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임상사용

Search Result 5,26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3차원 조형 방사선치료계획 장비 CorePlan의 유용성 평가

  • 강영남;장지선;강대규;박성일;최일봉;유치훈;강상욱;임병완;신성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Conference
    • /
    • 2003.09a
    • /
    • pp.33-33
    • /
    • 2003
  • 목적 :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방사선치료계획 장비는 거의 모든 방사선종양학과에서 외국 회사의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 기술로 개발된 3 차원 조형 방사선치료계획 장비인 Core Plan의 선량계산 알고리즘의 정확성 및 방사선 치료계획 장비로서의 유용성에 관해 평가하고 본 장비의 특징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 본 연구는 2002 년 11 월에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방사선종양학과와 서울씨앤제이의 연구계약에 의해 시행되었다. 본 장비에 대한 평가는 방사선분포 및 계산상의 정확성과 임상적용시의 유용성의 관점에서 시행되었다. 본 장비에서 이용된 광자선 선량계산은 Clarkson-Cunningham 모델이며 전자선 선량계산은 2.5D Hogstrom 알고리즘이다. 방사선분포 및 계산상의 정확성 평가를 위하여 방사선치료 장비는 본 병원이 보유한 Clinac 2100CD (Varian, USA)를 이용하였고 폴리스티렌 팬텀과 필름 및 이온 전리함을 이용하여 방사선분포 및 계산상의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방사선분포의 평가 방법은 필름을 이용한 방사선분포의 중심부단면 선량분포와 CorePlan 에서 재현된 방사선분포의 동일면 선량분포를 비교하였다. 임상적용은 2003 년 3 월부터 7 월까지 방사선치료를 받은 50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시험에 적용된 환자는 본 병원이 보유한 3 차원 방사선치료계획 장비인 Prowess 3D (SSGI Inc., USA)를 이용하여 실제 치료된 환자들이며 이 환자를 대상으로 CorePlan에서 동일하게 재현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및 결론 : 방사선분포 및 계산상의 정확성 평가에서는 실제 측정된 결과와 CorePlan에서 재현된 결과가 모두 $\pm$3% 이내로 평가되었다. 50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임상시험 결과 Prowess 3D에서 나타낸 결과와 비교하여 두경부에서는 1.678%, 흉부 1.578%, 복부 1.271%의 선량값의 오차를 보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많은 부분의 프로그램 수정이 있었으며 실제임상에 필요한 부분에 대한 추가 및 보완이 이루어졌다. 앞으로 진행될 과정은 실제임상의 사용에 필요한 부분의 계속적인 업그레이드와 전자선에 대한 방사선분포 및 계산정확성 평가, 임상적용에 있어서 Prowess3D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사선 치료계획 장비와의 비교를 할 예정이다.

  • PDF

The value and sharing of medical research data (의학연구데이터의 가치와 공유의 의미)

