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외환위기와 사회경제적 차별출산력의 변화

  • Published : 2007.04.25

Abstract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IMF 외환위기를 계기로 사회경제적 차별출산력의 양상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2003년 전국출산력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20-49세 기혼 여자의 총출생아수와 1998년 이후의 출생아수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분석대상을 1997년 이전에 결혼하였거나 재혼한 부인들과 1997년 이후 처음 결혼한 부인들의 두 집단으로 구분하여 출산력 수준과 출산행태를 비교함으로써 IMF 외환우기 이전과 이후의 변화양상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총출생아수에 대한 분석 결과. 부부의 사회경제적인 조건과 출산수준은 대체로 뒤집어진 J 자형의 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수록 출산수준이 낮아지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사회경제적 지위가 가장 높은 집단은 바로 밑의 집단 보다 출산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그런데, 최근의 출산수준은 이러한 사회경제적 차별출산력과는 뚜렷하게 대조적인 양상을 나타냈다. IMF 외환위기 이후 출산수준 감소의 폭은 기존의 출산수준과 정비례하는 방식으로 미루어졌다. 출산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급속한 출산력 저하가 이루어졌으며 출산수준이 낮은 집단에서는 상대적으로 변화가 완만하였다. 그 결과, 최근의 출산수준은 중상층에 해당하는 사회경제적 지위를 지닌 집단이 가장 높고, 다음이 최상위 집단, 그리고 하위 집단의 순으로 바뀌었다. 이러한 경향은 부부의 교육수준, 직업, 종사상 지위, 주관적 계층에 따른 최근 출산력의 변화양상에서 일관적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태환.김두섭 (2002) <인구의 이해> 개정판, 서울대학교 출판부
  2. 김두섭 (1986) '한국부인의 경제활동과 출산력' 인곡 황성모박사 회갑기념집 <사회구조와 사회사상> 심설당, 759-776
  3. 김두섭 (2005) '한국의 제2차 출산력변천과 그 인과구조' <인구와 사회> 1(1): 23-53
  4. 김두섭.송유진 (2006) 아산사회복지재단 보고서, 한양대학교 인구 및 고령사회연구소
  5. 김태헌.이삼식.김동희 (2006) '인구 및 사회경제적 차별출산력 - 인구센서스 자료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29(1): 1-23
  6. 동아일보 (2006) ''성격보다 직업' 배우자 선택기준 10년 동안 이렇게 변했다' Dong.com 뉴스, 2006. 8. 5
  7. 보건복지부 (2006) <제1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안>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8. 유삼현 (2006) '지역별 차별출산력의 분석: 저출산 인과구조의 이해' <인구와 사회> 2(2): 53-76
  9. 이성용 (2006) '경제위기와 저출산' <한국인구학> 29(3): 111-137
  10. 통계청 (2006a) 한국통계정보시스템(KOSIS), http://kosis.nso.go.kr/
  11. 통계청 (2006b) <2005년 출생.사망통계 결과> 인구동향과 보도자료 통계청
  12. 통계청 (2006c) <2005년 혼인.이혼통계 결과> 인구동향과 보도자료 통계청
  13.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3) <2003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실태 조사보고> 및 원자료 CD,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4. 한국은행 (2006) 경제통계시스템(ECOS), http://ecos.bok.or.kr/ 한국은행
  15. Blake, J. (1968) 'Are Babies Consumer Durables? A Critique of the Economic Theory of Reproductive Motivation' Population Studies 22(1): 5-25 https://doi.org/10.2307/2173350
  16. Eun, Ki-Soo (2003) 'Understanding Recent Fertility Decline in Korea' Journal of Population and Social Security, Supplement to Volume 1, National Institute of Population and Social Security Research,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Japan, http://www.ipss.go.jp /index-e.html
  17. Gauthier, A. and J. Hatzius (1997) 'Family Benefits and Fertility: An Econometric Analysis' Population Studies 51(3): 295-306 https://doi.org/10.1080/0032472031000150066
  18. Heran, F. (2005) 'Demography and Population Policy: Is It Possible to Draw Any Lesson from the French Case?' Presented at the KIPP (Korea Institute of Population Problems) Demographic Forum April 8, 2005 Seoul, Korea
  19. IMF (2006)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http://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 Jun, Kwang-Hee (2004) 'Chapter 3: Fertility' pp. 65-89 in The Population of Korea, edited by Doo-Sub Kim and Cheong-Seok Kim, Daejeon, Korea: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1. Kim, Doo-Sub (1986) 'Working Experience of Married Woman and Fertility in Korea' Bulletin of the Population and Development Studies Center 15: 19-30 Seoul National University
  22. Kim, Doo-Sub (2005) 'Theoretical Explanations of Rapid Fertility Decline in Korea' The Japanese Journal of Population 3(1): 2-25 Tokyo: National Institute of Population and Social Security Research
  23. OECD (2004) OECD Statistics: Labor Force Pari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http://www.oecd.org
  24. Population Reference Bureau (2006) 2005 World Population Data Sheet Washington, D.C.: Population Reference Burea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