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상실습교육환경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4초

실습을 위한 모형 선형가속기 및 부속기구 제작 활용 (The Application of the Running of a Dummy Linac and Accessories)

  • 나수경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3-130
    • /
    • 2008
  • 목적: 의료환경의 변화와 교육환경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하여 대학에서는 필요한 실습 장비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재정적인 부담과 그것들을 유지 관리하는데 생기는 어려움으로 인해 국내의 대학들이 고가의 방사선 치료 장치를 설치하기는 불가능하다. 이로 인한 실습의 제약을 해소하기 위하여 김천대학 방사선과에서는 모형 선형가속기 및 모형 부속기구를 제작하여 학생들의 실습 시간에 활용하고 있으며 그 유용성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우리가 자체 제작한 모형 선형가속기(DLINAC-001)는 실제 선형가속기와 동일한 회전지지축(gantry)과 조사 head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작하였다. 또한 실습교육의 극대화를 위해 우리는 자체적으로 모형 맞춤블록, 모형 쐐기필터, 모형 전자선 조사통과 환자고정기구를 제작 하였다. 결 과: 선형가속기의 기계적인 기능과 동일하게 모형 선형가속기를 활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용도의 모형 부속기구들을 실습 시 활용할 수 있다. 결 론: 김천대학 방사선과에서 제작된 모형 선형가속기와 부속기구를 제작하여 학생들의 실습시간에 활용함으로서 다양한 영역의 임상실습이 가능하다. 또한 현장감 있는 실습을 시행함으로서 학습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임상에서 요구하는 실무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 PDF

일부지역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교내·외 임상실습만족도와 전공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Study of On- and Off-Campus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Major Satisfaction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in Some Regions)

  • 문선정;구인영;최화영;가경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793-6803
    • /
    • 2014
  •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실습수준을 향상시키고, 개선하여 실습 후에 전공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충청지역 소재 대학 치위생(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2년 12월부터 2013년 4월까지 수행하였고, 수집된 자료 중 응답이 불성실한 13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766부를 SPSS/Win18.0을 사용하여 최종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교내 외 실습경험군은 각각 59.7%, 57.4%이었고, 실습 장소는 치과대학 병원, 병(의)원급, 보건소 순이었다. 학제의 경우 4년제가 3년제 보다 실습내용, 실습시간, 실습수행 요인에서 교내 실습만족도가 높았고, 학년이 높을수록 실습시간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교외 실습만족도는 4년제가 3년제 보다 모든 요인에서 만족도가 높았고, 학년이 높을수록 실습시간과 실습수행 요인에서 만족도가 높았다. 교내 외 실습경험에서 실습 경험군이 비경험군에 비해 전공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높았고, 실습수행, 실습시간, 실습환경, 실습내용 모든 요인이 전공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내 외 실습교육을 통해 전공에 대한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학생들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통해 만족할 수 있는 교육을 계획하고, 실시하여 임상실습이 최적의 학습상황이 될 수 있도록 효율적인 프로그램과 임상실습에 대한 교육지침의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정신질환자간호 시뮬레이션교육이 간호학생의 임상실습에 대한 불안과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sychiatric Nursing Simulation on Anxiety and Self-confidence about Clinical Placement of Nursing Students)

  • 한종숙;백희정;정안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812-7819
    • /
    • 2015
  • 간호학생들은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간호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부족으로 환자와의 관계형성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을 갖게 된다. 시뮬레이션교육은 임상상황과 유사한 비위협적인 환경에서 수행되므로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교육이 정신건강간호학 임상실습에 대한 불안과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에 의한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3년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으로 실험군(N=28)은 조현병환자 시나리오로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교육을 실시하고, 대조군(N=18)은 실험군과 같은 내용의 사례를 적용한 토론교육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를 산출하고 비교검증을 위해 t-test와 ANCOVA를 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정신건강간호학 임상실습에 대한 불안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자신감은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임상실습 전에 수행한 시뮬레이션교육은 간호학생의 정신건강간호학 임상실습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학습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교육환경, 셀프리더십, 실습소속감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Clinical Practice Learning Environment, Self-leadership, and Clinical Practice Belonging on Nursing Professionalism)

  • 김창희;김정이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16
    • /
    • 2019
  • Purpose: This exploratory study aims to identify various factors influencing the level of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surveyed 246 senior nursing students in U city with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analyzed with SPSS 22.0. Results: The average scores for clinical practice learning environment, self-leadership, clinical practice belonging, and nursing professionalism were 3.16, 3.77, 3.53, and 3.60,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rsing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the subjects'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major and satisfaction with the amount of nursing.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nursing professionalism included clinical practice learning environment (${\beta}=.40$, p<.001), self-leadership (${\beta}=.21$, p=.001), and clinical practice belonging (${\beta}=.16$, p=.011). These variables explained 39% of the total variance in nursing professionalism. Conclusion: Clinical practice learning environment, self-leadership, and clinical practice belonging are factors in the nursing professionalism of senior nursing students. Collaborative efforts by universities and clinics are needed to improve the clinical training environment and to produce good nurses. Particularly since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Korea on clinical practice belonging, it is meaningful to explore how clinical practice belonging affects nursing professionalism.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에서 나타난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개념분석 (Conceptual analysis of nursing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in simulation-based practical training)