  • Kim, Na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7.08a
    • /
    • pp.104-104
    • /
    • 2017
  • 연구 데이터란 과학적 연구에서 사용된 일차 자료와 연구자에 의해 직접 작성된 연구의 결과로서 수치, 문자, 이미지, 음성 등의 사실적 기록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주제 분야인 의학은 잠재적 가치와 활용 가능성이 높고 공익적 성격을 가지고 있는 학문 분야로 의학 연구 데이터의 종류와 관리의 필요성을 통해서 그 가치와 공유 의미를 찾아보고자 한다. 또한 연구 데이터의 대표적인 임상 시험 기록과 연구 논문의 발표와 공유 현황에 대해서도 살펴보고 그 안에서 도서관의 역할이 어떤 것인가를 짚어보고자 한다. 의학 연구 데이터는 환자 진료기록, 건강 검진 기록, 임상 기록, 사망 기록, 임상 시험 기록, 유전체 정보, 연구 논문 등 그 종류와 형태가 다양하며 대용량인 경우가 많다. 의학 연구는 개인 정보보호와 윤리적인 문제 등 연구 수행 과정에서 어려운 점이 많은 성격을 가지고 있으나 질병 치료나 예방 나아가 인류의 건강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학문 분야로 의학 연구 데이터의 보존과 공개, 공유를 위한 관리는 큰 의미가 있다. 의학 연구 데이터관리는 새로운 연구의 밑받침이 될 뿐만 아니라 중 저개발 국가의 연구자들에게도 큰 기회를 부여하여 세계적인 의학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임상 시험 결과에 대한 은폐와 거짓 연구 방지에도 의미가 있어 미국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학술 연구 논문 발표에 사용된 데이터는 등록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임상 시험 등록으로 공인된 사이트는 NIH의 ClinicalTrials.gov, ICTRP의 Primary Registry 등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도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에서 관리하는 CRIS 등이 있다. 의학 연구자들은 연구의 시작부터 연구 데이터를 수집, 사용, 보존, 공유의 문제를 고려해야 하나 시간적 물리적인 문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는 도서관에서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분야로 Virginia Commonwealth 대학 도서관과 Emory 대학 도서관 등에서 시도되고 있다. 이 서비스는 연구 과정에서 사서의 지원이 가능한 새로운 기회로 연구자의 데이터관리를 위한 단계별 스토리를 조직하고 DMP 작성 지원 및 교육 등을 통해서 학술 커뮤니케이션에서 새로운 역할자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Comparison of Optimal Storage Temperature and Collection Reagents for Living Bacterial Cells in Swab Samples (면봉시료에서 세균의 보존을 위한 최적 보관 온도와 채취 시약의 비교)

  • Lee, Yeong Ju;You, Hee Sang;Lee, Song Hee;Lee, So Lip;Lee, Han;Sung, Ho Joong;Kang, Hee Gyoo;Hyun, Sung Hee
    •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
    • v.53 no.4
    • /
    • pp.326-332
    • /
    • 2021
  • Swabs are useful and common sampling tools in various research fields, such as medicine, ecology, biotechnology, forensic medicine, and pollutant monitoring systems. Collection reagents are one of the essential components in sampling.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sample collection kit and designate an appropriate storage temperature because samples need to be stored for a long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ree collection reagents and three storage temperatures on the recovery of living bacteria without media. We selected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as representative environmental bacteria. Distilled water (DW),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and Tris-EDTA (TE) buffer were used as collection reagents and stored at 22℃, 4℃, and -70℃ after sampling. The results of using each collection reagent and storage temperature on the bacteria were compared using relative light units (RLU) and the number of colony forming units (CFU). When using -70℃ storage temperature and the TE buffer, the number of living bacteria and the RLU values remained constant. It is therefore recommended that the sample be stored at -70℃ immediately after collection and a TE buffer solution be used as the collection reagent.

A label induction method in the conditional random fields expressing long distance transition between separate entities in clinical narratives (임상 문서에서 서로 떨어진 개체명 간 전이 관계 표현을 위한 조건부무작위장 내 라벨 유도 기법 연구)

  • Lee, Wangjin;Choi, Jinwo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172-175
    • /
    • 2018
  • 환자의 병력을 서술하는 임상문서에서 임상 개체명들은 그들 사이에 개체명이 아닌 단어들이 위치하기 때문에 거리상으로 서로 떨어져 있고, 임상 개체명인식에 많이 사용되는 조건부무작위장(conditional random fields; CRF) 모델은 Markov 속성을 따르기 때문에 서로 떨어져 있는 개체명 라벨 간의 전이 정보는 모델의 계산에서 무시된다. 본 논문에서는 라벨링 모델에 서로 떨어진 개체명 간 전이 관계를 표현하기 위하여 CRF 모델의 구조를 변경하는 방법론을 소개한다. 제안된 CRF 모델 디자인에서는 모델의 계산효율성을 빠르게 유지하기 위하여 Markov 속성을 유지하는 1차 모델 구조를 유지한다. 모델은 선행하는 개체명의 라벨 정보를 후행하는 개체명 엔터티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선행 개체명의 라벨을 뒤 따르는 비개체명 라벨에 전이시키고 이를 통해 후행하는 개체명은 선행하는 개체명의 라벨 정보를 알 수 있게 된다. 라벨의 고차 전이 정보를 전달함에도 모델의 구조는 1차 전이 구조를 유지함으로 n차 구조의 모델보다 빠른 계산 속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모델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서울대학교병원 류머티즘내과에서 퇴원한 환자들의 퇴원요약지에 병력과 관련된 엔터티가 태깅된 평가 데이터와 i2b2 2012/VA 임상자연어처리 shared task의 임상 개체명 추출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기본 CRF 모델들(1차, 2차)과 비교하였다. 피처 조합에 따라 모델들을 평가한 결과 제안한 모델이 거의 모든 경우에서 기본 모델들에 비하여 F1-score의 성능을 향상시킴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based on Common Data Model (공통데이터모델 기반의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에 관한 연구)

