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일원배치분산분석

검색결과 282건 처리시간 0.034초

한국의 산림 분야별 평가와 이에 기초한 산림 공적개발원조 발전 방안 (A Strategy for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in Forest Sector based on Evaluation by Field in Korea)

  • 유병일;윤보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4호
    • /
    • pp.646-65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산림부문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이해관계자 집단을 대상으로 한국 임업발전에 기여한 분야와 분야별 국제경쟁력에 대한 평가를 통해 우리나라 산림부문 공적개발원조현주소를 파악하고 향후 우선 중점분야에 대한 인식 조사를 통해 한국 산림ODA의 확산 및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인과 전문가 2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분석을 위해 교차분석의 카이검정,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과 Duncan 사후검정을 실시하여 집단 간 인식차이를 비교하였다. 조사결과 한국 산림 및 임업발전 기여도와 산림ODA 사업 시 국제경쟁력에 대해 조사대상자 전체적으로 '산림보존 및 산림황폐지 복구' 영역을 가장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문가 집단 중 ODA 전문가 집단은 '산림정책 및 제도 연구 역량강화' 영역의 국제경쟁력을 산림전문가 집단에 비해 높이 평가하는 특징을 보였다. 그리고 한국 산림 ODA 우선 중점분야에 대하여 일반인은 '탄소배출권 관리'와 '산림 종 다양성 보전'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산림황폐지 복구 등과 같은 기존의 단위사업을 선호하는 전문가 집단과는 큰 인식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효과적인 산림ODA 실행을 위해서는 과거 한국의 산림복구녹화경험을 기초로 하고 국제사회에서 새롭게 요구하는 기후변화대응, 생물다양성 보존 등의 신 분야에 대처할 수 있는 산림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이해집단 간 인식차이를 완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우선될 필요가 있다. 이는 향후 북한 산림 복구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치과위생사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문제 해결 능력이 직무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n the Work Performance Assessment of Dental Hygienists)

  • 이지은;이수영;김현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75-282
    • /
    • 2017
  • 본 연구는 치과 임상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의 직무 수행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비판적 사고 성향, 문제 해결 능력, 직무 수행 능력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치과위생사 335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판적 사고 성향, 문제 해결 능력, 직무 수행 능력을 빈도와 일원배치분산분석으로 기술통계하였고 관련성을 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했으며, 인과관계와 매개효과 확인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문제 해결 능력은 연령, 최종학력,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평균 총 점수가 높아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직무 수행 능력도 연령, 학력, 경력이 높을수록 평균 총 점수는 높았으나 학력을 제외한 연령과 근무경력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 성향, 문제 해결 능력, 직무 수행 능력간의 관련성은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모두 유의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은 비판적 사고 성향에서 문제 해결 능력, 문제 해결 능력에서 직무 수행 능력, 비판적 사고 성향에서 직무 수행 능력 모두 직접효과가 있었으며 유의하였다. 비판적 사고 성향이 문제 해결 능력에 의해 매개되어 직무 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도 유의하였다. 즉, 직접효과, 간접효과가 모두 유의하여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치과위생사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문제 해결 능력을 동시에 향상하는 것이 직무 수행 능력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비판적 사고 성향과 문제 해결 능력을 같이 강화할 수 있는 다각적 교육과정 접근법 개발과 지속적인 시행이 필요할 것이며, 더불어 체계적인 지원구축으로 치과위생사의 직무 수행 능력의 증진을 도모할 수 있도록 제언한다.

처네(앞.뒤) 사용 방법이 보행 시 목, 허리 및 다리 근육 활성도와 족저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lantar foot Pressure and EMG Activation of Neck, Lumbar and Low Limbs by Using Carrier during Walking)

