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미지관리행동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4초

여대생의 퍼스널 이미지 만족도와 구직효능감과의 관계에서 외모관리행동의 매개효과 (Mediation Effect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of Personal Image and Job Search Efficacy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 김미경
    • 패션비즈니스
    • /
    • 제22권4호
    • /
    • pp.160-177
    • /
    • 201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diation effect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of personal image and job search efficacy.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components of personal imag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job search efficacy, questionnaire items were developed. For this study,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among 422 students from women's university in Seoul.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23.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and moderate bivariate correlations among satisfaction of personal imag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job search efficacy. Second, satisfaction of personal image was found to have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on job search efficacy while satisfaction of internal image, visual image, and social image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earch skill. Satisfaction of internal image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earch strength. However, satisfaction of visual image or social imag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earch strength. Third, fashion management behavior among component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could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of personal image and job search efficacy, indicating that satisfaction of internal image and visual image among components personal image not only has a direct effect on job search skill among job search efficacy, but also has an indirect effect on job search skill by affecting fashion management behavi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build personal image effectively and increase satisfaction with oneself through activ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o improve job search efficacy.

사회적 외모 불안과 부정적 신체 이미지 및 외모 중시도가 외모관리행동 및 미용성형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al Appearance Anxiety, Negative Body Image and Appearance Importance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Cosmetic Surgery Intention)

  • 김준희;정명선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625-636
    • /
    • 201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appearance anxiety, negative body image, appearance importance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cosmetic surgery intention. For data collection, a questionnaire was administrated to 428 female college students in Gwangju City, Korea.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o analysis the data, the SPSS 20.0 was used, and frequence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F-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ocial appearance anxiety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cosmetic surgery intention. Second, negative body image had positive effect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cosmetic surgery intention. Third, appearance importance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cosmetic surgery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bove suggest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seek for measures to reduce individual's appearance anxiety, negative body image, and appearance importance. Especially, People should get the realization of the beautiful on the inside that includes personality is more important than having external beauty.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requirements of the social effort and education through a school and a media as well as a family for reducing the individual's appearance anxiety, negative body image, and the serious consideration of the appearance as rejecting the discrimination based on appearance.

여대생의 자기이미지와 미디어관여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male college students' self-image and media involvement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 김지양;임은혁;전호경
    • 패션비즈니스
    • /
    • 제17권2호
    • /
    • pp.164-17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effects of female college students' self-image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investigate the differences caused by TV involvement and entertainer imitation on the appearance managing behavior. Respondents of the survey were 424 college female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or statistical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using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image among college females were composed of 5 factors, which were active image, feminine image, intelligent image, gentle image and modern image. Second, college females' self-image influenced on skin management behavior, hair management behavior, make-up behavior, clothing behavior and weight management behavior significantly. Specifically, as respondents' active image and modern image are getting higher, they tend to perform skin management behavior, hair management behavior and clothing behavior. As female students' intellectual image and modern image were getting higher, more positive effects were found on make-up behavior. As female students' gentle image and active image were getting higher, there was more positive effects on weight management behavior. But, female students' self-image didn't show significant effects on cosmetic surgery behavior. Third, when subjects' TV involvement was high, self-image made greater effect on skin management behavior and cosmetic surgery behavior than those with low TV involvement. Forth, when entertainer imitation was high, self-image made greater effects on skin management behavior, hair management behavior, clothing behavior, make-up behavior, weight management behavior, cosmetic surgery behavior than those with low entertainer management.

레스토랑 내부 서비스환경과 소비자반응 (In-Store's Servicescapes and Consumer's Responses in Restaurant)

  • 최철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452-469
    • /
    • 2017
  • 본 연구는 레스토랑 서비스 환경에서 점포내부에서 제시되는 서비스 환경요인이 인지반응으로서 지각된 서비스품질 및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또한 이들 인지반응요소와 감정반응으로서 감정적 만족 관계, 그리고 감정적 만족과 행동반응으로서 재 구매의도 관계를 확인하여 레스토랑 내부의 서비스 환경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반응, 감정반응 및 행동반응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PSS 21.0 및 AMOS 20.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으로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변 환경, 인테리어환경 및 청각환경은 지각된 서비스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준 반면 인테리어환경은 지각된 서비스품질에 영향이 없었다. 둘째, 주변 환경 및 레이아웃환경은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준 반면 인테리어환경 및 청각환경은 이미지에 영향이 없었다. 셋째, 지각된 서비스품질은 감정적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준 반면 이미지 및 재 구매의도에는 영향이 없었다. 마지막으로, 이미지는 감정적 만족 및 재 구매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레스토랑의 마케팅관리자는 소비자에게 주변 환경, 레이아웃환경 및 청각환경을 개선하여 지각된 서비스품질 수준을 높이고, 또한 주변 환경 및 레이아웃환경을 개선하여 기업의 이미지를 높임으로써 소비자에게 감정적 만족을 유도하고 재방문을 높일 수 있는 서비스 마케팅전략을 계획하고 실행해야 할 것이다.

