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일차신뢰도법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7초

국내 항타강관말뚝 설계법의 신뢰성평가 (Reliability Estimation of Static Design Methods for Driven Steel Pipe Piles in Korea)

  • 허정원;박재현;김경준;이주형;곽기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12호
    • /
    • pp.61-73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국내 하중저항계수설계법 개발의 일환으로 구조물기초설계기준에 적용된 항타강관말뚝의 두 정역학적 지지력공식에 대하여 대표적인 신뢰성분석기법인 일차신뢰도법(FORM)과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CS)을 이용한 강도 높은 신뢰성해석을 수행하고 그 신뢰성수준을 평가하였다. 두 정역학설계법에 대한 저항편향계수는 대표 측정지지력과 설계지지력을 비교함으로써 평가하였다. 국내 정재하시험 및 지반조사 자료를 수집하여 말뚝의 측정 극한지지력을 결정하였고, 정역학적 지지력공식과 Meyerhof 경험식을 이용하여 설계 극한지지력을 산정하였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신뢰성평가를 위해 일차신뢰도법 및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기반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저항편향계수의 통계치를 이용하여 명시적 형태의 간편법인 평균일계이차모멘트법(MVFOSM)과 개선된 방법인 일차신뢰도법 및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에 의한 신뢰성해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신뢰성 분석에 대한 주요 확률변수의 영향정도와 민감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매개변수연구를 수행하였다.

하중면을 이용한 케이슨식 방파제의 신뢰성해석 (Reliability Analysis of Caisson Type Breakwater using Load Surface)

  • 김동현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209-215
    • /
    • 2009
  • 케이슨식 방파제의 신뢰성해석 시 파고와 조위의 확률변동성을 고려하기 위한 하중면 이용방법을 제안하였다. 케이슨식 방파제 전면에 전달되는 수평파력과 양력을 전면조위와 파고의 일차함수로 추정하였으며 추정한 하중면을 일계신뢰도법을 이용한 신뢰성 해석에 적용하였다. 수치해석에서 하중면을 이용한 케이슨식 방파제의 활동 및 전도 파괴확률을 산정하였으며 몬테카를로 모사법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차체 기본 진동 모드를 고려한 필러 단면의 신뢰성 최적설계 (Reliability-Based Optimal Design of Pillar Sections Considering Fundamental Vibration Modes of Vehicle Body Structure)

  • 이상범;임홍재
    • 한국공작기계학회논문집
    • /
    • 제13권6호
    • /
    • pp.107-113
    • /
    • 2004
  • This paper presents the pillar section optimization technique considering the reliability of the vehicle body structure consisted of complicated thin-walled panels. The response surface method is utilized to obtain the response surface models that describe the approximate performance functions representing the system characteristics on the section properties of the pillar and on the mass and the natural frequencies of the vehicle B.I.W. The reliability-based design optimization on the pillar sections Is performed an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deterministic optimization. The FORM is applied for the reliability analysis of the vehicle body structure. The developed optimization system is applied to the pillar section design considering the fundamental natural frequencies of passenger car body structure. By applying the proposed RBDO technique, it can be possible to optimize the pillar sections considering the reliability that engineers require.

LRFD 설계를 위한 국내 항타강관말뚝의 저항계수 산정 (Resistance Factors of Driven Steel Pipe Piles for LRFD Design in Korea)

