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pply-Demand Forecast of Professional Engineer in construction field

건설분야 기술사 인력수급 전망

  • Published : 2006.11.11

Abstract

After the introduction of Professional Engineer System to secure superior technical personnel in 1963, the engineering license regulations were introduced in 1995 - the person qualified with either the academic back ground or career in the construction field can be authorized as a construction engineer- to cope with higher demands for construction engineers caused by revitalization of construction business such as 2 million house construction. As a result, the number of construction engineers has been increased drastically since year 2000, which caused serious problems in utilizing top technical certificate, the PE's. Recently, relating to the opening of technology market according to WTO agreement and mutual authentication among countries and etc., the government is preparing legal and systematic foundations to guarantee the professionalism of engineers. Through the exact supply-demand forecast of PE's reflecting these systematic aspects, we are going to analyze the problems in the supply-demand of PE's and suggest the systematic improvement plans for managing the supply-demand of PE'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used for building efficient and consistent raising and utilizing system of PE's as well as supply and demand system of qualified PE's

1963년 우수 기술인력의 확보를 위해 기술사제도를 도입한 후, 주택건설 200만호 건설 등 건설경기의 활성화로 인한 건설기술자의 수급불균형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학력 및 경력기술자를 건설기술자로 인정하는 제도를 1995년에 도입하였다. 이러한 인정기술자제도의 도입으로 건설기술자는 양적으로 크게 증가하여 2000년 이후 건설기술자의 심각한 공급초과가 발생하였고, 이에 따라 최고 기술자격인 기술사의 활용에 있어 심각한 폐해가 일어나고 있다. 정부는 최근 WTO협약에 의한 기술개방, 국가간 상호인증 등과 관련한 기술사의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는 법 ${\cdot}$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제도적 측면을 반영한, 정확한 기술사의 인력수급예측을 통하여 기술사 인력 수급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기술사 인력의 수급을 조정하기 위해 제도적인 측면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선진수준의 기술사 인력수급체계 구축은 물론 효율적이고 일관된 기술사 양성 및 활용 체제 구축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