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로운 식품

Search Result 2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당뇨와 건강음식 - 영양만점, 성인병 예방에는 굿! '메밀'

  • 사단법인한국당뇨협회
    • The Monthly Diabetes
    • /
    • s.238
    • /
    • pp.34-35
    • /
    • 2009
  • 무더웠던 여름 내 잃었던 입맛을 돋우게 해줄 음식이 그리워진다면 메밀은 그야말로 안성맞춤인 식품이다. 여름철이 되면 시원한 메밀국수로 속을 달래고 기나긴 겨울밤 메밀묵을 야참으로 즐겨 먹었던 만큼 예부터 메밀은 우리에게 친근한 음식이다. 우리민족에게 가까운 음식인 메밀은 중국과 일본, 폴란드에서는 기능성 식품으로 인지되고 있을 만큼 건강음식으로 각광받고 있다. 알고 먹으며 건강에 더 이로운 음식, 메밀! 도대체 우리 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 영양만점 메밀에 대해 살펴보자.

  • PDF

Effects of fermented coffee on human gut microbiota (발효커피가 사람장내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 Ko, Gwangpyo;Kim, Jin-Kyeong;Jo, Seong-Wha;Jeong, Do-Youn;Unno, Tatsuya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63 no.1
    • /
    • pp.83-87
    • /
    • 2020
  • Fermented foods have been recognized as functional foods that provide health benefits, including the modulation of intestinal microbiota. Therefor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ffee beans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and Bacillus amyloliquefaciens on healthy human gut microbiota. Fermentation increased the content of beneficial substances (i.e., flavonoids and polyphenols). The consumption of fermented coffee increased the occurrence of beneficial microorganisms such as fiber degraders and short-chain fatty acid producers, although no significant microbiota shifts were observed after the coffee consumption. The analysis of metabolic activities also showed no difference after the coffee consumption. Our study demonstrates that the consumption of the fermented coffee may increase some beneficial bacterial while remaining the gut microbiota and its activities.

변형펩타이드(Peptide Mimetics) 연구동향

  • Choe, Jin-Ho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15 no.2
    • /
    • pp.3-24
    • /
    • 2002
  • 펩타이드와 단백질은 전사, 번역, 후번역 단계에 걸친 모든 생물학적 반응을 조절한다. 그러나 분자수준에서 구조와 기능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초보적인 수준이다. 구조와 기능의 연관성에 대한 문제는 펩타이드와 단백질 자체에 대한 것과는 좀 다르다는 것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Multidomain을 갖는 단백질은 작고 통합적이며, 구조적으로 제한된 부분으로 쪼개는 것은 천연 단백질의 활성을 모방하여 저분자의 nonpeptide를 설계하는데 있어서 주요한 일이다.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domain을 모방하는 것은 특이성과 치료 효과에 있어서 자연적으로 얻어지는 단백질 물질과 비교하여 이로운 특성을 갖을 수 있고 분자 인지 분야에 관한 연구에 유용한 단서를 제공한다(Chen etal., 1992). 한편 펩타이드는 환경에 의해 구조가 심하게 영향을 받아 특성이 쉽게 변한다(Marshall et al., 1978). 수용액 내에서 이러한 구조적 유동성 때문에 그들이 결합할 수용체나 생리활성을 띄는 구조를 결정하는 것은 어렵고 복잡한 일이다(Fauchre,1987; Hruby, 1987). 구조를 한정하면 이러한 결정을 매우 쉽게 할 수 있다(Hrubyet al., 1987). 단백질 모방학은 분자지각 연구에 강력한 수단이며, 복잡한 단백질과 펩타이드의 구조-기능관계를 탐구하고 분석하는데 독특한 방법이다. 이 장에서는 매우넓고 빠르게 확장되고 있는 Peptidomimetic연구를 간략히 소개하고 있다. 단 본문은 기술 범위를 N-Methylated 아미노산과 스테로이드 등으로 제한하여 소개한다.

