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구변천

Search Result 50, Processing Time 0.02 seconds

Demographic Transition and Population Ageing: A Comparative Study of MDC, LDC, and Korea (인구변천과 인구고령화: 선진국, 개발도상국, 그리고 한국의 비교 연구)

  • Lee, Sung Yong;Lee, Jung Whan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5 no.1
    • /
    • pp.549-57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current states and future trends in the more developed countries(MDC), the less developed countries(LDC), and Korea. In 2009, the percentage of persons ages 65 and older in the world's population is 8%. However, the ratio of elderly to the total population is higher in MDC than LDC (and Korea). In future, population ageing will be a serious social problem in the LDC (and Korea). Population ageing process will occur at a much faster rate in LDC (and Korea). The reason is that the demographic transition in LDC (and Korea) has occurred in much shorter and recent periods. Though the ageing indices such as the old-age dependency ratio, aging index, and the median ages are higher in MDC, they will change rapidly in LDC. In addition, the oldest old population will increase in LDC than MDC. Therefore, when establishing the government policy related to population ageing, we need to consider the different population ageing process between in MDC and in Korea(or LDC).

The Labor Force Transformation in Korea: 1960~1980 (한국에 있어서 각 산업부문간 노동력의 변천과정)

  • Kim, Hangon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9 no.2
    • /
    • pp.107-128
    • /
    • 1986
  • 본 연구의 목적은 노동력의 사회적 특성적인 면에 있어서 각기 다른 산업에 종사하는 노동력의 "누가" "어떻게" 변화해 가는가에 중점을 두면서 한국의 산업 각 부분간의 변천과정을 조사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는 1960, 1970, 1980년에 실시된 한국 센서스 자료가 주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1960년과 1980년 사이의 한국의 산업 구조적인 면에 있어서의 급속한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한 변화들은 주로 경제발전 정책과 더불어 농촌지역에서 도시지역으로의 인구이동에 기인된다고 하겠다. 예를 들면 1960년에 65%의 노동력이 1차 산업에 종사한 반면에 1980년에는 38.5%로 감소했고 이와는 대조적으로 1960년에 오직 8.7%의 노동력이 2차산업에 종사하던 것이 1980년에는 27.6%로 증가하였다. 3차 산업 역시 1960년에 23.8%에서 1980년에 33.9%로 10%의 증가를 보였다. 경제.발전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실업자들이나 잠재 실업자들이 경제활동에 참여할 수 있었기 때문에 경제구조 자체가 예전에 비해 더 안정이 되고 생활수준도 향상이 되었다고 하겠다. 이러한 결과는 부분적으로는 계속된 5개년 경제개발 계획에 기인된다고 할 수 있다. 경제발전 과정에서의 대도시로의 인구집중, 특히나 2차 산업과 3차 산업이 집중되어 있는 서울로의 인구집중은 주택, 교통, 범죄등 많은 문제를 낳고 있다. 동시에 도시지역에의 과잉 노동력의 존재와 농촌지역에는 특히나 농번기에 노동력 부족현상을 야기시키고 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여성노동력의 비율, 전문직과 사무직 종사자, 그리고 서비스분야 종사자들의 비율이 증가하였는 데 비해 대부분의 다른 국가에서 처럼 한국에 있어서도 자영인의 비율은 경제발전 과정에서 감소하였다. 경제발전과 더불어 보다 전문화되고 조직화된 시장중심의 생산체제가 가구와 지역사회 중심의 생산기능을 흡수하므로서 많은 노동력이 임금 노동자가 되었다. 특히나 단순노동을 통한 많은 젊은 여성들을 고용하는 제조산업 분야에서 여성들이 낮은 임금과 과로 그리고 나쁜 작업환경으로 인하여 그들의 건강을 해치고 직업병을 유발할 가능성이 많다고 하겠다. 지난 20년에 걸친 급속한 정부 주도형의 경제발전은 노동력의 제 산업 간의 급속한 변천과 더불어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모두 낳았다고 할 수 있겠다.측면을 모두 낳았다고 할 수 있겠다.

  • PDF

남북한 인구의 장기전망과 인구학적 비교 분석

  • 이시백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8 no.2
    • /
    • pp.11-29
    • /
    • 1985
  • This study describes the effects of demographic transition on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Korea. The basic framework of this study is a path model.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population growth,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n the environmental deterioration. In doing this, this study illustrates the changing patterns of population growth,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is study also shows the changing patterns of environmental conditions, focusing on air pollution, water pollution and wastes. Finally, this study deals with the consequences of the environmental deterioration, especially focusing on the changing quality of life in Korea.

