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정기술자 제도

Search Result 16,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Nondestructive Testing Qualification and Certification of Personnel (비파괴검사 기술자의 자격인정 및 인증)

  • Park, Ik-Keun;Park, Un-Su;Chang, Hong-K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 v.19 no.4
    • /
    • pp.300-313
    • /
    • 1999
  • 비파괴검사 기술의 레벨 향상과 안정화를 통한 시간적 재현성이 있는 비파괴검사 결과의 확보를 위해서는 비파괴검사 기술자의 자격 인정 및 인증(nondestructive testing qualification and certification of personnel)제도의 확립이 매우 중요하다. 비파괴검사 결과에 대한 유효성은 비파괴검사을 실시하는 사람의 능력이나 비파괴검사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는 사람의 능력에 크게 의존한다. 1974년부터 원자력 선진국들이 중심이 되어 수행된 PISC 프로그램(program for inspection of steel components) 및 EPRI 등에서는 순회시험 (piping inspection round-robin: PIRR trial) 결과 기존 비파괴검사 방법은 모의 시험편에 있는 상당히 큰 결함도 탐지하지 못하거나 정확한 결함크기를 측정하는데 실패한 경우가 있으며, 검사자의 기량 또는 신체조건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 국제표준화기구(ISO)의 비파괴검사 기술자의 기량인정 및 인증에 대한 국제규격안 DIS(draft international standard) 9712에서는 비파괴검사를 기획 실시 감독 감시 평가를 하기 위한 적절한 이론적 및 실무적 지식을 필요로 하는 기술자의 능력을 평가하고, 문서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절차를 제시하고 있다. 국제표준화기구에 의한 비파괴검사 기술자의 기량인정 및 인증에 대한 국제통합을 추진하는 동기는 제 3자에 의한 체계적인 인증시스템을 가지고 있지 않은 나라와 새로운 NDT 방법에 대해서 인증제도를 적용할 때 세계적인 공통성을 갖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현재, 우리나라 비파괴검사 기술자의 기술자격 인증제도는 국가기술자격법에 의거하여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주관하여 기술사,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로 구분하여 실시하고 있다. 국제표준화기구의 비파괴검사 기술자의 자격과 인증에 대한 국제 통합화(안)[2]이 거의 마무리 단계에 있고 일본을 비롯한 많은 나라가 국제규격을 기초로 한 새로운 인증제도를 발족시켜 거의 시행 단계에 있다. 반면 국내에서는 한국비파괴검사학회(KSNT)에서 비파괴검사 기술자의 자격인정 및 인증제도의 개선방향이 제시된 바 있고 [3], 표준화위원회에서 나름대로 준비를 하고 있으나 아직 구체적인 실천단계에와 있지 못하다. 본 고에서는 최근 대폭수정 보완된 ISO/DIS 9712 국제규격(안)을 회원들에게 소개하고, 우리나라의 향후 대응방안에 관한 회원 여러분의 의견 수렴에 도움을 주고자 ISO/DIS 9712(1997)를 번역하여 제공한다.

  • PDF

Supply-Demand Forecasting Method of Qualified Engineers in Construction Using System Dynamics (시스템 다이나믹스를 활용한 건설분야의 특급기술자 수급전망)

  • Kim, Sung-Tae;Park, Moon-Seo;Lee, Hyun-Soo;An, Sun-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6.11a
    • /
    • pp.373-377
    • /
    • 2006
  • By prosperous condition of construction economy in the early 90s in korea, we needed a lot of the qualified professional engineers(PE) to manage the construction site. In order to meet the high demand of P.E., government has established the admitted engineer system(AES) which is given to admitted engineer who do not take the written exam but have equivalent working experience in 1995. However, since 2000, while professional engineer's shortage has been resolved, the opposite situation has occurred that is serious over-supply of construction engineers. Thus, government announced that will abolish the admitted engineer systems as recognized existent admitted engineers. However, Professional Engineers institution is insisting that must not recognize existent admitted engineer.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critical to make the supply-demand forecast systems as a derivative approach of system dynamics also, that is useful in comparing the argument between government and Professional Engineers institution. This paper describes about qualified engineer's supply change by admitted engineer system abrogation and suggests the idea to regulate the supply and demand with the improvement of the regal system.

  • PDF

Supply-Demand Forecast of Engineers according to the Change of Construction Engineers Qualification System (건설기술자 제도변화에 따른 건설기술인력 수급전망)

  • Park, Hwan-Pyo;Shin, Eun-Young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0 no.2
    • /
    • pp.46-54
    • /
    • 2009
  • In the early 90s, we had serious shortage of construction engineers for the expansion of construction market. So, Government has established the admitted engineer system in 1995. However, since year 2000, while the engineershortage has been resolved, the opposite situation has occurred: serious over-supply of construction engineers. Therefore, Government announced that would abolish the admitted engineer systems as recognized the existent admitted engineers from 2007.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critical to make the accurate forecast of number of required construction engineers for providing the basis for the most appropriate policy from 2008 to 2017. This research have developed a construction engineer supply-demand forecast model based on the GDP and construction market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be applied to the basic data that policy planner establishes the supply-demand policy of construction engineers.