  • PDF

Recent advances on next-generation probiotics linked to the gut microbiome (장내 마이크로바이옴과 차세대 프로바이오틱스 연구 현황)

  • Choi, Hak-Jong
    • Food Science and Industry
    • /
    • v.52 no.3
    • /
    • pp.261-271
    • /
    • 2019
  • Gut microbiome have recently provided evidence that the gut microbiota are capable of greatly influencing all aspects of physiology and immunology. Although a number of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probiotics can modulate gut microbiota structure, the mechanism underlying this effect remains to be elucidated. In a disease state, the relative abundances of beneficial gut bacteria are generally reduced, which is restored by constant probiotic supplementation. Oral administration of probiotics improved the disease state by (1) inducing differentiation and function of regulatory T cells, (2) reducing inflammatory response, (3) modulating the gut environment, and (4) increasing the proportions of short-chain fatty acid- or beneficial metabolite-producing gut microbiota including the genera Bifidobacterium, Faecalibacterium, Akkermansia, etc. In this review, current knowledge on how probiotics can influence host's health by altering gut microbiota structure and on how probiotics and beneficial gut bacteria can be applied as next-generation probiotics will be discussed.

체질별(體質別) 식품표(食品表)에 근거한 태음인(太陰人), 소음인(少陰人), 소양인(少陽人) 당뇨식단(1800kcal)의 초보(初步)적 제시

  • Kim, Ji-Yeong;Go, Byeong-Hui
    •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 /
    • v.8 no.1
    • /
    • pp.395-411
    • /
    • 1996
  • 1. 연구배경 사상체질의학(四象體質醫學)을 창시하여 개인(個人)의 차별성(差別性)을 강조한 동무(東武) 이제마(李濟馬)는 양생(養生)의 방법(方法)에서도 체질별(體質別) 요법(療法)을 말하고 있는데 체질별(體質別)로 과소지장(過小之臟)의 기능(機能)이 정상적(正常的)으로 이루어지는 상황을 완실무병(完實無病)의 조건으로 제시(提示)하였고 이를 위한 수단(手段)으로 성정(性情)과 함께 약물(藥物), 식품(食品) 등을 이용하였다. 특히 식이요법(食餌療法)에 있어서도 체질(體質)에 따른 구별(區別)의 필요성(必要性)을 말하고 있는데 식품(食品)이라 하더라도 그 음식(飮食)을 섭취하여 과대(過大)한 장기(臟器)의 기능(機能)은 유제(柳制)하고 과소(過小)한 기능(機能)은 보완(補完)받음으로써 불균형(不均衡)을 조정(調整)한 것이다. 당뇨병의 식단 작성은 평생동안 열량(熱量)과 영양소(營養素) 필요치(必要置)을 맞출 것을 권장하고 당뇨병학회에서 편집한 식품교환표(食品交換表)를 사용(使用)하는 것이 일반적(一般的)인데 식품교환표(食品交換表)는 많은 식품(食品)들중에 같은 영양소를 가진 식품(食品)들을 한 그룹으로 묶어 환자(患者)의 기호(嗜好)에 따라 교환(交煥)해 가면서 먹을 수 있도록 고안(考案)한 것이니 이에 지시한 수량(數量)만 섭취해도 저(低)cal식(食)으로 관양(管養)의 균형(均衡)이 잘 이루어진다. 