  • PDF

The Regional Human Ecosystem and Cultural Adaptation in Rural Korea (한국 농촌의 지역인간생태계와 문화적 적응)

  • 류제현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3 no.spc
    • /
    • pp.697-707
    • /
    • 1998
  •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의 역사적 변천을 인구변화와 자원관리의 측면에서 분석하는 기존 관점은 인구기초이론, 기술기초이론, 시장기초이론 등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관점은 어느 한가지 변수를 독립 변수로 가정하는 입장을 취하므로 흔히 '단일요소이론'이라고 불리며, 제각기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현실 세계의 복합성을 단지 부분적으로 설명하는데 그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현실세계의 모든 사건은 개방된 체계 속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모든 사건은 단선적인 인과관계로 파악될 수 없을 만큼 서로 복합하게 얽혀 있다. 이에 대하여 문화생태이론은 단일요소이론의 그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현실세계의 복합성을 분석할 수 있는 개념과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문화생태이론은 실로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가 역사적으로 변천해 온 과정을 탐구하는데 적합한 개념과 방법을 장점으로 내세우는 새로운 관점이라 할 수 있다. 문화생태이온은 인구, 기술, 시장, 제도 등 요소의 중요성이 시간과 장소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가정 하에서 어떠한 요소라도 어느 한 장소와 시점에서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의 변화를 주도할 수 있다고 기대한다. 한국 농촌의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를 탐구함에 있어서 활성되어야 할 문화생태이론의 기초적인 개념은 '지역인간생태계'와 '문화적 적응'이다. 한국 농촌의 지역인간생태계는 그 특성상 인구, 농업, 시장, 제도로 구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문화적 적응이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사회구성원들의 환경에 대한 적응도를 높일 수 있는 행동양식을 새로이 선택하는 행위를 일컫는다. 한국 농촌에서는 적응전략이란 농업의 집약화와 상업화 또는 산아제한과 인구이동이라는 측면에서 분석될 수 있을 것이다. 생존, 기술, 취락형태, 토지이용, 무역이나 교역 등은 적응전략을 분석하는데 간접적인 자료를 제공해 줄 것이다.

  • PDF

IMF 외환위기와 사회경제적 차별출산력의 변화

  • Kim, Du-Seop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0 no.1
    • /
    • pp.67-95
    • /
    • 2007
  •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IMF 외환위기를 계기로 사회경제적 차별출산력의 양상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2003년 전국출산력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20-49세 기혼 여자의 총출생아수와 1998년 이후의 출생아수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분석대상을 1997년 이전에 결혼하였거나 재혼한 부인들과 1997년 이후 처음 결혼한 부인들의 두 집단으로 구분하여 출산력 수준과 출산행태를 비교함으로써 IMF 외환우기 이전과 이후의 변화양상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총출생아수에 대한 분석 결과. 부부의 사회경제적인 조건과 출산수준은 대체로 뒤집어진 J 자형의 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수록 출산수준이 낮아지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사회경제적 지위가 가장 높은 집단은 바로 밑의 집단 보다 출산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그런데, 최근의 출산수준은 이러한 사회경제적 차별출산력과는 뚜렷하게 대조적인 양상을 나타냈다. IMF 외환위기 이후 출산수준 감소의 폭은 기존의 출산수준과 정비례하는 방식으로 미루어졌다. 출산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급속한 출산력 저하가 이루어졌으며 출산수준이 낮은 집단에서는 상대적으로 변화가 완만하였다. 그 결과, 최근의 출산수준은 중상층에 해당하는 사회경제적 지위를 지닌 집단이 가장 높고, 다음이 최상위 집단, 그리고 하위 집단의 순으로 바뀌었다. 이러한 경향은 부부의 교육수준, 직업, 종사상 지위, 주관적 계층에 따른 최근 출산력의 변화양상에서 일관적으로 나타났다.