  • Ahn, Yoon-Ae;Cho, Han-Ji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11
    • /
    • pp.117-124
    • /
    • 2019
  • Recently, medical IT solutions are being provided on a distributed environment basis. In Korea,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that can share medical information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has been recognized and studied. The existing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is being built using only medical information of its own within the hospital. This makes it difficult for existing systems to achieve good results in terms of efficiency and accuracy of decision support. In order to solve these limitations, this paper proposes a design and implementation method of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based on common data model in medical field. To explain the application process of the proposed model, we describe the development scenario of the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the diagnosis of colorectal cancer. We also propose the essential requirements for the development of successful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s.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develop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that can be used in various hospitals and improve the efficiency and accuracy of the system.

On Convergence Impact Influencing of Satisfaction Clinical Practice of Dental Hygienist students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 요인)

  • Jun, Mee-Jin;Yu, Mi-Sun;Kim, Hwa-Suk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8 no.3
    • /
    • pp.127-136
    • /
    • 2018
  •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on clinical practice of dental hygienist students located in G, J region.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21.0 program. There were significant in satisfaction of score(F=2.925, p<.05), perceive heath status(F=8.108, p<.001), satisfaction on department(F=8.198, p<.001). The relationship on peers with score(r=.277, p=.01) and perceive health status correlations with relationships on peers(r=.327, p=.01), The satisfaction on clinical practice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score(r=.127, p=.05), perceive health status(r=.226, p=.01), relationship on peers(r=.240, p=.01). The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on clinical practice were satisfaction of relationship on peers, satisfaction of department, perceive health status. The results suggest that development of program to improve satisfaction on clinical practice of dental hygiene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on the stress of Clinical Dental Practice for Dental Hygiene Students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Lim, Soon-Ryun;Yang, Jeong-A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1 no.9
    • /
    • pp.191-200
    • /
    • 2021
  • This study systematically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the stress of clinical dental prctice for dental hygiene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according to the systematic review guidelines of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and 25 ariticl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In order to measure clinical dental practice, 4 measuring tools were used. As a result of literature analysis, the lower the satisfaction, the higer the stress of clinical dental practice. Personal relationship, role and activity, ideal and value were very important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dental practice and various variables and to investigate the improvement of clinical dental practi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Study of Awareness and Implementation of OBP(Occupation-Based Practice) (작업기반 중재(Occupation-Based Practice)에 대한 인식 및 실행 조사연구)

  • Chang, ki-yeon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 /
    • v.7 no.2
    • /
    • pp.19-31
    • /
    • 2017
  • Objective : This study was to learn the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s' awareness and current state of implement of Occupation-Based Practice and to use it as a baseline data. Methods : After 300 Korean clinical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conveniently sampled, the structured 293 questionnaires were released, the answered 293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Results : Awareness of OBP was 5.7 points on average and the awareness, increased with age and clinical experience. The opportunity that Occupational Therapists know OBP was through major subjects, articles & seminars, through peers and so on. The differences depended on age, level of education, location of work, clinical experience. 152 Occupational therapists(52.8%) answered that they apply OBP in their clinical work.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 of OBP based on gender, age, clinical experience, education background with exception of work location. It was shown that during practice,The most frequently used OBP was as follow in order: interview, practice, goal setting, assessment and documentation. The goal of using OBP was to find out a meaningful occupation for client's living, to promote client's participation in family or community, to treat for function recovery of clients. The biggest difficulty faced during OBP was lack of understanding of OBP for the clients and their guardian. Other difficulties were limitations of treatment environment, lack of occupational instruments, related knowledge, utilization method, preparation time and difficulty in handling insurance and medical expenses in order. Conclusion : Level of awareness of OBP was at intermediate level and it was related to education level and treatment environment. Based on this result, it is need to support institutional and academical discusstion in order to promote OBP.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Self-leadership and Clinical Competence o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임상수행능력이 임상실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Lee, Joo You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1
    • /
    • pp.417-425
    • /
    • 2022
  •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clinical competence,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and clinical competence o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May 1 to May 16, 2019, and 18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and analyzed through SPSS/WIN 28.0. The average of the participants's self-leadership was 3.44 points, the average of clinical competence was 3.82 points, and the average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was 3.69 points.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leadership(r=.221, p=.002) and clinical competence(r=.262, p<.001), and self-leadership and clinical performance(r=.050, p=.494) showed no correlation. The variables affecting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were self-leadership(β=.251, p<.001) and clinical competence(β=.208, p=.003),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10.4%.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improve self-leadership and clinical competence.

