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Perspectives and Types of Schools-Communities Cooperation

학교와 지역사회 협력의 관점과 유형 분석

  • Shin, Gi-Wang (Ulsan Institute for Talent and Lifelong Education) ;
  • Ahn, Byung-Hwan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Jungwon University)
  • 신기왕 (울산인재평생교육진흥원) ;
  • 안병환 (중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 Received : 2021.06.23
  • Accepted : 2021.07.27
  • Published : 2021.07.31

Abstract

This study categorized the viewpoint of cooperation between schools and communities into marketability and publicness, and the viewpoint of school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The perspective of school education consider to utilize local resources for the growth of students. The lifelong education perspective sees cooperation between schools communities to support the learning of residents. While the marketability perspective pursues individual choices and diversity of opportunities, the publicness perspective focuses on ensuring citizens' right to learn and evenly distributing learning opportunities. From the point of view of school education, it seeks to utilize local resources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tudents, and in the view point of lifelong education schools are understood to support the learning activities of residents. Cooperation between schools and communities could be presented by categorizing them into private organization-led, educational authorities-led, and provincial authorities-led depending on the subject of the promotion. Recently, local governments and educational governments, schools and communities are developing to a stage where they cooperate to realize the vision of a educational community. For the cooperation between schools and communities the local community, coope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educational government and the harmony between publicness and marketability are emerging as tasks.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은 교육의 본질과 교육의 사회적 의미에 따라 학교교육과 평생교육 관점 그리고 시장성과 공공성의 관점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학교교육 관점에서는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위해 지역 자원을 활용하려한다. 평생교육 관점에서는 주민의 학습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학교와의 협력을 바라본다. 시장성의 관점은 개인의 선택과 기회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반면 공공성의 관점은 시민의 학습권을 보장하고 학습기회를 균등하게 배분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의 내용과 범위는 다양하지만 추진 주체에 따라 민간주도형, 교육자치 주도형, 일반자치 주도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최근에는 지자체와 교육청, 학교와 마을이 마을교육공동체라는 공통의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협력하는 단계로 발전되고 있다. 시장성의 논리보다는 공공성이 강조되고 교육청이나 자치구와 같은 공적 영역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은 마을교육공동체 실현을 위한 공공성과 시장성의 조화, 교육자치와 일반자치의 협력을 위한 거버넌스 체제 구축이 더욱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Dave, R. H.(1973). Lifelong education and school curriculum. Hamburg, Germany: UNESCO Institute for Education.
  2. 이혜정(2014). 경기도 학습부진 학생 지원을 위한 학교-지역사회 연계 실태와 개선방안. 경기도교육연구원.
  3. 장지은, 박지숙(2014). 지역연계를 바탕으로 한 학교교육지원. 평생교육학연구, 20(1), 213-243.
  4. 김윤태(2015). 지역사회연계 학교교육지원 활성화 방안. 서울특별시 교육연구정보원.
  5. 김언순, 민혜리, 이부영(2018). '학교-지역사회 연계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역교육자원 활용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2). 83-107.
  6. 양병찬(2003). 건강한 지역교육공동체 조성을 위한 지역사회학교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7. 양병찬(2009). 지역과 함께하는 학교 운영모델. 지역사회교육연구, 3: 177-232.
  8. 양병찬(2015). 지자체 마을만들기 사업에서 '마을학교'의 평생교육적 의미. 한국평생교육, 2(1), 1-25.
