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일자리만족도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3초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의 참여 만족도와 생활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Relationship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Living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Participants in the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Elderly)

  • 하경분;주민경;송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160-170
    • /
    • 2014
  • 본 연구는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들의 참여 유형에 따라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와 생활만족도, 그리고 삶의 만족도를 살펴보고,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가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들은 참여 만족도가 비교적 높았으나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는 그다지 높지 않았으며, 특히 교육형에 참여한 노인이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와 생활만족도, 그리고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들은 참여 만족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는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 중에 교육 만족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노인 일자리사업을 확대, 시행함에 있어서는 교육형 위주로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으며,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 제고를 위해서는 노인 일자리사업의 업무내용에 대한 교육의 강화 및 적절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시행할 필요가 있다.

청년창업가의 일자리만족도에 대한 잠재프로파일분석 (Classifying Latent Profiles in Job Satisfaction of Youth Entrepreneurs)

  • 김영서;홍세희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1호
    • /
    • pp.37-5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창업가의 일자리만족도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의 유형을 분석하고 관련 변인의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청년패널조사 1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청년창업가의 일자리만족도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은 5개로 도출되었고, 그 형태에 따라 '낮은 일자리만족 집단', '중하위 일자리만족 집단', '중간 일자리만족 집단', '중상위 일자리만족 집단', '높은 일자리만족 집단'이라 명명하였다. 각각의 잠재프로파일 집단에 대해 영향요인을 살펴본 결과, 성별, 배우자 유무, 주관적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창업동기, 창업시 어려움, 업무적합도, 내적 직업가치, 외적 직업가치, 사업체 규모, 현직장 임금, 주당 평균근로시간, 창업교육훈련 이수여부, 고용보험 가입여부가 청년창업가의 일자리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유의미한 요인이며 집단에 따라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청년창업가의 일자리만족도의 잠재프로파일 유형과 이에 대한 여러 독립변수의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청년창업가의 일자리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노인일자리 참여 유형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 of Participation in the Senior Employment and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gainst Depression-)

  • 박명옥;문재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629-637
    • /
    • 2019
  • 본 연구 목적은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노인 일자리 참여 유형이 우울감과 상관관계가 있는지 규명하고, 우울감이 삶의 만족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노인 일자리 참여와 우울감은 정(+)적인 영향이, 우울감은 삶의 만족도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 공익형 일자리 참여 횟수가 많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낮게, 민간형 일자리 참여시간이 많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공익형 일자리에서는 매개변수인 우울감이 삶의 만족도로 향하는 경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고 매개효과도 없었다. 그러나 민간형 일자리에서는 우울감이 매개변수인 삶의 만족도로 향하는 경로가 유의하여 유의미한 부분매개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노년기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노인의 일자리에 대한 민간형 일자리를 창출하는 방안을 정부, 지방자치단체, 기업 등이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다.

온라인 대형마트 배송기사의 일자리만족도 영향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among Delivery Drivers of Online Hypermarket)

  • 박선효;이영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665-676
    • /
    • 2022
  • 최근 유통업계에서 이커머스 시장이 확산되어 왔고, 코로나19 영향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시행되면서 온라인 대형마트의 거래량도 급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대형마트 배송기사들의 근로환경을 살펴보고, 최근 온라인 대형마트의 매출액 증가 추세로 증가한 배송물량을 감당하는 과정에서 인지한 근로환경 변화가 일자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총 324건의 응답내용에 대해 기술통계, 특성별 차이검증, 요인분석, 위계적회귀분석방법 등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온라인 대형마트 배송기사들의 일자리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장시간노동이 만연한 상황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근로환경 변화상황은 업무강도변화와 근로조건변화로 구분되었으며, 이는 모두 일자리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온라인 대형마트 배송기사들의 근로환경 개선 및 일자리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하여 장·단기적 개선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 이후 일자리만족도 영향요인 탐색 - 원직장복귀자와 타직장재취업자 간 비교를 중심으로 -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of Injured Workers - Comparison between Those Who Returned to Pre-injury Job and Those Who Got a New Job-)

  • 이웅;엄명용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4호
    • /
    • pp.97-118
    • /
    • 2016
  • 본 연구는 산업재해 이후 직업에 복귀한 산재근로자의 일자리만족도 영향요인을 원직장복귀자와 타 직장재취업자 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근로복지공단의 산재보험패널 1차자료(2014)를 활용하여 임금을 목적으로 사업주에게 고용된 산재근로자 1,333명(원직장복귀 693명, 타직장재취업 640명)을 대상으로 각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타직장재취업자는 원직장복귀자에 비해 일자리만족도 및 근로지속가능성, 종사상지위, 월평균소득 등의 제반 특성들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직장복귀자의 일자리만족도에는 성별, 학력수준, 기술적합도, 월평균 소득, 복리후생 혜택, 가족수입 여가생활 주거환경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도, 요양 중 사업주와의 관계여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타직장 복귀자의 경우, 성별, 종사상 지위, 기술적합도, 지속근무여부, 월평균급여, 복리후생혜택, 가족수입/여가생활/사회적 친분관계만족도, 요양 중 담당업무 주체, 요양 중 사업주와의 관계여부가 일자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산재근로자의 일자리만족도 제고를 위한 정책 및 실천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 PDF