  • 이초원;김은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1176-119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에서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명확한 개념의 속성을 규명하고 이를 조직화하여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Walker And Avant의 개념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KISS, KMbase, DBpia, RISS, PubMed, CINAHL, Medline의 데이터베이스에서 보건의료인 교육을 위한 시뮬레이션 교육이 권고된 시점인 2000년부터 2023년 4월까지 보고된 논문을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임상수행능력의 속성은 (1) 지식, 판단, 기술의 종합적인 능력, (2) 의료 환경 변화에 능숙히 대처하는 능력, (3) 간호 대상자의 요구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간호 역할을 수행하는 능력이다.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에서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 상황에서 간호학적 관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개념분석을 한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에서 임상수행능력 속성을 포함한 훈련 프로그램 및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학생의 임상실습에서의 외상 경험과 외상후 성장 (Traumatic Experiences and Posttraumatic Growth of Nursing Students who were in the Clinical Training)

  • 성경미;박순아;오은진;이승민;이세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489-503
    • /
    • 2018
  • 본 연구는 임상실습을 하는 간호학과 학생의 외상 경험과 외상 후 성장에 대해 조사한 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11월20일부터 12월20일까지였으며 대상자는 4개 간호학과에 재학 중으로 임상실습 경험이 1년 이상된 4학년 학생 490명이었다. 자료는 SPSS/WIN 25.0으로 t-test, ANOVA 및 $Scheff{\acute{e}}$ test로 분석하였고, 외상경험은 내용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일상생활 중 외상경험을 한 경우는 26.5%였으나 임상실습 중 외상경험은 61.2%로 높았고, 외상 후 성장 점수는 5점 만점에 2.63점이었다. 외상경험 내용은 의료진의 폭력경험, 간호직에 대한 부정적 인식, 비교육적인 실습환경, 열악한 환경에서의 실습, 중증 환자 목격 등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간호학과 학생의 외상 후 성장을 돕기 위한 임상실습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와 간호사 이미지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nd Image of nurses on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 임경민;조은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556-566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 간호사 이미지와 간호전문직관의 관계를 파악하고,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B광역시 소재 4개 대학의 임상실습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 184명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14년 11월 15일부터 2014년 12월 15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와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임상실습만족 정도는 평균이 108.10점, 평균평점은 3.48점, 간호사이미지 정도는 평균이 108.40, 평균평점은 4.01이었고, 간호전문직관 정도는 평균이 72.00점, 평균평점은 4.0점 이었다.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 정도는 성별, 종교유무, 연령, 성적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호전문직관은 임상실습만족도와 약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간호전문직관은 간호사 이미지와는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간호전문직관을 설명하는 유의한 변수는 임상실습 만족도의 하위요인 중 실습내용만족도, 간호사 이미지, 임상실습만족도의 하위요인 중 실습교과만족도, 실습환경만족도, 성적 순 이었으며, 전체 설명력은 75.8%이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을 높이기 위해서는 임상실습만족도와 간호사이미지를 높이는 교육프로그램과 제도적인 접근전략의 개발과 학생들의 체계적인 성적관리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한·일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시 환자의 설명동의 및 기록관리와 지도실태 (Nursing Professor's inspection and Status of Patient's Records and Informed Consent for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 in Korea and Japan)