  • 이상열;장종성;이명희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37-244
    • /
    • 2009
  • 본 연구는 처네를 사용하고 보행을 하는 동안 처네의 사용 방법에 따른 족저 압력의 변화와 목, 허리 및 다리 근육의 활성도를 알아 보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족저 영역별 최고 압력과 근육 활성도를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영아를 양육하고 있는 허리와 다리 및 목의 근골격계 문제가 없는 20명의 건강한 젊은 여성을 대상으로 전방 처네 사용, 후방 처네 사용, 일반 보행을 하는 동안 입각기 발의 영역별 족저 최고 압력과 목, 허리 및 다리 근육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족저 압력의 측정은 RS-scan system을 이용하였으며, 근육 활성도는 ProComp InfinitiTM를 이용하였다. 처네 사용 방법에 따라 수집된 자료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전방 처네 사용 시 허리 근육의 활성도와 엄지 발가락 영역의 압력이 유의하게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후방 처네 사용 시 목 근육의 활성도와 발허리 영역의 압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처네의 사용 방법이 발의 구조와 기능 그리고 근육 활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에 미치는 융합적 요인 (Converged Factors Affecting Learning Flow in Nursing College Students)

  • 이혜경;김리아;김재은;이유라;이지민;한희선;황현경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5-2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에 미치는 융합적인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충청북도에 소재한 일개 대학의 간호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자료는 기술통계와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 Pearson correlation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셀프리더십, 사회적지지 및 학습몰입과의 관계를 보면 셀프 리더십이 높을수록(r=568, p<.001),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r=.412, p<.001) 학습몰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셀프리더십으로 33.0%(${\beta}=.501$, p<.001)의 설명력이 있었다. 이처럼 셀프리더십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에 매우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같은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 증진을 도모하여 학습몰입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보육교사의 행복감과 셀프리더십이 유아권리존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Happiness and Self-Leadership on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s)

  • 안선신;윤현숙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71-84
    • /
    • 2019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행복감과 셀프리더십이 유아권리존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G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있는 보육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최종 291부를 일원배치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행복감 하위요인인 외적행복과 자기조절행복은 보육교사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셀프리더십 하위요인인 행위전략과 인지전략은 학력과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유아권리존중 하위요인인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은 보육교사 학력과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발달권은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었다. 둘째, 보육교사의 행복감, 셀프리더십, 유아권리존중 간에도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행복감과 셀프리더십이 유아권리존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동시대가 요구하는 유아권리존중 인식이 높은 보육교사 양성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보육교사의 행복감과 셀프리더십을 증진시키는 제도 및 교육 방안 마련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확인하는데 그 의의를 둔다.

일부 보건 계열 대학생에서 손 씻기의 인식도 및 실천도에 대한 비교 (Comparison of Hand Washing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College Students by Health Departments)

  • 장일용;유성훈;김정숙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375-38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부 보건계열 학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손씻기에 대한 인식도와 실천도 조사를 통하여 인식도와 실천도의 차이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손씻기 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간호학과, 물리치료학과, 작업치료학과의 보건 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무응답, 불성실 응답 등을 제외한 총 367부의 설문을 조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전공에 따른 손 씻기 인식도와 실천도의 차이는 독립표본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인에 대하여서는 사후검증(Post-hoc)으로 Scheffe를 실시하였다. 손 씻기에 따른 인식도와 실천도는 Pearson의 상관분석을 이용하였다. 일부 보건 계열 대학생의 손 씻기의 인식도는 감염교육 유무 항목에서, 실천도는 성별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보건 계열 학과의 특성에 따라 물리치료학과, 작업치료학과, 간호학과 순으로 손 씻기의 인식도와 실천도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년별 특성에서는 손 씻기 인식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실천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손 씻기에 대한 인식도와 실천도는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지역사회 거주하는 뇌졸중 장애인의 장애수용과 불안이 참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sability Acceptance and Anxiety on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Stroke Living in the Community)

