intelligence, Ego Resilience, Stress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 신은정;박영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636-5645
    • /
    • 201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자아탄력성,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D시 소재 D의료원에 실습 경험이 있으며 한 학기 이상의 임상실습을 경험한 4년제 간호대학의 3학년 학생, 3년제 간호대학의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 하였다.감성지능은 7점 만점에 평균 4.76(0.69)점, 자아탄력성 2.80(0.33)점,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3.03(0.52)점 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에서, 감성지능은 성별, 전공만족도, 실습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자아탄력성은 전공만족도와 실습만족도, 그리고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성별, 실습기간, 전공만족도, 실습만족도, 시뮬레이션 실습, 주 실습지도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감성지능과 자아탄력성(r=.527, p<.001)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 감성지능과 임상실습 스트레스(r=-.131, p<.001), 자아탄력성과 임상실습 스트레스(r=-.134, p<.001)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감성지능과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학생 임상실습지도자(Preceptor)의 역할수행경험에 대한 내용분석 (Content Analysis of the Experience of Preceptors in Clinical Education for Senior Student Nurses)

  • 허혜경;최상순;안양희;임영미;신윤희;박소미;김기연;송희영;김기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859-868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xperiences of nurses who served as preceptors in clinical education for senior student nurses in a college of medicine in Wonju city. Method: Data was collected from 20 preceptors instructing senior student nurses in 2001 using a self-completion questionnaire. To analyze data, content analysis was done using an analysis scheme developed by the investigators. Result: The analysis scheme consisted of 7 categories and 25 subcategories. 135 significant statements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Preceptors indicated that they were role models, socialization facilitators and educators while instructing students in the clinical practicum. In performing the preceptors' role, preceptors reported that their most important change was self-enhancement, and positive experience was a constructive work atmosphere. The most important factor facilitating the preceptors' role performance was support from head nurses, and the most discouraging factor was work load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nterventions for encouragement and socialization of preceptors should be developed to promote clinical education for senior student nur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