본 연구는 체질별로 이로운 식품표에 근거하여 식이요법(食餌療法)이 특히 강조되고 하루 섭취열량이 제한되는 성인병중의 하나인 당뇨병(糖尿病)의 식단(1800kcal)을 식단작성법에 따라 구성(構成)하여 몇가지 예를 제시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태음인(太陰人), 소음인(少陰人), 소양인(少陽人)의 당뇨 환자 1800kcal에 대한 식단을 구성하여 제시했는데 즉, 태음인(太陰人)의 식단은 태음인(太陰人)에 유리(有利)한 식품(食品)들로 구성하고 해(害)로운 식품(食品)들은 제외시키는 방법(方法)을 이용하였다. 이 식단은 다분히 이론적(理論的)인 식단으로 임상(臨床)에 이용(利用)하여 본 바는 없으나 동량(同量)의 열량(熱量)을 섭취(攝取)하더라도 체질(體質)에 적합(適合)한 식품(食品)으로 구성된 식사(食事)가 각 체질의 섭생(攝生)에 더 유리(有利)하지 않올까 하는 단순(單純)한 사고(思考)에 바탕을 둔 것이다. 2. 연구방법 1) 후세가(後世家)가 주장(主張)한 체질별(體質別) 식품(食品) 분류(分類)를 종합, 정리한 체질별(體質別) 식품표(食品表)를 제시한다. 박석언의 동의사상대전, 박인상의 동의사상요결, 송일병의 알기 쉬운 사상의학, 홍순용의 사상진료보원, 홍순용, 이을호의 사상의학원론에서 체질별로 유익한 식풍을 조사하여 곡류, 과일류, 채소류, 어패류, 육류로 분류하여 살펴본다. 2) 당뇨병(糖尿病) 식이요법의 식단 작성법의 개요(槪要)를 제시한다. 3) 1)의 체질별(體質別) 식품표(食品表)로 태음인(太陰人), 소음인(少陰人), 소양인(少陽人)의 당뇨 식단 1800kcal을 작성해 제시(提示)한다. 체질별(體質別)로 유익(有益)한 식품(食品)은 1)의 식품표에 근거(根據)하고 체질별(體質別)로 해(害)로운 식품(食品)은 노정우(盧正祐), 한동석(韓東錫)의 주장에 근거(根據)한다. 3. 결과 체질별(體質別) 식품표(食品表)는 후세가의 연구를 종합하여 제시(提示)하였고, 식품(食品)을 분류(分類)한 후(後) 약명(藥名)과 성미(性味), 귀경(歸經)을 찾아 도표화 하였다. 체질별 식품들은 대부분 소음인(少陰人)의 경우 신감(辛甘) 온열(溫熱)하며 비위(脾胃)로 귀경(歸經)하고 태음인(太陰人)의 경우 감신(甘辛) 온열(溫熱)하며 폐간(肺肝)으로 귀경(歸經)하고 소양인(少陽人)의 산고(酸苦) 양한(凉寒)하고 신(腎)으로 귀경(歸經)함이 우세(優勢)함을 알 수 있다. 즉, 체질적으로 양성(陽性)인 소양인(少陽人)은 식품의 성질이 음성(陰性)인 것이 유리(有利)하고 체질적으로 음성(陰性)인 태음인(太陰人), 소음인(少陰人)은 식품의 성질이 양성(陽性)인 것이 유리(有利)하다. 다양한 식품(食品)을 섭취하고자 하는 환자의 욕구(慾求)에 맞추면서도 식품교환의 범위를 체질별로 유익한 식품들로 제한하여 동일(同一)한 열량(熱量)의 식단이라도 체질에 맞는 식품으로 차별성(差別性)을 두었는데 식단의 작성은 전문 영양사의 의견을 거쳤다. 제시된 식단은 다소 이론적(理論的)으로 작성(作成)된 단계이고 임상적(臨床的) 검증을 거친 바 없으나 활용하기에 따라 실용성을 얻을 수 있으리라 본다. <식단예> 태음인의 식단: 곡류 : 콩, 율무, 밀가루, 밀, 수수, 들깨, 고구마, 땅콩, 기장, 옥수수, 두부, 설탕등 태음인에 유리한 식품으로 교환한다 어때류 : 우렁이, 대구, 조기, 민어, 청어, 오정어, 낙지, 미역, 김, 다시마등으로 교환한다 육류 : 소고기, 우유등으로 교환한다 과일류 : 밤, 배, 호도, 은행, 잣, 살구, 매실, 자두등으로 교환한다 채소류 : 무우, 도라지, 연근, 토란, 마, 고사리, 더덕, 목이버섯, 송이버섯, 석이버섯등으로 교환한다 해로운 음식 : 닭, 돼지, 모밀, 배추, 사과, 염소고기, 조개, 계란, 곳감, 커피등은 피한다 * 아침 ; 콩나물죽, 대구포묶음, 우령이무침, 갓김치, 우유, 자두 점심 ; 기장밥, 콩나물두부찌게, 장어양념구이, 도라지나물, 열무김치, 배 저녁 ; 수수밥, 두부명란, 더덕양념구이, 깍두기 * 아침 ; 비빔국수, 토란국, 알타리김치, 두유, 살구주스 점심 ; 율무밥, 낙지전골, 김무생채, 느타리나물무침, 동치미, 귤 저녁 ; 콩밥, 감자북어국, 두부묶음, 열무김치 소음인의 식단: 곡류 : 찹쌀, 좁쌀, 차조, 감자등 소음인에 유익한 식품으로 교환한다 어패류 : 명태, 미꾸라지, 뱀장어, 뱀, 메기등 육류 : 닭, 개, 꿩, 염소, 양, 참새고기등 과일류 : 사과, 귤, 복숭아, 대추등 채소류 : 미나리, 파, 마늘, 후추, 시금치, 양배추, 생강, 고추, 당근, 양파, 감자, 쑥갓등 해로운 음식 : 메밀, 호도, 계란, 고구마, 녹두, 돼지고기, 밤, 배, 배추, 보리, 쇠고기, 수박, 오이, 참외, 팥등은 피한다. * 아침 ; 찰밥, 닭찜, 감자전, 쑥갓나물, 부추김치, 사과 점심 ; 감자밥, 메기매운탕, 명태조림, 미나리, 고들빼기김치, 사과주스 저녁 ; 좁쌀밥, 양배추감자국, 병어양념구이, 연근양념조림, 귤, 인삼차.