The Effect of Splinting with Concomitant Root Planing;Clinical and Digital Subtraction Radiographic Study (치근활택술과 스프린트 병행처치의 효과에 관한 연구;디지털 공제 촬영술을 이용한 임상적 연구)

  • Lee, Ji-Young;Kye, Seung-Bum;Kim, Won-Kyoung;Lee, Yong-Moo;Ku, Young;Ryu, In-Chul;Chung, Chong-Pyoung;Choi, Sang-Mook;Han, Soo-Bo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1 no.1
    • /
    • pp.207-227
    • /
    • 2001
  • 스프린트는 치주처지료에서 부가적 처치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한편, 디지털 공제 활영술은 기존방사선촬영술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기발된 새로운 방법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치근활택술 단독시행시와 스피린트 병행 처치시의 효과를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비교하였다. 중정도의 성인성 치주염을 가진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되 10명은 치근활택술 단독으로, 나머지 10명은 스프린트 병행처치로 처치하였다. 임상적, 방사선학적인 평가는 처치전, 처치후 6개월에 행하고, 임상적 평가의 경우 3개월에 추가로 실시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사용된 임상 지수로는 치태지수, 치은지수, 치은퇴축, 치주낭깊이, 임상부착수준, 임상부착증가, 탐침시출혈, 치아동요도 등이며, 방사선학적 평가는 기존 방사선촬영술에 의한 방법과 디지털 공제촬영수렝 의한 방법으로 행하였다. 디지털 공제 촬영술에 의한 평가시, 영상은 Digora 프로그램에 의해 획득하고 Emago 프로그램으로 처리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처치후 3개월에 치태지수, 치은지수, 치은퇴축, 치주낭깊이, 임상적부착수준, 탐침시 출혈 등의 임상지수들이 변했으며, 특히 이러한 변화는 치주낭깊이, 치은퇴축, 탐침시출혈에서 유의성이 있었다. ( p<0.05 ) 그러나 두군간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 p>0.05 ) 2. 처치후 6개월에도 치태지수, 치은지수, 치은퇴축, 치주낭깊이, 임상적부착수준, 탐침시출혈, 치아동요도 등의 임상지수들이 변했으며, 특히 이러한 변화는 치주낭깊이, 치은퇴축, 탐침시출혈, 치태지수, 치아동요도에서 유의성이 있었다. ( p<0.05 ) 그러나 두 군간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 p>0.05 ) 3. 켄달 상관분석시, 임상적 평가와 기존 방사선 촬영술에 의한 평가사이의 관련성을 낮았으며 거의 0에 가까운 수치를 보였으며 (r=0.110, p=0.639 ) 임상적 평가와 디지털 공제 방사선 촬영술에 의한 평가사이에서 약간 높은 관련성을 보였다. ( r=0.257, p=0.315 ) 즉 치주치료후의 골변화는 디지털 공제 방사선 촬영술에 의한 평가시 기존 방사선 사진보다 임상적 부착증가와 더욱 긴밀한 관련성을 보여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스프린팅 처치는 치주 치료에 있어 치근활택술에 부가적 표과를 제공하지 못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