노인일자리 사업의 교육 만족도가 사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일자리 만족도의 매개효과 (The Impact on the Business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in Elderly Employment Program: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 신계수;권승숙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5호
    • /
    • pp.105-115
    • /
    • 2015
  •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 사업에서의 교육 만족도가 사업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 참여자 교육 만족도가 일자리 만족에 영향을 미처 궁극적으로 사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2013년 수행된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의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노인 실태조사의 원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사업유형, 지역규모, 시도 등을 고려한 비비례층화표본 추출방법을 활용하였다. 조사대상에서 세종시는 제외하였으며, 이들 중 본 연구 문제와 관련한 문항에 무응답 또는 응답 비해당자를 제외시킨 2,0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교육 만족도가 노인일자리 사업의 사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교육 만족도가 노인 일자리 사업의 사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자리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만족도가 사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중 심리적 효과에는 교육내용의 흥미도와 교육의 직무 활용도 모두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신체적 사회적 효과에는 교육내용의 흥미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경제적 효과에는 교육의 직무 활용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육 만족도가 사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자리 만족도는 교육 만족도가 심리적 신체적 사회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일자리 만족도는 교육 만족도가 경제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일자리 만족도는 교육 만족도가 사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일자리 참여자들의 요구에 맞는 교육 내용을 개발하고, 전담 인력을 배치하여 교육이 효과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일자리 만족도가 사업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참여자 스스로 일에 대한 자부심을 충분히 느낄 수 있도록 한다면 사업효과성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PDF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만족도와 참여지속의사에 관한 연구: 공공분야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The Satisfaction of Employment Promotion and the Intension of Participation Continuity of the Elderly: Focusing on the Intension of the Participants of the Public Sector Employment Promotion Program)

  • 김진욱;손지윤
    • 한국노년학
    • /
    • 제29권4호
    • /
    • pp.1295-1311
    • /
    • 2009
  •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 실태조사 원자료(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07)를 활용하여, 공공부문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노인의 참여만족도, 참여지속의사, 그리고 참여지속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공공부문 일자리사업 참여노인들의 참여만족도는 비교적 높은 편이었지만, 보수 수준에 대한 만족도는 높지 않았다. 둘째, 공익형에 비하여, 교육형이나 복지형 사업에 참여한 노인들의 만족도가 더 높았고, 참여지속의사도 더 강하게 표출되었다. 셋째, 교육수준이 높고, 경제적 형편이 양호하며, 참여만족도가 높을수록 참여를 지속하겠다는 의사를 표현할 확률이 높았고, 공익형에 비하여 교육형과 복지형에 참여한 것이 참여지속의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노인 일자리사업의 발전방향으로서 노인들의 참여 동기 파악, 보수 수준 인상 및 참여기간의 연장, 공익형 일자리사업의 질 제고, 노인일자리 사업의 내용의 다양화, 자원봉사활동을 지원하는 관리운영체계의 마련 등을 제안하였다.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for the Senior Job Placement Project Participants)

  • 박평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9호
    • /
    • pp.113-126
    • /
    • 2013
  • 본 연구는 일자리특성이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직무만족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로는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의 2012년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 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주된 자료분석방법으로는 위계적 중다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직무내용, 근로환경, 교육 및 서비스환경의 네 일자리특성 변수들은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들의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급여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직무만족은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들의 생활만족도 증대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덧붙여, 사회적 지지(자녀지지와 외부지지)는 일자리특성과 직무 만족 및 직무만족과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를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노인의 일자리사업 참여실태와 만족도 및 요구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rticipation of Rural Elderly People in Senior Employment Programs, Satisfaction Level and Needs)

  • 하경분;주민경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0권4호
    • /
    • pp.1149-117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농촌노인들의 일자리사업 참여실태와 만족도 및 요구도를 살펴봄으로써 농촌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노인들은 노인일자리사업 중에 공익형에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었으며, 환경개선사업 활동을 가장 많이 하고 있었고, 생계비 마련을 위해 가장 많이 참여하였다. 둘째, 노인일자사업 중에는 소속기관 실무자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급여수준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셋째, 농촌노인들은 노인일자리사업 교육에 있어 가장 우선적으로 노인의 차이와 다양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 강화가 개선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으며,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교통문제로 인해 가장 많은 어려움을 느꼈다. 이런 결과를 볼 때, 농촌노인들의 특성과 욕구에 맞는 보다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 제공과 교통편의 제공을 통해 참된 자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책적 배려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한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the Senior Employment Project)

  • 유용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29-13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한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참여노인의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임파워먼트 및 노인의 생활만족도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임파워먼트는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임파워먼트가 높일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책제언을 하면, 첫째,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일자리 프로그램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둘째, 새로운 사회적지지망 형성과 자원 개발 연결이 필요하다. 셋째, 노인들의 일자리 욕구에 부합되는 맞춤식 일자리 제공과 같은 임파워먼트 접근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