  • 임영명;함민주;황호성;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591-600
    • /
    • 2022
  • 지역사회 거주하는 뇌졸중 장애인의 참여를 생산성, 여가, 사회생활 영역으로 살펴보고, 장애수용과 불안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10월부터 2019년 1월까지 복지관, 지역사회 서비스를 이용하는 19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장애수용, 불안과 참여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참여를 비교하기 위해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인 간의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분석, 그리고 인과관계 규명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참여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노동(β=.28, p<.001), 장애를 독특하게 여기지 않는 것(β=.14, p<.05), 보상적 행동의 질(β=.22, p<.01), 주관적 불안(β=-.35, p<.05)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3%(F=9.44, p<.001)를 보였다. 여가는 장애에 대한 자기만족도(β=.18, p<.05)와 보상적 행동의 질(β=.18, p<.05)로 나타났으며, 23%(F=6.32, p<.001)의 설명력을 보였다. 사회생활은 노동(β=.19, p<.01), 주관적 불안(β=-.51, p<.05)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23%(F=6.05, p<.001)를 보였다. 이는 뇌졸중 발병 이후 변화된 삶을 위한 심리사회적인 요인에 대한 중요성을 시사하며, 뇌졸중 장애인의 참여를 개선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구성과 적용, 실질적인 접근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치과위생사의 윤리적 가치관과 전문 직업성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A Study on Ethical Values and Professionalism of Dental Hygienists)

  • 정정화;김민아;김효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357-364
    • /
    • 2022
  • 본 연구는 임상치과위생사들의 윤리적 가치관과 전문 직업성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2021년 1월 10일부터 2월 28일까지 서울, 경기 지역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하여 265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대상자 특성에 따른 윤리적 가치관과 전문 직업성에 대한 인식 차이는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이용하였고, Scheffe test로 사후검정을 하였다. 연구결과 윤리적 가치관에서 윤리적 사고는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치과병원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고, 윤리적 사고와 윤리적 직무행동은 공통적으로 근무만족도가 높을수록, 대학에서의 윤리교육 경험과 졸업 후 윤리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전문 직업성에서 자율성은 나이가 많을수록,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근무만족도가 높을수록, 대학에서 윤리교육 경험이 있을 경우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고, 소명의식은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근무일수가 적을수록, 근무만족도가 높을수록, 대학에서 윤리교육 경험이 있을 경우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전문조직 준거성과 공공 봉사심은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이 연구의 결과로 치과위생사에게 보수교육 등의 정기적인 윤리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임상에서 직무수행 시 윤리적 가치관과 전문 직업성을 유지하며 올바른 윤리적 직무판단과 행동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원자력발전과 후쿠시마 오염수에 대한 인식 연구 (A Study on Awareness of Nuclear Power Generation and Fukushima Contaminated Water)

  • 강연희;양성희;조용인;김정훈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09-117
    • /
    • 2024
  •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고, 총 201부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변수의 차이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t-검정 및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수 간 연관성 확인을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여성이 남성보다 원자력발전과 후쿠시마 오염수에 대하여 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서는 40대 이상에서 부정적 인식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치 성향에서는 진보성향의 응답자가 원자력발전과 후쿠시마 오염수에 대해 부정적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자력에 대한 정보 수집은 인터넷과 방송, SNS을 통하여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자력발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높을수록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이후 우려되는 문제에 부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원자력발전은 인간의 생활권에서 분리할 수 없다. 따라서 원자력발전에 대한 바른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정확한 정보와 지식 전달 체계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다른 지면 조건에서의 푸시업 플러스 운동이 어깨 안정근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A Effect of the Shoulder Stabilizer Muscle Activity During a Push-up-Plus on a Different Condition Surface)

  • 김진섭;이동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호
    • /
    • pp.399-40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지 면이 다른 조건(안정, 상지 불안정, 하지 불안정, 상하지 불안정)에서의 푸시업 플러스운동이 어깨 안정근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18명의 정상인이 자발적인 참여를 했다. 측정 방법은 지지 면이 다른 조건에서 푸시압 플러스를 수행 하는 동안 위세모근, 큰가슴근, 앞톱니근을 표면 근전도로 기록 하였다. 연구 대상자에게는 총 7일 동안 측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값은 푸쉬업 플러스를 실시한 실효치 값의 평균으로 제시하였다. 분석 방법은 반복 측정된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위세모근과, 큰가슴근은 다른 조건의 지지 면과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하지만 앞톱니근에서는 상하지가 불안정한 조건일 때 푸쉬업 플러스 운동을 하는 동안 근 활성도가 가장 많이 향상되었다(p<.0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깨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푸쉬업 플러스 운동 방법으로는 상 하지가 모두 불안정한 지지 면을 제공 할 때 가장 효과적 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