  • 박재현;허정원;김명모;곽기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6C호
    • /
    • pp.367-377
    • /
    • 2008
  • 국내 기초구조물에 대한 하중저항계수설계법 개발의 일환으로 신뢰성에 기반한 항타강관말뚝의 저항계수를 산정하였다. 국내 정재하시험 및 지반조사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측정 지지력 확인이 가능한 57개 자료에 대해서 선단부 N치 50을 기준으로 두 그룹으로 분류하였다(N<50, $N{\geq}50$). 구조물기초설계기준에서 제안하고 있는 두 가지 정역학적 설계공식에 대해서 대표 측정지지력과 설계지지력을 비교함으로써 저항편향계수를 평가하였다. 저항편향계수의 통계특성을 이용하여 일차신뢰도법 및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에 의한 엄밀한 신뢰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신뢰성 분석 결과 및 국내 말뚝기초의 설계, 시공 실무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목표 신뢰도지수를 결정하였다. 무리말뚝의 여용성을 적용할 수 있는 경우 2.0, 2.33, 무리말뚝의 여용성을 적용할 수 없는 경우 2.5의 목표 신뢰도지수를 결정하였고, 일차신뢰도법 및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적용하여 저항계수를 산정하였다.

국내 항타강관말뚝 설계법의 목표 신뢰도지수 (Target Reliability Indices of Static Design Methods for Driven Steel Pipe Piles in Korea)

  • 곽기석;허정원;김경준;박재현;이주형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1C호
    • /
    • pp.19-29
    • /
    • 2008
  • 국내 기초구조물에 대한 하중저항계수설계법 개발의 일환으로 항타강관말뚝에 대한 신뢰성 수준을 평가하고 목표 신뢰도지수를 결정하였다. 국내 정재하시험 및 지반조사 자료를 수집하여 말뚝의 대표 측정 극한지지력을 결정하였고, 정역학적 지지력공식과 Meyerhof 경험식을 이용하여 설계 극한지지력을 산정하였다. 이들 자료의 비교 분석을 통해 저항편향계수를 산정하였다. 저항편향계수의 통계 특성을 이용하여 일차신뢰도법 및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에 의한 신뢰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정역학적 지지력공식은 자료의 변동성이 낮았고 Meyerhof 경험식은 내재적 보수성이 크게 나타났다. 안전율 3.0~5.0에 대한 신뢰도지수 분석 결과 정역학적 지지력공식은 1.50~2.89, Meyerhof 경험식은 1.61~2.72로 평가되었다. 신뢰성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목표 신뢰도지수는 무리말뚝으로 시공되는 경우 2.0, 2.33을, 무리말뚝으로 시공되지 않는 경우 2.5의 값을 결정하였다.

FORM 및 SORM을 이용한 무어링 체인의 신뢰성 기반 결함평가 (Reliability-based Flaw Assessment of a Mooring Chain Using FORM and SORM)

  • 이충현;김유일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54권5호
    • /
    • pp.430-438
    • /
    • 2017
  • This study presents the reliability-based flaw assessment for the crack in the mooring chain of a floating type offshore structure. BSI(British Standard Institution) flaw assessment procedure BS7910 was combined with first- and second-order reliability method (FORM, SORM) so that the acceptance of a given flaw can be assessed considering the uncertainties of parameters that play important role in the flaw assessment. Considering the probabilistic nature of the crack size and long-term distribution of the stresses acting on the crack in mooring chain, the failure probability was calculated using FORM and SORM. To check the validity of the FORM and SORM, Monte Carlo simulation was also carried out to derive the true limit state function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FORM and SORM.

검증용 정재하시험을 이용한 타입강관말뚝의 저항계수 보정 (Local Resistance Factor Update of Driven Steel Pipe Piles Using Proof Pile Load Test Results)