건설기술자 경력관리는 이렇게(2)

  • Korea Mechanical Construction Contractors Association
    • 월간 기계설비
    • /
    • no.7 s.204
    • /
    • pp.57-62
    • /
    • 2007
  • 지난해 건설기술관리법 시행령 이 개정됨에 따라 지난 3월 1일부터 특급건설기술자는 기술사만 가능하고 학· 경력기술자는 초급까지만 인정되는 등 건설기술자 경력제도가 대폭 개선되었다. 이에 따라 건설교통부는 개정된 경력신고 제도를 건설기술자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불이익을 받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건설기술자 경력관리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홍보책자를 발간했다. 이 홍보 책자는 이제 막 입문하는 초급기술자부터 특급기술자에 이르기까지 전체 57만여명의 건설기술자 누구 나 쉽게 경력관리가 가능하도록 건설기술자의 경력신고 절차, 교육훈련, 각종 통계자료 및 주요 유권해석 등을 알기 쉽게 매뉴얼 형식으로 정리하였다. 이 책자에 따르면 건설기술자가 개정 전의 규정에 의한 기술등급을 받기 위하여 반드시 숙지해야 할 사항으로 는 오는 8월 31일까지 자신의 학력·자격·경력 등을 한국건설기술인협회 등 경력관리수탁기관에 신고하여야 하고 내년 2월 29일까지 1주의 전문교육을 이수하여야 한다. 또한 건설기술자가 근무처 경력신고시 종전의 국민연금 등 4대 보험 자료 원본을 제출하던 것을 해당 공단 홈 페이지 출력물로 대체가 가능, 경력신고가 훨씬 간편해졌다. 참고로 건설기술자의 경력관리 자료는 설계 등 용역업자의 사업수행능력(PQ) 평가시 수행경력 확인, 건설관련 업체 등록시 기술능력 확인, 건설기술자 현장배치시 적정여부 확인 등에 활용되고 있다. 본지는 건교부가 발간한“건설기술자 경력관리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홍보책자를 3회에 걸쳐 게재한다.

  • PDF

건설기술자 경력관리는 이렇게(3)

  • Korea Mechanical Construction Contractors Association
    • 월간 기계설비
    • /
    • no.8 s.205
    • /
    • pp.68-72
    • /
    • 2007
  • 지난해 건설기술관리법 시행령 이 개정됨에 따라 지난 3월 1일부터 특급건설기술자는 기술사만 가능하고 학.경력기술자는 초급까지만 인정되는 등 건설기술자 경력제도가 대폭 개선되었다. 이에 따라 건설교통부는 개정된 경력신고 제도를 건설기술자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불이익을 받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건설기술자 경력관리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 홍보책자를 발간했다. 이 홍보 책자는 이제 막 입문하는 초급기술자부터 특급기술자에 이르기까지 전체 57만여명의 건설기술자 누구나 쉽게 경력관리가 가능하도록 건설기술자의 경력신고 절차, 교육훈련, 각종 통계자료 및 주요 유권해석 등을 알기 쉽게 매뉴얼 형식으로 정리하였다. 이 책자에 따르면 건설기술자가 개정 전의 규정에 의한 기술등급을 받기 위하여 반드시 숙지해야 할 사항으로는 오는 8월 31일까지 자신의 학력.자격.경력 등을 한국건설기술인협회 등 경력관리수탁기관에 신고하여야 하고 내년 2월 29일까지 1주의 전문교육을 이수하여야 한다. 또한 건설기술자가 근무처 경력신고시 종전의 국민연금 등 4대 보험 자료 원본을 제출하던 것을 해당 공단 홈페이지 출력물로 대체가 가능, 경력신고가 훨씬 간편해졌다. 참고로 건설기술자의 경력관리 자료는 설계 등 용역업자의 사업수행능력(PQ) 평가시 수행경력 확인, 건설관련업체 등록시 기술능력 확인, 건설기술자 현장배치시 적정여부 확인 등에 활용되고 있다. 본지는 건교부가 발간한 "건설기술자 경력관리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 홍보책자를 3회에 걸쳐 게재한다.

