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식 및 활용

Search Result 5,339, Processing Time 0.04 seconds

Study of the Awareness and the Utilization about the Alternative Therapy at the Aging (노년층의 보완대체요법 활용 및 인식에 관한 연구)

  • Choung, Hye-m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75-37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인구의 노인층의 증가에 인하여 높아진 노인들의 건강에 관심도 높아지고 있으며 보완대체요법은 오랜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으나 민간 요법으로만 인식되어 활용되고 있는 보완대체요법은 노인병 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현재 노인층에서의 보완대체요법의 사용 현황을 분석해서 추후 활용방안을 찾고자 한다.

  • PDF

보급형 u-로봇을 위한 스테레오 영상 칩을 탑재한 임베디드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실시간 제스처 인식 알고리즘

  • Sin, Ho-Cheol;Kim, Yeong-Geun;Jo, Jae-Il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5 no.4
    • /
    • pp.11-15
    • /
    • 2008
  • 제스처 인식은 로봇의 활용에 유용한 기능이지만 많은 계산 량이 요구되므로 보급형 u-로봇에는 탑재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u-로봇에서 일차적인 영상처리를 수행하고, 핵심 데이터만 u-로봇서버에 전송하여 다양한 응용을 수행하는 분산시스템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테레오 영상칩을 탑재한 ASIC과 임베디드 시스템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상체 자세를 검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성능을 검증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사용자의 다양한 상체자세를 최대 30fps까지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으며 80%전후의 검출률과 10cm전후의 손과 팔꿈치의 위치오차를 보였다.

Development of Preprocessing module for Korean online handwriting recognition (한글 온라인 필기 인식을 위한 전처리 모듈 개발)

  • Jeong, Min Jin;Jeong, Dabin;Lee, Kang Eun;Kim, Sungsuk;Yang, Sun 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63-65
    • /
    • 2019
  • 본 논문은 개발하고자 하는 기계학습 기반 한글 필기 인식 시스템의 첫 연구 결과를 담고 있다. 즉, 기계학습을 위해서는 학습용 및 테스트용 필기 데이터가 아주 많이 필요하므로, 이를 수집하고 전처리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한글의 한 글자는 자음과 모음을 결합하여 생성되는데, 실제 만 개 이상의 글자가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글자 데이터를 수집하는 대신, 수집한 글자 데이터로부터 초성, 중성, 종성을 구분하여 최종적으로 자음, 모음 데이터로 저장하고자 한다. 아직 초기 연구이므로, 다양한 경우에 대한 분석이나 실험 결과는 없지만, 이를 활용하여 온라인 필기 인식 모델에 적용하여 인식 성능을 높이기 위한 추후 연구의 기반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A Design of Real-time Facial Age Recognition System based on Depth-Camera (심도카메라 기반의 실시간 얼굴 나이 인식 시스템 설계)

  • Ko, Ginam;Moon, Namm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655-657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심도(Depth) 카메라로부터 실시간 획득한 RGBD 데이터에서 심도 정보 기반의 AAM(Active Appearance Models)과 나이 인식 알고리즘[1]을 통해 4 개의 AG(Age Group)으로 분류하는 실시간 얼굴 나이 인식 시스템(Real-time Facial Age Recognition System)을 설계한다. 기존의 AAM 을 이용한 실시간 얼굴 특징 추출은 평균 약 4.17%의 프레임 손실율을 보였으나, 심도 정보를 활용한 AAM 은 평균 약 0.43%의 프레임 손실율만을 보였다[5]. 본 논문에서는 심도 정보를 활용한 AAM과 병렬 처리 방법인 CUDA 를 결합하여 나이 특징을 추출하고, 실시간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도록 나이 인식 알고리즘을 개선하여 실시간 나이 인식 시스템을 설계한다. 설계된 시스템은 1)머리 위치 추적, 2)얼굴 인식 및 특징점 추출, 3)나이 특징 추출, 4) 나이 특징 분석, 5) 나이 분류의 5 가지 단계를 통해 최종적으로 4 개의 AG 로 분류한다.

Constructing Korean Named Recognition Dataset for Financial Domain Using Active Learning (능동 학습 기법을 활용한 한국어 금융 도메인 개체명 인식 데이터 구축)

  • Jeong, Dong-Ho;Heo, Min-Kang;Kim, Hyung-Chul;Park, Sang-W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82-86
    • /
    • 2020
  • 딥러닝 모델의 성능은 데이터의 품질과 양에 의해 향상된다. 그러나 데이터 구축은 많은 비용과 시간을 요구한다. 특히 전문 도메인의 데이터를 구축할 경우 도메인 지식을 갖춘 작업자를 활용할 비용과 시간이 더욱 제약적이다. 능동 학습 기법은 최소한의 데이터 구축으로 모델의 성능을 효율적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방법이다. 다양한 데이터셋이 능동 학습 기법으로 구축된 바 있으나, 아직 전문 도메인의 한국어 데이터를 구축하는 연구는 활발히 수행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능동학습기법을 통해 금융 도메인의 개체명 인식 코퍼스를 구축하였고, 이를 통해 다음의 기여가 있다: (1) 금융 도메인 개체명 인식 코퍼스 구축에 능동 학습 기법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고, (2) 이를 통해 금융 도메인 개체명 인식기를 개발하였다. 본 논문이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8,043문장 데이터를 구축하였고, 개체명 인식기의 성능은 80.84%로 달성되었다. 또한 본 논문이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약 12~25%의 예산 절감 효과가 있음을 실험으로 보였다.