  9. 이희수(2002). 주5일 근무제 대비 학교시설을 이용한 평생학습 활성화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10. 이희수(2016). 지속가능한 마을교육공동체를 위한 학교와 마을간 상호협력체제 구성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1. 양흥권(2006), 학교평생교육 운영모형 개발을 위한 시론. 평생교육학연구, 12(2), 147-172.
  12. 홍숙희(2010). 평생교육기반으로서의 지역사회교육 논의의 변천과정 탐색. 평생교육학연구, 16(1). 25-62.
  13. 이소연(2014). 지역사회교육운동의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교육협의회 사례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14. 이재민(2016). 한국 지역사회교육정책 변천과정의 특성 연구. 평생교육학연구, 22(2), 55-84.
  15. 김용련(2015). 지역사회 기반 교육공동체 구축 원리에 대한 탐색적 접근: 복잡성 과학, 사회적 자본, 교육거버넌스 원리 적용을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33(2), 259-287.
  16. 서용선.김용련.임경수.홍섭근.최갑규.최탁(2015). 마을교육공동체 개념정립과 정책방향 수립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17. 조윤정, 이병곤, 김경미, 목정연(2016). 마을교육공동체 실천사례연구: 시흥과 의정부를 중심으로. 경기도교육연구원.
  18. 김위정, 김성식, 이은정(2016). 자유학기제와 마을교육공동체 연계방안. 경기도교육연구원
  19. 양병찬(2018). 한국 마을교육공동체 운동과 정책의 상호작용. 평생교육학연구, 24,(3). 125-152.
  20. 정은지, 김은경(2021). Q방법론을 활용한 마을교육공동체 활동 주체들의 인식 유형 분석. 교육연구논총, 42(2) 139-168. https://doi.org/10.18612/CNUJES.2021.42.2.139
  21. Olsen, E. G.(1953). School and Community. 김은우 역(1973). 학교와 지역사회, 현대사상사.
  22. Dewey, J.(1976). The school and society. 송도선 역(2016). 학교와 사회 서울: 교육과학사.
  23. 경기도교육청(2019.1.). 2019년 혁신교육지구 시즌II 운영 계획. 경기도교육청 학교정책과.
  24. 김종선(2018). 지역평생학습공동체 남양주 학습등대의 실천적 해석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5. 한숭희(2003). 시장인가 공적 영역인가: 참여 정부의 평생교육정책의 핵심 논제, 평생교육연구 9(3), 1-26.
  26. Longworth, N.(1999). Making Lifelong Learning Work: Learning Cities for a Learning Century. London Kogan Page.
  27. Griffin, C.(1987). Adult education as social policy. London: Croom Helm.
  28. Quigley, B. A.(1993). To shape the future: towards a framework for adult education social policy research and a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12(2). Taylor & Francis Ltd.
  29. 권대봉(2007). 공공정책으로서 평생학습: 한국평생교육정책의 변화와 특징 분석, 평생교육학연구, 13(4), 149-172.
  30. 신기왕(2020). 마을방과후학교 개념화를 위한 학교방과후학교와의 비교 연구. 방과후학교연구, 7(1), 19-34.
  31. 서울시교육청(2016.11). 마을과 함께하는 방과후학교 운영한다. http://www.sen.go.kr/ 2020.12.5.
  32. Tuijnman, A. C.(1996). The expansion of adult education and training in Europe. in The Learning Society: Challenges and Trends. edited by P. Raggatt, R. Edwards and N. Small. London: Routledge. 26-44.
  33. 김종서, 주성민(1990). 지역사회학교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34. CCS(2019). MAKING THE DIFFERENCE: Research and Practice in Community Schools. Coalition for Community Schools. Washington, DC: Institute for Educational Leadership.
  35. Blank, M., Jacobson, R., Melaville, A., & Pearson, S.(2010). Financing Community Schools: Leveraging Resources to Support Student Success. Coalition for Community Schools. ERIC Number: ED515222.
  36. 이소연(2014). 지역사회교육운동의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교육협의회 사례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한국지역사회교육협의회 http://kace.or.kr/ 2020.12.26.
  38. 배상훈(2014). 방과후학교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교육철학적 기반, 정책적 의의, 그리고 발전 전망. 방과후학교연구, 1(1), 1-17.
  39. 경기도교육청(2015). 혁신학교, 우리가 함께 만들어 갑니다. 미간행유인물.
  40. 최창의, 서용선, 김혁동, 홍섭근, 김용련(2016). 혁신교육지구사업 비교분석을 통한 협력적 교육거버넌스 발전방안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41. 경기도교육청(2016). 2017 경기꿈의학교 사업 설명회 자료. 미간행유인물.
  42. 서울시교육청(2019.1). 2019 서울형혁신교육지구 기본계획.
  43. IAEC www.iaec.org/ menu-options/home/2020.12.23
  44. 서울시청(2014), 주민이 직접 운영하는 「마을학교」 사업 추진계획, http://opengov.seoul.go.kr/ sanction/ 4107874)/2020.12.19.
  45. Dove, A. L.(1982). Lifelong Teacher Education And The Community School. Hamburg: Unesco Institute For Education.
  46. Sanders, M. G.(2006). Building SchoolCcommunity Partnerships: Collaboration for student success.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