  • PDF

Supply-Demand Forecasting of Principal Engineers in Construction Industry Using System Dynamics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한 건설 특급기술자 수급전망)

  • Kim, Sung-Tae;Lee, Hyun-Soo;An, Sun-Ju;Ryu, Han-Guk;Park, Moon-Seo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8 no.5
    • /
    • pp.161-172
    • /
    • 2007
  • By prosperous condition of construction economy in the early 90s in Korea, the government needed a lot of the qualified professional engineers (PE) to manage the construction site. In order to meet the high demand of P.E., Government has established the admitted engineer systems(AES) in 1995 that give the authority of principal engineers to the admitted engineers who do not take the written examination but have equivalent working experience. Since 2000, professional $engineer^{\circ}{\phi}s$ shortage has been resolved. however, the opposite situation, which is serious over-supply of construction engineers has occurred. Thus, Government announced that would abolish the admitted engineer systems as recognized the existent admitted engineers(about 1,000,000 persons) from 2007. However, Professional Engineers Institution has strongly insisted that Government should not recognize existent admitted engineers.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critical to make the supply-demand forecast systems as a derivative approach of System Dynamics also, that is useful in comparing the argument between Government and Professional Engineers Institution. This paper describes about principal $engineer^{\circ}{\phi}s$ supply change by admitted engineer system abrogation and suggests the idea to regulate the supply and demand with the improvement of the regal system.

특급기술자 전문교육 시행

  • Korea Mechanical Construction Contractors Association
    • 월간 기계설비
    • /
    • no.7 s.216
    • /
    • pp.50-51
    • /
    • 2008
  • 국토해양부는 특급기술자에 대한 의무학점제 전문교육 내용을 담은 '건설기술인력 교육훈련 방법 및 이수인정 기준' 제정안을 지난 6월 9일 고시하고, 7월 1일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건설기술관리법 개정으로 신설된 특급기술자의 학점제 전문교육 시행 방법은 특급기술자의 경우 3년마다 전문교육을 통해 90학점을 채워야 한다. 90학점 중에는 반드시 전문교육으로 35학점을 이수한 후 나머지 55학점은 수강교육과 무형식 교육으로 획득하면 된다.

  • PDF

Supply-Demand Forecast of Professional Engineer in construction field (건설분야 기술사 인력수급 전망)

  • Lee, Sam-Seok;Lee, Young-Hwan;Kim, Sun-K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6.11a
    • /
    • pp.453-457
    • /
    • 2006
  • After the introduction of Professional Engineer System to secure superior technical personnel in 1963, the engineering license regulations were introduced in 1995 - the person qualified with either the academic back ground or career in the construction field can be authorized as a construction engineer- to cope with higher demands for construction engineers caused by revitalization of construction business such as 2 million house construction. As a result, the number of construction engineers has been increased drastically since year 2000, which caused serious problems in utilizing top technical certificate, the PE's. Recently, relating to the opening of technology market according to WTO agreement and mutual authentication among countries and etc., the government is preparing legal and systematic foundations to guarantee the professionalism of engineers. Through the exact supply-demand forecast of PE's reflecting these systematic aspects, we are going to analyze the problems in the supply-demand of PE's and suggest the systematic improvement plans for managing the supply-demand of PE'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used for building efficient and consistent raising and utilizing system of PE's as well as supply and demand system of qualified PE's

  • PDF

법령과 고시-건설기술관리법 시행령·시행규칙 개정

  • Korea Mechanical Construction Contractors Association
    • 월간 기계설비
    • /
    • no.2 s.199
    • /
    • pp.33-42
    • /
    • 2007
  • 학·경력자제도 개선 등 기술자제도 변경을 내용으로 하는 건설기술관리법시행령이 지난 해 12월 29일 개정 공포(시행일 : 2007. 3.1)되었다. 이번 개정은 기술등급 승급 범위를 3월 1일 부터는 자격자 중 기사와 산업기사는 고급까지 승급 가능하고 학·경력자는 초급으로만 인정한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ive Standard Career Development Program for Construction Engineer (건설엔지니어링 기술자 표준 경력관리 효율화 방안 연구)

  • Kim, Sang-Bum;Kim, Yong-Bi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3
    • /
    • pp.1181-1189
    • /
    • 2013
  • This study illustrates the results of a background policy research conducted to provide supports for the 'Korean Engineering Industry Enhancement Law' promulga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The main issue covered in this study is an effective way of managing standardized career development program for construction engineers.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detailed criteria and guidelines for the public career development program for construction engineers by effectively collecting and analyzing relative. In doing so, various opinions from a wide range of stakeholders and related parties were gathered. In addition, an in-depth benchmarking investigation was performed with four main associations who have been operating their own career development management program for construction engineers. Some of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have played a positive role specifying the details of the recently promulgated law such as 'Notice by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2011-76: guidelines for managing construction engineer career'. This study was an empirical and practical research effort helping the government to set up an effective construction law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