  • PDF

Effects of curcumin on human health - A reassessment (커큐민이 건강에 미치는 효과 - 재평가)

  • Kim, Dae-Ok;Lee, Chang Y.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53 no.5
    • /
    • pp.509-513
    • /
    • 2021
  • Curcumin is known to possess diverse beneficial physiological effects including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depressant, anti-microbial, and anti-neoplastic activities, as well as immune-modulating, metabolism-regulating, and neuroprotective effects. However, despite more than 13,000 research papers published during the last ten years regarding the health benefits of curcumin, curcumin has not been introduced in the market as a pharmaceutical agent in any country. Despite the abundance of positive findings, most investigations that tout its health benefits are based on in vitro and in vivo studies that fail to consider the protean chemical behaviors of curcumin, which is known to be a pan-assay interference compound and an invalid metabolic panacea. Therefore, human clinical trials, despite rigorous study design, have been unable to prove specific benefits. This article reviews the pleiotropic properties of curcumin so that they can be balanced against its beneficial effects and suggests potential research avenues to better understand its health benefits.

Trends in probiotics product (국내외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개발 현황)

  • Seong, Yeong-Je;Park, Myeong Soo
    • Food Science and Industry
    • /
    • v.52 no.3
    • /
    • pp.229-240
    • /
    • 2019
  • Ever since the definition "live microorganisms which when administered in adequate amounts confer a health benefit on the host"and guidelines of probiotics by 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and the WHO were announced, the research and product development using probiotics has been hugely successful. As a result, probiotics products become an important part of the functional food market. Recently, thanks to rapidly growing microbiome research, more diverse roles and health benefits of probiotics are being elucidated. Based on those results, pharmabiotics using probiotics are anticipated. In addition, in order to be internationally competitive and distributed, efforts should be made for certification such as GRAS/NDI notification through quality control that meets global standards. In this paper, we reviewed several aspects of probiotics concerning recently amended definition of probiotics, the regulation of probiotics, the strain specificity of efficacy, the association with microbiome research, and the market trends.

