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일반교육학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7초

중학교 교사의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과 교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s of Distributed leadership on Teacher efficacy and Teaching commitment in middle school teacher)

  • 박진희;유평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467-47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교사의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과 교직헌신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전체적인 영향력의 크기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J지역 중학교 교사 460명을 대상으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t/F 검증을 하고, 일원변량분석과 Duncan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상관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분산적 리더십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인식 수준은 여교사, 평교사, 21년 이상 교사, 사립학교 교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분산적 리더십과 교사효능감 및 교직헌신도 간에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교사효능감이 교직헌신도보다 높은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셋째,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 및 교직헌신도 전체의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41%). 결론은 분산적 리더십의 하위요소가 교사효능감과 교직헌신도와의 하위요소에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분산적 리더십의 하위요소가 교사효능감의 자기조절효능감과 자신감 요소, 교직헌신도의 교육애 요소를 긍정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분산적 리더십의 하위요소가 교사효능감과 교직헌신도에 미치는 설명력은 학교상황이 27%, 학교장의 리더십이 28%, 교사의 리더십이 28%, 교사의 상호작용이 28%로 나타났다. 추후 교사들의 능력을 학교에서 다양하게 수행할 수 있는 교육환경개선을 위한 교육정책수립이 필요하다.

청소년의 사이버 자기개념,자기효능감, 친구관계, 주관적안녕감과 학업성취도: 인터넷 중독인식집단과 비중독집단의 비교 (Analysis of the self-concept in the cyberspace, self-efficacy, relationship with friends, subjective well-being and academic grade: Comparison of adolescents who are addicted to Internet to non-addicted adolescents)

  • 김의철;박영신;탁수연;김정희;오미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9권2호
    • /
    • pp.285-318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 인터넷 중독인식집단의 사이버 자기개념과 인간관계, 심리 행동특성을 이해하는데 주된 관심이 있다. 이를 위해 인터넷 중독인식집단과 비중독집단의 사이버 자기개념, 자기효능감, 친구관계, 주관적안녕감 및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최종 분석대상 수는 1,057명(남 545명, 여 512명)이었으며, 학교별로는 중학생 326명, 일반계 고등학생 361명, 특성화 고등학생 370명이었다. 분석결과, 첫째, 사이버공간에 있을 때 자기인식에 대해 질적 분석을 한 결과, 인터넷 중독인식집단은 재미있다가 가장 높은 반응률을 나타내고 그 다음으로 평소와 같다, 시간을 보낸다, 가상인물이 된다 등의 순서를 보였다. 반면에 인터넷 비중독집단은 평소와 같다가 가장 높은 반응률을 나타내고, 그 다음으로 재미있다, 시간을 보낸다, 가상인물이 된다 등의 순서를 나타내었다. 인터넷에서 게임할 때 자기인식으로는 인터넷 중독인식집단과 비중독집단 모두 재미있다를 가장 많이 지적하였는데, 응답자의 반수가 이에 해당하였다. 그 다음으로 몰입한다, 거칠어진다와 같은 범주들이 포함되었다. 둘째, 인터넷 중독인식집단과 비중독집단의 자기효능감 차이를 공변량분석한 결과, 비중독집단이 중독인식집단보다 자기조절학습효능감, 관계효능감, 어려움극복효능감이 더 높았다. 셋째, 인터넷 중독인식집단과 비중독집단의 친구관계 차이를 공변량분석한 결과, 친한 친구 수와 가까운 친구 수에서 모두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비중독집단은 중독인식집단보다 친구로부터 정서적 지원을 더 많이 받았고, 반면에 따돌림을 적게 경험하였다. 넷째, 인터넷 중독인식집단과 비중독집단의 주관적안녕감 차이를 공변량분석한 결과, 비중독집단이 중독인식집단보다 훨씬 주관적안녕감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인터넷 중독인식집단과 비중독집단의 학업성취도 차이를 공변량분석한 결과, 비중독집단이 중독인식집단보다 객관적 성적만이 아니라 주관적 성취지각에서도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내었다.