아웃페인팅 기반 반려동물 자세 추정에 관한 예비 연구 (A Pilot Study on Outpainting-powered Pet Pose Estimation)

  • 이규빈;이영찬;유원상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69-75
    • /
    • 2023
  • 최근 동물 행동 분석 및 건강관리 분야를 중심으로 딥러닝 기반 동물 자세 추정 기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 동물 자세 추정 기법은 영상에서 신체 부위가 가려지거나 존재하지 않을 경우 좋은 성능을 보이지 않는다. 특히 꼬리나 귀가 가려진 경우, 반려견의 행동 및 감정 분석의 성능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다루기 힘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미지 아웃페인팅 네트워크를 자세 추정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이미지 외부에 존재하는 반려견의 신체를 복원한 확장된 이미지를 생성하여 반려견의 자세를 추정하는 단순하면서도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안하였고, 제안된 방법의 실현가능성을 검토하는 예비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미지 아웃페인팅 모델로는 CE-GAN과 트랜스포머 기반의 BAT-Fill을 사용하였고, 자세 추정 모델로는 SimpleBaseline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크롭된 입력 이미지에서 반려견의 자세를 추정하였을 때보다, BAT-Fill을 사용하여 아웃페인팅된 확장 이미지에서 반려견의 자세를 추정하였을 때 자세 추정의 성능이 향상되었다.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연구 - 20대 여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Appearance-management Behavior - Focused on Females in Their Twenties -)

  • 김선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99-10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appearance-management behavior. The method of the study was survey research by using questionnaires. Subjects were 323 females in their twenties.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were frequency, percentage,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X²-test,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s for appearance-management behaviors of females in their twenties, they experienced in diet, plastic surgery, skin care, make up, and hair dye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satisfaction between groups according to body image distortion. Respondents were barely satisfied with their body, and the group with high body image distortion showed low body satisfaction.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factors was analyzed into 2 factors, iternalization of mass-media and social recognition toward appearance, which respondents considered importantly.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e group with positive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was analyzed to show high appearance concern and many experience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사회적 자아와 신체이미지가 외모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남 녀 대학생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ocial Self and Body Image on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Focused o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 임경복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67-7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self and body image on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e data were collected via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419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Jecheon and analyzed by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t-test, regression and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Body image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emotional, cognitive, behavioral body image and interest in weight. 2. There existed correlation between social self and body image. According to gender, there exis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self, body imag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3. College students classified into two groups- high and low social self group according to the degree of social self. Two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imag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4. In male and female groups, social self and body image influenced to the variou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gender. The most important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which was affected by social self and body image was diet.

라이프케어를 위한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육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 (A Study on the Educational Necessity and Activation Plan of Image Making Program for Life Care)

  • 윤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429-437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전문대학의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에 관련된 교과과정의 필요성과 교육내용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하여 취업을 앞둔 대학생들의 면접지도와 예비 직장인에게 있어서 대인 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대학 교과과정의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육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고, 이미지메이킹 교과목을 수강한 광주·전남지역 전문대학교 재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졸업 후 취업과 예비 직장인의 이미지 관리를 위해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과과정이 필요하고, 이미지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을 위한 적합한 강의실은 일반 강의실, 시청각 및 멀티미디어실, 전용 강의실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육내용의 중요도는 태도(행동), 예절 및 인사법, 표정, 화법, 대인 관계법, 의복, 헤어스타일, 메이크업 순으로 나타났고, 교육내용의 중요 요소는 표정, 메이크업, 헤어스타일, 태도(행동), 대인 관계법, 화법, 의복, 예절 및 인사법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육의 영향력 정도는 취업에 미치는 영향력,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력, 생활에 미치는 영향력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육 활성화 방안을 분석한 결과 적절한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육시점은 2학년부터이고, 교육시간은 한 학기 주 1회, 교과과정 구분은 교양이나 교양선택 과정을 희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관련 교과내용은 예절 및 인사법, 메이크업 및 코디 방법, 취업 설명회, 기능 자격 취득을 위한 교육, 국내 기업체 연수 순으로 나타나 예절 및 인사법을 가장 희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관련 지도자는 전공교수를 희망하고, 교육방법은 시청각 및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매체를 희망한다.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관련 교육은 화법이나 목소리, 커뮤니케이션에 관해 분석하는 교육, 어울리는 헤어스타일 및 메이크업을 분석하고 실습할 수 있는 교육, 기업의 면접에 관한 교육, 워킹이나 자세교정에 관한 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본 연구는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과과정의 활용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호텔 브랜드이미지와 선택속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n purchasing intention of Hotel Brand-image and Choice-attribution)

