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증 프로그램

Search Result 490,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A Survey Study on the Performance of Accreditation Program for Engineering Education (공학인증 프로그램의 성과에 대한 조사연구)

  • Sung, Jai-Mie;Kang, Seung-Chan;Min, Dong-Kyun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12 no.4
    • /
    • pp.102-114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formance of accreditation programs for engineering education in Korea using questionnaire. The survey includes workers who graduated the accreditation programs, supervisors of the workplace of the graduates, and professors or related persons of the universities. Overall the results shows that related three groups of individuals evaluates the program positively. The accreditation programs have positive effect on the labor market entrance and performances in the workplace estimated by earnings. Compared with major courses, courses of liberal arts and social science needs revision to have more positive response from graduates and employers. Also the program has to give more attention to strengthen the competencies related to professionals and ethics related with job, and adjustment in the work environ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Course Assessment and Program Objective Evaluation in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 Toward a Practical Evaluation of Program Objectives (공학교육인증에서 교과목 학습성과와 프로그램 학습성과의 관계 - 실질적인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를 지향하며)

  • Park, Yoon-Kook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13 no.4
    • /
    • pp.87-92
    • /
    • 2010
  • It is strongly desirable to continuously study the program outcomes that are one of the requirements of engineering accreditation. In this paper, the results of program outcome evaluation obtained by using four tools - exit written exams, essay tests, capstone design, and an official English test - were compared to those of program outcome evaluation obtained by a course-embedded assessment method. The former evaluation was carried out for 15 students who graduated in February 2010 by using the four evaluation tools, while the latter was performed by using a course offered in the Spring and Fall semesters in 2009. Two evaluation results revealed no large difference in almost all 12 program outcomes, which indicates that course-embedded assessment would be one of the practical and effective program outcome evaluation tools.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rid Portal Site for Computational Chemistry and Nano-Materials (화학계산과 나노물질 계산을 위한 그리드 포털 사이트의 설계 및 구현)

  • Moon, Jong-Bae;Kim, My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163-166
    • /
    • 2002
  • 복잡한 계산 화학 문제의 해결과 신물질 개발을 위한 나노물질 계산 등을 위해서는 고성능 컴퓨팅 파워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계산을 위해 필요한 실험 장비의 가격은 천문학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문제 해결의 장애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 '그리드(Grid) 컴퓨팅'이라는 새로운 컴퓨팅이 제안되면서 지리적으로 떨어진 여러 자원들을 하나의 슈퍼컴퓨터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그리드 환경을 이용하려면 그리드 미들웨어인 글로버스(globus)를 설치하고 인증기관을 통해 사용자 인증과 호스트인증을 거친 후 응용 프로그램들을 설치하여 수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그리드 환경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 할 수 있고, 실행할 수 있더라도 그리드 환경에서 작업을 요청하고 할당하려면 RSL이라는 스크립트 언어를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복잡한 화학계산과 나노물질 계산을 위한 응용프로그램들을 인터넷 상에서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그리드 환경을 구축하고 웹 인터페이스를 구현한다.

  • PDF

A Study on Assessment Method of Program Outcomes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방법 연구)

  • Kim, Bok-Ki;Park, Jin-Young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11 no.4
    • /
    • pp.46-57
    • /
    • 2008
  • The core of accreditation for engineering education is to improve the ability and quality of graduates through CQI system based on outcomes. For the program outcomes of the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criter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education assessment, objective and curriculum.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program outcomes and the assessment. First the measure for improving the general problems of the program outcomes associated with assessment tool have been stated. And the detailed measure for practicing the program outcome, the assessment system and the assessment tool, which makes use of Rubrics, have been discusse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program outcome and the assessment may be conducted at universities with the assessment tool established in this study.

A Case Study on Program Outcomes Assessment of Information Security Program for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공학교육인증을 위한 정보보호학 프로그램의 학습성과 평가에 관한 연구)

  • Chung, Weonil;Oh, Soo-Hyun;Kim, Hwank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6 no.3
    • /
    • pp.777-785
    • /
    • 2016
  •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addresses evaluation for program outcomes according to educational objectives and assessment process, which students are expected to obtain by the time of graduation in order to train international competitive engineers with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in engineering programs. This paper shows a case study of a program outcomes assessment system including performance criteria, evaluation process, document system and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process and an achievement evaluation by the assessment system for program outcomes in Information Security Program of Hoseo university.