  • PDF

Continuous Korean Named Entity Recognition Using Knowledge Distillation (지식증류를 활용한 지속적 한국어 개체명 인식 )

  • Junseo Jang;Seongsik Park;Harksoo K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505-509
    • /
    • 2023
  • 개체명 인식은 주어진 텍스트에서 특정 유형의 개체들을 식별하고 추출하는 작업이다. 일반적인 딥러닝 기반 개체명 인식은 사전에 개체명들을 모두 정의한 뒤 모델을 학습한다. 하지만 실제 학습 환경에서는 지속적으로 새로운 개체명이 등장할 수 있을뿐더러 기존 개체명을 학습한 데이터가 접근이 불가할 수 있다. 또한, 새로 모델을 학습하기 위해 새로운 데이터에 기존 개체명을 수동 태깅하기엔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든다. 해결 방안으로 여러 방법론이 제시되었지만 새로운 개체명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기존 개체명 지식에 대한 망각 현상이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지식증류를 활용한 지속학습이 한국어 개체명 인식에서 기존 지식에 대한 망각을 줄이고 새로운 지식을 학습하는데 효과적임을 보인다. 국립국어원에서 제공한 개체명 인식 데이터로 실험과 평가를 진행하여 성능의 우수성을 보인다.

  • PDF

Server based Mobile Multi-lingual Recognition System of Name-card (서버기반 모바일 다국어 명함인식 시스템)

  • Jang, Dong-Hyeub;Lee, Jae-Hong;Kim, Seong-Hak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3 no.4
    • /
    • pp.155-162
    • /
    • 2014
  •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server-based mobile multi-lingual name-card recognition system which utilizes smartphone only as a terminal for capturing images of name-card and displaying results of recognition, running server as a recognizer of characters. For efficient processing and transmission of captured images, we corrected the distorted images, removed noises from them, and defined the socket-based protocol for wireless transmission of images between smartphone and the recognizer on server. Various tests for name-cards of five language types show increased recognition rate and speed of the developed system against conventional smartphone-based recognizers.

Implementation of Deep Learning-Based Vehicle Model and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딥러닝 기반 자동차 모델 및 번호판 인식 시스템 구현)

  • Ham, Kyoung-Youn;Kang, Gil-Nam;Lee, Jang-Hyeon;Lee, Jung-Woo;Park, Dong-Hoon;Ryoo, Myung-C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465-466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영상인식 기술을 활용한 객체검출 모델인 YOLOv4를 활용하여 차량의 모델과 번호판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실시간 영상처리기술인 YOLOv4를 사용하여 차량모델 인식과 번호판 영역 검출을 하고,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번호판의 글자와 숫자를 인식한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한다면 카메라 1대로 차량의 모델 인식과 번호판 인식이 가능하다. 차량모델 인식과 번호판 영역 검출에는 실제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차량 번호판 문자 인식의 경우 실제 데이터와 가상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차량 모델 인식 정확도는 92.3%, 번호판 검출 98.9%, 번호판 문자 인식 94.2%를 기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Learning Capability according to the Demand and the Degree of Demand of Learning Program (학습 프로그램 수요 및 요구도에 따른 학습역량 차이연구)

  • Choi, Mee Soon;Jo, Hye Yo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11
    • /
    • pp.795-803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learning capability according to the demand of learning program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1,738 S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learning capability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learning programs, w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bility to organize information, resource utilization, self-awareness, self-improvement and sociality. Seco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bility to organize information, resource utilization, self-awareness, self-improvement and sociality in participating in learning programs. Thir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bility to organize information, resource utilization, self-awareness, self-improvement and sociality in not participating in learning programs. Fourth,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bility to organize information, resource utilization, self-awareness, self-improvement and sociality in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learning. Fifth, learning capabilities in specific areas that students wanted to improve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bility to organize information, resource utilization, self-awareness. Howev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improvement and sociality.

A Study on the Cognitiveness of Pre-Language Therapists for Language Therapy Using Smart Media (스마트미디어 활용 언어치료에 대한 언어치료전공 대학생의 인식조사)

  • Lee, Eun Kyoung;Ahn, Soo Young;Park, Sun He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3
    • /
    • pp.469-476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mmon perception of the use of preliminary language rehabilitation as a basic study to demonstrate the usefulness of media utilisation in language therapy.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or 150 preliminary language rehabilitation workers and 14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study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media usage in pre-language rehabilitation was necessary for language development and was also positive about the treatment. The use of media has been recognised as helpful in promoting attention, cognitive and creativity development. Also, the use of media as a treatment tool was agreed to, but it was recognized that the rules for utilizing the media were necessary and needed to know the proper site or program.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of sites and programs that can be used for language therapy is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