  • 박재현;김동욱;정충기;김성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6C호
    • /
    • pp.259-266
    • /
    • 2011
  • 기초구조물의 신뢰성 있는 저항계수 산정을 위해서는 충분한 양의 재하시험 결과에 근거한 저항의 분포특성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베이지안 이론에 근거하여 검증용 정재하시험 결과를 저항의 분포특성 분석에 반영할 수 있는 개선된 해석법을 제안하였고, 이를 통해 기 제안된 국내 타입강관말뚝의 저항계수를 갱신하였다. 측정 지지력이 확인된 정재하시험 결과를 이용하여 저항의 사전 분포특성을 산정하고, 검증용 정재하시험 결과를 우도정보로 고려하여 저항의 사후 분포특성을 평가하였다. 갱신된 저항의 사후 분포특성을 이용하여 일차신뢰도법에 의해 저항계수를 산정하였다. 총 5회의 검증용 재하시험 결과를 반영할 경우, 갱신된 저항계수는 목표신뢰도지수 2.33, 3.0에 대하여 각각 0.27-0.96, 0.19-0.68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해석법을 통해 양질의 측정지지력 데이터가 부족하여 신뢰성 있는 저항계수를 산정하기 어려운 경우 현장 검증시험 결과를 반영한 저항계수의 보정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MATLAB 을 이용한 신뢰도 기반 설계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design framework based on reliability analysis using MATLAB)

  • 성영화;곽병만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A
    • /
    • pp.1642-1647
    • /
    • 2007
  •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implement a design framework based on reliability analysis and make it possibly used for a reliable and robust design under uncertainties. Different types of reliability methods and algorithms are programmed to explore their characteristics. In our work, RIA and the PMA are employed for formulating the reliability analysis problems. A number of reliability methods are introduced in this program such as FORM, AMV/AMV+ and MCS. Reliability analysis can be easily performed with this tool box only if a drive file is ready to run. Users need to select random design variables and define their distributions and correlation.

  • PDF

강 뼈대 구조물의 지진위험도 평가에 대한 부분구속 접합부의 영향 (Effect of Partially Restrained Connections on Seismic Risk Evaluation of Steel Frames)

  • 허정원;조효남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537-549
    • /
    • 2001
  • 본 논문은 강 뼈대 구조물의 보-기둥 접합부의 사실적인 상태를 묘사하기 위하여 부분구속 접합부(Partially Restrained (PR) connections)를 고려한 지진하중 상태하의 신뢰성 해석과 접합부 및 그들에 내재된 불확실성이 구조물의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신뢰성해석을 위하여 응답면기법(Response Surface Method), 유한요소법(Finite Element Method), 일차신뢰도법(First Order Reliability Method), 그리고 반복선형보간 기법(Iterative Linear Interpolation Scheme)을 효과적으로 결합한 추계유한요소법(Stochastic Finite Element Method)을 제안하였다 일반적으로 모멘트-상대회전각 곡선에 의해서 표현되는 보-기둥에 대한 부분구속 접합부(PR connections)의 거동이 본 논문에서는 네 개의 매개변수를 사용하는 리차드 모델(Four-parameter Richard Model)을 사용하여 모사하였다. 지진하중에 대하여, 부분구속 접합부에서의 재하(Loading), 제하(Unloading) 및 재재하(Reloading) 거동은 모멘트-상대회전각 곡선과 Masing법칙을 사용하여 표현하였다. 시간영역에서 지진가속도를 구조물에 작용시킴으로써 지진하중의 사실적인 재현을 도모하였다. 다양한 주요 비선형성의 원인들을 고려한 부분구속 접합부를 가지는 강 뼈대 구조물의 신뢰성해석이 지진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제안된 기법의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한 예제를 제시하였다.

  • PDF

일차근사신뢰도법을 이용한 초전도 자기에너지 저장장치 권선 최적설계 (Optimization of SMES Windings Utilizing the First-Order Reliability Method)

  • 김동욱;정상식;성영화;김동훈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0권7호
    • /
    • pp.1354-1359
    • /
    • 2011
  • This paper presents a novel methodology for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electromagnetic devices and machines based on the reliability-based design optimization method. To achieve this, the method includes reliability analysis and optimization process taking into account uncertainties of design variables. One of the first-order reliability analysis techniques, called reliability index approach, is adopte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performance functions with respect to probabilistic design variables. The proposed method has been successfully applied to designing a superconducting magnetic energy storage system. For verifying the efficiency and accuracy of the metho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of conventional optimization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