  • PDF

간이분석법을 이용한 동료평가의 공정성 향상 방안 (The Method of Improvement in Fairness on Peer Assessment - Based on Convenience Analysis)

  • 최경호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8권3호
    • /
    • pp.287-294
    • /
    • 2011
  • 동료평가는 일반적으로 교육 분야의 평가시스템에서 같이 학습을 하는 동료가 평가자가 되어 상대 학습자의 과정이나 결과물에 가치를 부여하는 것으로서, 많은 장점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부여 받은 점수들의 평균을 계산하여 기여도를 산정한다는 단점 또한 갖고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다각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 그런데 이들 선행연구에서 활용된 카이제곱 검정이나 유의확률 등의 개념은 동료평가를 활용하는 교육학이나 산업공학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는 쉬운 개념이 아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표준편차라는 간단한 통계를 이용하지만, 이들과 유사한 결과를 보이면서도 방법적인 측면에서 매우 간단한 동료평가의 가중치 부여방법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제안된 방법의 용이성과 효용성 및 활용 예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간이분석법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사료되는 바, 이러한 측면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교육대학교 사회과 심화과정 지리 영역의 현상과 개선 방향 (The Status Quo and New Directions in Geography Education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of Universities of Education)

  • 전종한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82-95
    • /
    • 2007
  • 전국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최소한 과반수는 학부 4년 동안 지리 강좌를 전혀 이수하지 못한 채 학교 현장에 투입되며, 그 수준에서 사회교과서의 1/3을 차지하고 있는 지리 영역을 담당한다. 이 연구는 교육대학교 사회과 심화과정 지리 영역의 현상을 기술하고 그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도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여기에 접근하기 위해 취한 관점은 심화과정의 편제를 교양과정 및 전공과정과의 관계의 측면에서 검토해야 한다는 것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국가 수준의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을 준거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연구 결과, 전공과정과 심화과정의 사회과교육(공통) 강좌의 중복성, 교양과정과 심화과정 강좌의 비연동성, 심화과정 구성에 있어 특정 영역에 대한 편중성 등이 지리 영역의 취약성과 직결되어 있었다. 연구자는 국가 수준에서 규정한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교과내용학과 교과교육학의 조화, 그리고 지리, 역사, 일반사회 영역간의 형평성을 준거로 삼아 초등 지리 영역의 취약성을 만회할 수 있는 여섯 가지 개선 방향을 제언하였다.

ASKERIC 데이터베이스의 품질에 관한 연구 (An Evaluative study on information quality of ASKERIC databases)

  • 이명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21-240
    • /
    • 1998
  • 국내에서 제작되는 데이터베이스의 품질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교육학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ERIC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품질의 평가작업을 수행하였다. 선정된 데이터베이스는 웹상에서 검색이 가능한 ASKERIC 이었으며, 데이터의 정확성, 일관성, 완전성, 현행성의 4가지 평가기준을 가지고 평가가 진행되었다. 정확성의 측정은 미국과 영국식 단어의 차이를 가진 글자를 가지고 수행되었는데 미국식 영어로 색인된 문헌의 검색결과가 영국식 영어로 된 문헌의 검색결과보다 훨씬 많은 것을 발견하였다. 틀리기 쉬운 10개의 단어를 가지고 철자에러를 체크해 보았을 때 상당한 양의 철자에러가 발견되었다. 일관성의 측정을 위해 색인어의 일관성을 조사하였는데 시소러스가 동의어 통제를 완전히 감당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고 대소문자의 구별은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완전성을 검증하기 위해 접근필드를 조사하였는데 ASKERIC은 상당히 다양한 접근 필드를 가지고 있었으나 매뉴얼에 나타난 접근필드와 검색창에 나타난 접근필드는 달랐으며. 검색창에 나타난 추가적인 필드를 가지고 검색하였을 때는 에러가 나타났다. 매뉴얼에서는 데이터의 갱신작업이 매월 이루어진다고 명시하였지만 현행성을 위해 실제로 검색해 보았을 때 데이터의 갱신주기는 매우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ERIC 데이터베이스의 품질은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시스템의 자동 에러수정을 위한 부단한 노력과 이용자 피드백을 시스템의 품질 향상에 적극 반영하는 정책덕분인 것으로 보인다.

  • PDF

아동과 청소년의 흡연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Publication Trends in Smoking-Related Research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n Analysis of Korean Academic Journals)

  • 손현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69-276
    • /
    • 2019
  • 이 연구는 아동과 청소년의 흡연과 관련된 연구 중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연구의 동향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논문 선정, 분류 유목 결정, 평정지침서 작성, 논문 분석, 코딩, 코딩 결과 분석의 절차를 거쳤다. 분석대상은 2018년까지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선정 기준에 부합한 350편의 논문이며, 발표 연도,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흡연 관련 연구는 1995부터 2000년 사이에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그 추세가 유지되었다. 주된 연구 대상은 일반 아동과 청소년이었으며, 가장 많이 연구된 주제는 '관련 요인', '개입', '실태', '예방', '특성', '법과 정책', '척도', '개관과 이론'의 순이었다. 연구방법은 양적연구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자료는 연구자가 직접 질문지를 활용해 수집하는 형태가 가장 많았으며 점차 패널 데이터의 활용 사례가 늘고 있었다. 향후에는 더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질적 및 혼합 연구 방법을 포함한 균형 잡힌 연구 방법도 제안되었다.