  • 이지영;김태진
    • 한국관광식음료학회지:관광식음료경영연구
    • /
    • 제16권1호
    • /
    • pp.43-69
    • /
    • 2005
  • 브랜드는 자신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다른 경쟁사와 구별해서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칭을 의미하고, 브랜드 이미지는 소비자가 특정기업의 브랜드에 대해 가지고 있는 좋고 나쁜 느낌 또는 브랜드에 대한 신념 등으로 정의된다. 소비자는 제품을 구입할 때 제품이 주는 브랜드의 가치에 따라 제품을 선택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기업의 브랜드가 가져다주는 자산 가치는 기업의 성공을 가늠할 수 있는 정도의 중요한 요소이다. 브랜드이미지는 소비자들에게 기업과 상품을 판매하는데 영향을 주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특히 호텔산업은 고객에게 인기와 신뢰를 획득하여 장기간에 걸쳐 많은 고객을 창출해야 하고 유지해야 하므로, 기능적 가치를 초월하여 의미적 가치가 중요시되는 산업이다. 이미지를 마케팅 환경 관리 면에서 중요시하는 것은 가격과 제품수준의 표준화로 인하여 제품 자체만으로는 차별화가 쉽지 않기 때문에 기업이미지는 사회가 고도 산업사회가 될수록 더욱 중요한 마케팅 요소로서 작용하며,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있어 기업에 대한 이미지 요소를 중시하는 경향이 많아지고 있다. 기업 브랜드이미지의 인식이나 차별화에 성공할 경우 소비자는 다른 기업의 광고나 홍보보다 더 오래 기억하게 되고 아울러 신뢰도도 높아지게 된다. 오늘날 대부분의 호텔들은 그들의 기업 브랜드이미지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그에 따른 깊이 있는 연구와 체계적인 대응 전략을 제대로 시행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호텔 브랜드 차별화의 한 전략으로 호텔 브랜드 이미지와 선택속성이 고객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실증조사의 조사기간은 2004년 4월 23일부터 5월 20일까지 실시하였고, 조사지역 및 조사대상은 대구지역에 위치한 호텔을 이용하는 일반소비자로서 미리 작성된 설문지를 가지고 조사하였다. 결론적으로 호텔 브랜드이미지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호텔 직원들의 서비스 및 호텔의 명성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호텔 이용객들이 호텔 선택 시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 PDF

(주)세정의 인디안 B.I.System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dian Brand Identity System Design)

  • 김택훈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
    • /
    • pp.1-10
    • /
    • 1997
  • 90년대 들어서 국내 패션시장은 소비자들의 생활수준향상,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와 함께 해외 라이센스 브랜드 도입의 증가와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들의 신규참여 또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급변하는 시장환경 속에서 오랜 전통과 기술력을 가지고 있는 선발 패션업체로서 주식회사 세정의 인디안 브랜드는 90년대 현 상황에서 타 브랜드들과의 경쟁에서 상대적 우위를 선점 하고 미래의 소비자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이미지 정립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주)세정의 인디안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하여 경영환경의 입체적 마아케팅 조사를 실시, B.I. 컨셉을 설정한 후 시각적 이미지 표현작업에 착수하였다. 그 후 설문조사를 통해 Logo mark를 결정한 후 인디안 B.I의 주요 디자인 항목인 기본 요소와 응용요소를 전개, 전체 디자인 시스템을 완성하였다. 그리고 브랜드 이미지 통일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보완되어져야 할 요소로는 디자인 조형상의 원칙준수와 철저한 관리, 브랜드 관련 전체 구성원들의 사고와 행동의 일치, B.I의식 실천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의 실시 등이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