Software certification based on hierarchical classification of software (소프트웨어의 계층적 분류에 기반한 품질 인증)

  • 박동철;김순용;이상덕;오재원;이종원;우치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13-15
    • /
    • 2002
  • 오늘날 소프트웨어는 개발 방법론을 이용하여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다. 이와 더불어 소프트웨어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와 지식 수준 또한 같이 높아짐으로써 소프트웨어 인증에 대한 관심과 인식도 같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품질 인증을 위한 메타 모델의 필요성을 알아보고 기존 연구[1]되었던 메타 모델의 개념 수준을 더욱 발전시켰다. 그리고 간단하지만 실질적인 예제를 통해서 메타 모델과 인증 모델, 인증 프로그램과의 관계를 명확하게 정립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Program Integrity with Authentication Code (인증코드를 통한 프로그램 무결성 보장에 관한 연구)

  • Cho, Shin-Young;Park, Min-Woo;Chung, Tai-M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790-793
    • /
    • 2011
  • 오늘날 인터넷의 발달과 스마트 기기들의 발달로 인해 우리의 일상생활 깊숙이까지 정보화가 이루어 졌다. 최근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수가 1,000만 명이 넘어서고 있으며 스마트폰을 통해 필요한 프로그램을 다운받는 수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프로그램을 제작 후 인터넷을 통해 배포할 시 보안상 안전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악의적인 제 3자가 배포 중인 프로그램에 악성코드를 삽입하여 악성코드도 같이 배포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대비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무결성을 보장하는 PAC(Program Authentication Code)을 제안한다. PAC은 기존 악성코드 정보를 가진 데이터베이스가 없어도 프로그램에 악성코드가 삽입되는 것을 탐지할 수 있다. 또한 해시함수를 사용하여 고정된 길이의 인증코드를 생성함으로 네트워크로 전송하거나 한정된 메모리에서 보관하기에 용이하다.

Requirement Analysis and Design of an Engineering Certification Program, CEA System (공학교육인증프로그램 운영 효과 증진을 위한 CEA시스템의 요구분석 및 설계)

  • Jeon, Ju-Hyun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7.08a
    • /
    • pp.225-226
    • /
    • 2017
  • 이공계 위기론을 해결하기 위해 ABET주도로 시작된 공학교육인증은 우리나라에도 도입되었으며 성과중심교육을 기본철학으로 하는 공학교육인증에서 프로그램 학습성과의 평가는 매우 중요하다. ABEEK에서 강조하고 있는 교과기반평가(Course Embedded Assessment, 이하 CEA)는 그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학습성과 연계와 코스 연계 등이 전산시스템으로 지원되지 않아 교육현장에서 잘 반영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인증을 위한 자체평가보고서 작성시 PD교수들의 어려움이 있다. 이에 운영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CEA평가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사용자 권한 중심의 요구분석과 시스템 설계를 진행 하였다.

  • PDF

세계 유기농업의 동향과 기준 -국제인증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빈센트슈텔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Conference
    • /
    • 2001.10a
    • /
    • pp.179-191
    • /
    • 2001
  • 지난 수년간 유기식품에 대한 관심은 상당히 증가해 왔다. 유기식품은 식품산업에서 아직도 적은 비율이지만, 점차 성장하는 부문으로 그 정체성이 법에 의해 정의되고 보호되고 있다. 이제는 유기식품의 존재가 소비자 선택의 한 요소가 되고 있다. 소비자 확신과 생산물 신뢰, 유기식품 시장에서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유기식품 입법과 인증이 필요하다. 유기농업 법의 조화는 유기생산물의 수출을 용이하게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국제유기농업운동연합회(IFOAM) 인증프로그램은 이러한 측면에서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이미 NOP(미국), EC 2092/91(유럽연합) 등 몇몇 국가의 기준들이 국제유기농업운동연합회 기준에 맞게 조정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국가에서 유기농업에 대한 기준이 없다. 유기농업은 빠른 글로벌화 과정에 따라 국제무역이라는 주요한 쟁점에 직면하고 있어 미래의 발전과 모든 국가에서 유기생산물의 인증화를 고려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 PDF

A Study of the Authentication of On-line Test Participants under e-Learning (e-Learning상에서 온라인 시험 응시자 인증에 관한 연구)

  • 조길익;곽덕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499-501
    • /
    • 2004
  • 교육의 새로운 방향은 가상 학교나 WBI와 같은 교육적 활용분야로 확대되고 있으나, e-Learning 상에서 이뤄지는 평가의 응시자에 대한 신뢰 확보는 어려운 상황이다. 기존의 인증이란 사용자가 E와 Password를 타인에게 공개하지 않는 한 본인임을 인증하였다. 하지만 온라인상에서 시험 응시자는 본인의 ID와 Password를 타인에게 알려주어 대리시험이 가능하게 함은 물론 시험문제의 공유 또는 다수의 응시자가 한 곳에 모여 문제를 풀어 감으로서 평가에 대한 신뢰도에 의문을 갖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이에 인터넷으로 원격조정이 가능한 PC카메라와 얼굴인식 프로그램 그리고 원격제어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응시자를 인증함으로써 부정행위를 원천적으로 봉쇄하고, 감독자가 언제 어디서나 웹을 통하여 쉽게 감독할 수 있도록 LMS 기능의 보완이 요구된다. 본 논문을 통해서는 채팅기능을 통한 상호 대화가 가능하고 응시 장면을 동영상으로 압축 저장하여 사후 감독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e-Learning상에서의 평가 및 학사관리의 공정성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