교수와 대학생의 수업평가 결과 (Instructional Ratings by Professors and College Students)

  • 길양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271-275
    • /
    • 2022
  • 이 연구는 수업경연대회에 심사자로 참여한 교수 심사자와 대학생 심사자들 간의 평가 결과의 차이와 상관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한 사범대학의 수업경연대회에서 수업시연을 심사한 6명의 교수와 9명의 사범대 학생이었다. 이들은 각 과의 대표로 출전한 학생 11명의 수업시연을 10개 문항으로 구성된 심사평가지에 5단계 척도에 따라 응답하였고, 이 자료를 바탕으로 독립표본 t-검증, Pearson의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그 결과, 교수와 학생 심사자들 간의 평가 점수의 평균에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교수와 학생 심사자의 평가결과의 상관은 .78로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을 뿐 아니라, 상당히 높았다. 이 결과는 대학생의 수업평가 능력을 지지하며, 수업연습에 동료학생들을 의미 있는 평가자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런 연구는 한 학기라는 오랜 기간 동안의 수업으로 인한 과정변인의 중재를 통제하고, 수업시연만을 대상으로 통제된 환경에서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연구와 구별되는 의미가 있다. 연구대상자가 사범대에 국한되었다는 것은 제한점이 될 수 있으므로, 일반화를 위해서는 일반대학의 교수와 대학생 연구도 추가할 필요가 있다.

성인대학생 대학생활적응장애에 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College Life Adaptation obstacle of Adult Undergraduate)

  • 최정숙;김진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219-228
    • /
    • 2022
  • 본 연구는 성인대학생이 대학생활적응에서 경험하는 장애가 무엇인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지역 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성인대학생 3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8개의 주제로 범주화하여, 개인성향장애, 학습능력장애, 인간관계장애, 사회적인식장애, 시간적장애, 경제적장애, 대학환경장애, 학사운영장애 등이 도출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기존의 일반대학생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대학환경은 다양한 연령과 경험, 일·학습을 병행하는 성인대학생에게 다양한 형태의 장애로 표현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도출된 장애요인을 기반으로 성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장애를 실증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측정도구 개발의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한의사 교의사업이 초등학생의 경추 자세 교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chool doctor program on the cervical posture corre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박정수;신선미;이승환;정유옹;주성수;성현경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32-40
    • /
    • 2024
  • Objectives The main aim was to quantify forward head posture using POM Checker®, a postural balance analyzer,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dditionally,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postural imbalance improved following three sessions of the school doctor program focused on body posture correction. Methods The program was conducted as part of the school doctor program in Korean Medicine, featuring lectures by a designated Korean Medicine doctor at an elementary school. The curriculum covered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correct posture and included posture correction exercises. Pre- and post-program self-reported surveys were administered, alongside postural measurements taken over three months at one-month intervals. The survey included data on gender, grade, lifestyle habits, and awareness of correct posture. Result Out of 73 participating students, 63 underwent body balance measurements from the upper grades of one elementary school. Survey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variations in daily sitting hours and weekly exercise levels. Attendance at lectures increased knowledge about correct posture. Initial measurements of forward head posture categorized 41.0% and 1.6% of participants into caution and risk groups, respectively. After the second measurement, the caution group representation decreased to 3.2%, and by the third measurement, only 1.6% of participants remained in the caution group. Conclusions Improvements in the angle and understanding of forward head posture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observed before and after the Korean Medicine school doctor program. However, posture improvement may be temporary, necessitating consistent follow-up management and monitoring.

학교와 지역사회 협력의 관점과 유형 분석 (Analysis on Perspectives and Types of Schools-Communities Cooperation)

  • 신기왕;안병환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129-139
    • /
    • 2021
  •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은 교육의 본질과 교육의 사회적 의미에 따라 학교교육과 평생교육 관점 그리고 시장성과 공공성의 관점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학교교육 관점에서는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위해 지역 자원을 활용하려한다. 평생교육 관점에서는 주민의 학습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학교와의 협력을 바라본다. 시장성의 관점은 개인의 선택과 기회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반면 공공성의 관점은 시민의 학습권을 보장하고 학습기회를 균등하게 배분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의 내용과 범위는 다양하지만 추진 주체에 따라 민간주도형, 교육자치 주도형, 일반자치 주도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최근에는 지자체와 교육청, 학교와 마을이 마을교육공동체라는 공통의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협력하는 단계로 발전되고 있다. 시장성의 논리보다는 공공성이 강조되고 교육청이나 자치구와 같은 공적 영역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은 마을교육공동체 실현을 위한 공공성과 시장성의 조화, 교육자치와 일반자치의 협력을 위한 거버넌스 체제 구축이 더욱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