  • 조유향;김인홍;山本富士江;山崎不二子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1권1호
    • /
    • pp.35-46
    • /
    • 2006
  • 명동의, 실습기록에 관한 취급과 지도실태를 파악, 검토하여 앞으로 환자실습 시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얻고자 한국과 일본의 전국간호교육기관의 성인간호학, 아동간호학 및 정신간호학을 담당하는 교수를 대상으로 우편조사를 실시한 결과, 30.9%(한국), 45.2%(일본)의 응답율을 보였다. 조사내용은 일반적 특성 4문항, 학생실습에 관한 환자 설명동의 내용으로 구성된 29문항, 교수의 실습기록에 대한 지도와 관리에 관한 15문항 및 병동의 간호기록에 대한 학생의 기록에 대한 3문항으로 총 5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분석방법으로 일반적 실태는 백분율을 보았으며, 영역별로는 ${\chi}^2-test$ 및 프리드만 검정을 하였으며, 개방식질문(자유기술)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내용을 카드화하고 KJ법에 기초하여 관심내용을 추출하였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시에 "환자를 정해서 실습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50.0%(한국), 99.0%(일본)였으며, 주로 "수간호사"가 환자에게 설명하였는데, 분야별로는 성인, 아동, 정신간호학의 순으로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환자의 승인을 얻는 방법으로는 "구두승인"이 대부분이었으며, 실제로 동의서를 받는 경우는 두나라 모두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환자배정 시 설명에서는 한국과 일본 모두 "학생이 실습으로 맡게 된다" 49.0%, 100.0%로 가장 높았고, 반대로 가장 낮은 비율은 "실습기록을 보이면서 설명한다" 7.8%(한국), "환자는 실습기록을 볼 수 있다" 0.7%(일본)로 거의 비슷한 상황이었다. 환자실습 시 설명동의에 관한 교수의견에서 일본은 "환자에 대한 설명방법의 현상", "설명동의에 관한 사고와 설명동의의 바람직한 모습", "설명동의서를 받는 것과 관련된 불안과 딜렘마", "설명동의의 도입과 교육적 기대", "설명동의에 필요한 환경", 및 "과제"의 6개로 분류되었다. 한국에서는 "환자에 대한 설명방법의 현상", "설명동의서를 받는 것과 관련된 어려움" 및 "과제"의 3개로 분류되었다. 간호대학생이 실습 시 간호기록지에 기록은 "기재한다"가 한국이 46.1%로 일본의 17.7%보다 2.6배 높게 나타났다. 환자 개인정보가 기재되고 있는 학생의 실습기록의 취급에 관한 것으로 병원 밖으로 "가지고 나간다"가 한 일 각각 50.0%, 89.7%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실습기록의 지도에서는 두 나라 모두 "비밀을 지킬 것을 지도하고 있다"는 것이 가장 높아 한국과 일본이 각각 92.2%, 98.3%이었으며, 가장 낮은 항목은 한국이 "실습기록에 워드프로세스를 사용하지 않도록 지도한다" 17.6% 인 반면 일본은 "실습기록에 워드프로세스를 허용하는 경우, 규칙을 정하고 있다" 6.3%로 나타났다. 학생이 병동의 간호기록지에 기재하는 것에 대한 교수의 의견을 개방식으로 질문한 결과를 범주화하여 분류한 결과, "학생이 간호기록에 기재하지 않는 것이 좋다", "과제이다", "기재하고 있다. 기재할 수 있다", "기재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상황에 따라 판단한다", "현재는 판단하기 어렵다"의 6개 범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시 환자의 설명동의는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실습기록의 관리지도도 교육과 학습의 목적뿐만 아니라 환자의 개인정보의 보호라는 맥락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임상현장에서는 교육적 관점에서만 해결할 수 없는 문제도 있으므로 실습기관과의 대화를 통한 실습기록과 교육의 개선을 시도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 PDF

간호대학생의 임상입문실습 경험 (The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Introductory Clinical Practice)

  • 김현주;송후승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74-84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입문실습 경험의 의미와 본질적 구조를 밝히기 위해 진행된 현상학적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9년 7월 15일부터 31일까지 진행되었으며, U광역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교의 간호학과 학생 중 임상입문실습을 마친 8명을 대상으로 하여 포커스 그룹 토론과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참여자들은 비구조화된 질문을 통해 실습의 전반적인 과정 중에 겪은 상황과 환경, 감정 등을 구체적으로 진술하였다.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간호대학생의 임상입문실습 경험은 의미 있는 진술로부터 41개의 주제와 17개의 주제모음, 5개의 범주인' 걱정과 기대가 함께 함', '병원이 현실로 다가옴', '감정의 혼재 끝에 적응함', '되어감의 첫 단계', '미래를 준비함'으로 구성되었고, 도출된 범주는 실습 중 시간의 흐름에 따라 하나의 맥락 속에서 전개되었다. 연구결과 밝혀진 간호대학생의 임상입문실습 경험은 기대와 걱정되는 상태에서 실습을 시작하여 다양한 상황과 감정을 경험하면서 적응하고 미래를 준비하게 되는 본질적 구조로 이루어졌다. 연구는 1,000시간 이상 시행되어야 하는 임상실습의 시작 시점에서 시행되었으므로 그 결과는 앞으로 이루어질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적응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기반으로 간호대학생의 실습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임상실습현장지도자의 돌봄에 대한 한국어판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Korean version of the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Instructor Caring (K-NSPIC))

  • 이신애;박효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218-226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Wade와 Kasper가 개발한 임상실습현장지도자의 돌봄에 대한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D 광역시 3개 대학교 간호학과 3~4학년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219명을 대상으로 2018년 6월 04일에서 6월 20일까지 자료 수집을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varimax 직각 회전을 이용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총 27문항 5개 확인되었으며 존중하는 배려, 돌봄을 통한 신뢰, 통제와 유연성, 지지적인 교육환경, 삶의 의미에 대한 공감으로 구분되었다. 동시타당도 검정 결과, 임상실습교육환경 측정도구의 상관관계에서 r=.64 (p<.001)로 나타나 타당도가 있는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최종 도구의 Cronbach's ${\alpha}$는 .88이었고, 각 요인별 Cronbach's ${\alpha}$는 .91, .86, .80, .76, .85로 나타나 신뢰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증된 한국어판 NSPIC 도구는 임상실습현장지도자의 돌봄 역량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에 유용한 도구로서 적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임상실습현장지도자의 돌봄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