The Welfare Systems in Sweden and Korea with a Focus on the Demographic Transition (인구변천 과정에서 본 한국과 스웨덴의 복지 상태 비교)

  • 김성이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18 no.2
    • /
    • pp.51-69
    • /
    • 1995
  • The Swedish welfare state has been the model for others to emulate the archetypical example of state intervention. The state interventions are presented in the form of legal acts. These social welfare acts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transition theory. According to the Bogue's theory, the demographic transition in Sweden took place in four stages : the pre-transitional stage before 1810; the early transitional stage from 1810 to 1860; the mid-transitional stage from 1860 to 1930; the late transitional stage from 1930 to now. As we look into the social welfare acts in Sweden, the relief of the poor was the major concern of the early transitional stage, the care of workers was the major concerns of the mid-transitional stage and the care of the families was the major concerns in the late transitional stage. The Korea's transition period can be devided as follows; the pre-transitional stage before 1960; the early transitional stage from 1960 to 1969; the mid-transitional stage from 1970 to 1987; and the late transitional stage from 1987 to now. In Korea, the major concern of the early transitional stage was the care of the officials and the workers; in the mid-transitional stage the care of the aged and the handicapped were the major concerns. And in the late transitional stage the expanding of the welfare clients was the major concern. If we compare the results of both countries, the relief of the poor, the care of the workers and the care of the families will be the major concerns in Korea, because the social welfare acts in Korea are extended to specific groups and not to the whole population. The acts related to these social issues have been arranged in 120 years in Sweden. But Korea had to do the same work in 27 years. So the burden of making those social acts will be four times heavier. If we want to extend the benefits of the social system to the general population, we need to look at the design and approach of the swedish model. The reason why swedish social acts constitute an international model has more to do with the uniqueness of its design and approach. First of all, it is characteristic by its universalism, secondly by its emphasis on social services and thirdly by its productivitism. Also the swedish welfare state supported by a high-tax system called the earnings-related welfare system. In order to achieve an effective welfare state, we Korean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relief of the poor, the care of the worker and the families. We should also focus on a good system design and prepare appropriate budgets.

  • PDF

저출산에 관한 이론적 접근

  • Jeong, Seong-Ho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2 no.2
    • /
    • pp.161-183
    • /
    • 2009
  • 지난 30년 동안 출산율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감소했다. 그리고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은 대체수준 이하의 출산력 수준에 이르고 있다. 합계출산율이 1.5 혹은 그 이하의 출산력 수준을 보이는 국가의 수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저출산의 확산과 함께 합계출산율 1.3 이하를 의미하는 초저출산 현상도 크게 주목받고 있다. 앞으로 저출산이 멈출 것인지, 출산율이 회복될 것인지 혹은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무도 쉽게 답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산업국가들이 보여주고 있는 저출산 기조는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이 글은 저출산 및 초저출산 현상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검토하고, 이러한 논의가 한국 사회의 인구학적 변화에 어떤 함의를 지니고 있는가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저출산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이론적 틀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들은 제2차 인구변천이론, 합리적 선택이론, 위험이론, 양성평등 이론, 선호이론, 젠더와 시장이론 등을 포함한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저출산 현상을 설명하는 연구들의 특성과 시사점 등을 검토하고자 한다.

발생이 늘고있는 과수병해의 특징과 방제대책 - (2) 배나무

  • 이두형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13 no.3 s.108
    • /
    • pp.35-41
    • /
    • 1992
  • 최근 과수산업은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보다 품질이 좋은 품종의 재배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정지전정(整枝剪定), 시비, 약제방제 등 재배관리법도 그 품종에 맞도록 바뀌고 있다. 또 산업화에 따라 농촌인구의 감소, 겸업농가의 증가등 사회요인의 영향도 있어 재배관리 작업의 생력화가 강조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재배환경의 변천에 따라 배나무의 병해 발생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 PDF

On Regional Fertility Differentials;Understanding the Causal Mechanisms of Low Fertility in Korea (양성평등 관념과 노동시장 불안정성이 출산력에 미치는 영향;지역별 차별출산력의 분석)

  • Yoo, Sam-Hyun
    • Proceedings of the Population Association of Korea Conference
    • /
    • 2006.12a
    • /
    • pp.131-152
    • /
    • 2006
  • This study examines the causal mechanisms of low fertility and regional differentials in Korea. Utilizing the 2005 census and the 2005 vital statistics, and labor statistics at the regional level, major variables were calculated for administrative units of 234 'Gu's, 'Si's and 'Gun's. Gender equity orientation, labor market insecurity and family formation were hypothesized as key factors of recent decline in Korean fertility. This study first presents four maps of gender equity orientation, labor market insecurity, family formation and fertility. Then ANOVA and path analysis were carried out in an effort to generalize the causal mechanisms. Results of analysis reveal that gender equity orientation has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second fertility transition in Korea. In metropolitan regions, however, labor market insecurity i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evel of family formation and fertility. Family formation also turns out to be an important intermediate variable of fertil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