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pply-Demand Forecast of Engineers according to the Change of Construction Engineers Qualification System

건설기술자 제도변화에 따른 건설기술인력 수급전망

  • 박환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관리.경제연구실) ;
  • 신은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관리.경제연구실)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In the early 90s, we had serious shortage of construction engineers for the expansion of construction market. So, Government has established the admitted engineer system in 1995. However, since year 2000, while the engineershortage has been resolved, the opposite situation has occurred: serious over-supply of construction engineers. Therefore, Government announced that would abolish the admitted engineer systems as recognized the existent admitted engineers from 2007.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critical to make the accurate forecast of number of required construction engineers for providing the basis for the most appropriate policy from 2008 to 2017. This research have developed a construction engineer supply-demand forecast model based on the GDP and construction market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be applied to the basic data that policy planner establishes the supply-demand policy of construction engineers.

우리나라는 1990년대에 건설발주 물량의 증가로 인한 건설기술자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정부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1995년에 인정기술자제도를 도입하게 되었다. 그러나, 2000년 이후 건설기술자의 부족 문제는 해결되었으나, 오히려 건설기술자의 공급과잉으로 인한 새로운 문제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정부는 2007년도에 기존 인정기술자제도를 폐지하고, 건설기술자 제도는 산업기사, 기사, 기술사 등의 기술자격을 가진 자만 건설활동을 할 수 있는 제도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정책변화에 따른 가장 적합한 건설기술자의 수요와 공급예측 모델을 개발하여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수요공급예측을 하는 것이 중요한 사항으로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GDP와 건설시장분석을 기반으로 건설기술자의 수요예측과 공급예측모델을 제안하고, 중장기 수급예측을 전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정책수립자가 건설기술자의 수요와 공급의 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박환표, 이민우, 채명진, '건설경기 변화에 따른 건설기술자의 수급전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제21권 12호(통권206호), 2005. 12
  2. 이태식 외, '건설기술인력의 수급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2
  3. 박명수 외, '건설기술인력 실태조사 및 수급대책', 한국건설산업연구원, 1997
  4. 김성일 외, '건설기술자 인정제도 개선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03
  5. 박환표 외, '건설기술자제도의 변화 유형별 수급전망과 영향분석 및 개선대책 연구', 한국건설기술인협회, 2005
  6. 김선국외, '건설분야의 기술사 인력수급 현황 및 분석',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2005. 6
  7. 황찬수 외, '건설업의 인력수급 환경에 관한 시계열 분석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05. 12
  8. 손창백 외, '건설경기 변동에 따른 인력수요 예측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06. 5
  9. 김성태외,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한 건설 특급기술자 수급전망',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2007.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