Vitamin D and Depression (비타민 D와 우울증)

  • Cho, Su Kyung;Koo, Sle;Park, K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3 no.10
    • /
    • pp.1467-1476
    • /
    • 2014
  •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insufficient or deficient vitamin D status may be linked to increased risk of depressive conditions or depress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view all available evidence on vitamin D, depression, and any association between them. Cross-sectional, case-control, and cohort studies have reported contradictory results. Some have reported that low levels of vitamin D may be associated with higher risk of depression or depressive symptoms while others reported that vitamin D status may not be related to depression. Recent clinical trials examining the effects of vitamin D supplementation on depression have also showed discrepant results. However, meta-analysis study results are consistent regarding the beneficial effects of vitamin D. Several mechanisms that account for these beneficial effects of vitamin D on depression have been reported but remain largely speculative. Vitamin D deficiency is very common, and prevalence of depression is increasing in the Asian population, especially females. However, limited literature is available on this population. Considering research results of a potential inverse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level and prevalence of depression, it is important to adv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vitamin D in depression and conduct well-designed prospective trials in the Asian population.

Cellular Flavonoid Transport Mechanisms in Animal and Plant Cells (플라보노이드 세포 수송 기전)

  • Han, Yoo-Li;Lee, So-Young;Lee, Ji Hae;Lee, Sung-Joon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5 no.2
    • /
    • pp.137-141
    • /
    • 2013
  • Flavonoids have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however, their cellular uptake mechanism is beginning to be understood only recently. This review focuses on cellular flavonoids transport mechanisms in both plants and animals. In plants, flavonoids exist in various cellular compartments, providing a specialized transport system. Newly synthesized flavonoids can be transported from the endoplasmic reticulum to the vacuoles or extracellular space via cellular trafficking pathway. Among membrane transporters, ATP binding cassette, multidrug and toxic extrusion, bilitranslocase homologue transporters play roles in both the influx and efflux of cellular flavonoids across the cell membrane. In recent years, extensive researches have provided a better understanding on the cellular flavonoid transport in mammalian cells. Bilitranslocase transports flavonoids in various tissues, including the liver, intestine and kidneys. However, other transport mechanisms are largely unknown and thus, further investigation should provide detailed mechanisms, which can potentially lead to an improved bioavailability and cellular function of flavonoids in humans.

Development of New Functional Dairy Products Containing Probiotics for Improving Human Health: A Review (Probiotics를 이용한 새로운 건강 증진 기능성 유제품 개발에 관한 연구: 총설)

  • Kim, Dong-Hyeon;Chon, Jung-Whan;Kim, Hyun-Sook;Kim, Hong-Seok;Song, Kwang-Young;Kim, Soo-Ki;Jeong, Dong-Gwan;Seo, Kun-Ho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v.33 no.1
    • /
    • pp.35-46
    • /
    • 2015
  • Recently,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development of a value-added food category containing probiotics so as to improve human health and prevent diseases. Among various foods, the health benefits of milk and dairy products are known to humanity, and could be attributed to the bioactive components present in milk. In fermented milk products, the health benefits could be due to suitable modulation activities produced by the action of probiotic bacteria. Besides the modification of various milk components, probiotics might also act directly as preventive and therapeutic agents against some severe diseases. Probiotics promote health via their positive effects on the immune response, stimulation of natural immunity, and modulation of the production of antimicrobial peptides, cytokines, and so on. Whey proteins, a byproduct of cheese production could also have anticarcinogenic, immunostimulatory, antimicrobial, and health-promoting activities such as improving insulin sensitivity and reducing fat deposition. Therefore, milk and dairy products containing probiotics could provide various opportunities in the field of functional foods. Additionally, these functional foods may be important in the human diet and may help improve human health and prevent diseas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