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동상인

Search Result 4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Spatial Characteristics of Travelling Merchants of Apartment's New Periodic Market in Cheongiu City, Korea (청주시 지역 아파트 신정기시 이동상인의 공간적 특성)

  • Han, Ju-Seong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9 no.3
    • /
    • pp.341-357
    • /
    • 2006
  • Recently new periodic markets formed in large apartment areas where consumers live. Before, in the case of peasant periodic markets travelling merchants, consumers and producers met in specific places on decided dates. Closing time of apartment's new periodic markets is later than that of peasant periodic markets, and the number of travelling merchants is fewer than that of peasant periodic markets. The average number of apartment and household for a new periodic market is about ten and 920 respectively, and if neighboring apartment household are included, the number is larger. Apartment's new periodic markets in Cheongju city is included in Daejeon market area. The types of regional trip of travelling merchants can be divided into one round trip of two or three neighboring dongs and larger sphere of more than 4 dongs. The larger sphere round trip consists of one type combining the southeastern, southern and southwestern regions, and the other type combining southeastern and southwestern regions. About 85 percent of travelling merchants visit the periodic market 5 days in a week; about 12 percent of travelling merchants choose to visit on Saturday; only 2 percent of travelling merchants visit 4 days in a week.

  • PDF

Changes of the Periodic Market System in the Kum River Basin, Korea (금강유역의 정기시 체계변화)

  • 성준용;한주성;주경식;김학훈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3 no.2
    • /
    • pp.225-252
    • /
    • 1998
  • 한국의 정기는 농촌의 상거래에서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한 정기시의 지역적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충북지역의 금강 유역을 대상으로 정기시의 성쇠와 정기시의 이동상인과 소비자의 공간적인 패턴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기시에 출시하는 이동상인과 정기시에서 구매하는 소비자의 양측면에서 정기시의 특성을 고찰한 결과, 교통기관의 발달, 농촌 인구의 감소, 농산물 출하체계의 개선, 근대적인 상업시설의 등장 등 때문에 농촌지역의 상위계층 중심지에 입지한 정기시는 규모가 커지고 있으나, 일부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하위계층 중심지의 정기시는 그 규모가 줄어들어 쇠퇴하고 있다.

  • PDF

Functional Characteristics and Spatial Structure of Periodic Markets in Youngdong County, Korea (영동군 정기시장의 기능 특성과 공간 구조)

  • 김학훈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4 no.5
    • /
    • pp.493-505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정기시장을 이용하는 이동 상인과 소비자의 특성을 분석하여, 정기시장의 중심지 기능과 공간 구조를 이해하려는 것이다. 충청북도 영동군 지역을 사례로 해서 8개의 정기시장을 이용하는 상인에 대한 면접 조사와 소비자에 대한 설문 조사를 통해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정기시장의 연구는 경제-입지적 접근 방법이나 사회-문화적 접근 방법으로 행해지지만, 정기시장의 기능을 상인과 소비자의 두 측면에서 모두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고차위 중심지에 위치한 정기시장은 규모가 커진 반면, 저차위 중심지에 위치한 정기시장은 쇠퇴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정기시장을 유지시켜 왔던 사회적 관성과 비교 우위는 농촌의 근대화 과정에서 점차 사라지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경제적 변화가 정기시장을 쇠퇴시키고 있다.

  • PDF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Urban Periodical market in Won-ju City (도시풍물시장의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 원주시 쌍다리 풍물시장을 중심으로 -)

  • An, Yeong-Gap
    • Korean Business Review
    • /
    • v.6
    • /
    • pp.181-199
    • /
    • 1993
  • 이제까지 부활된 정기시장인 원주시 쌍다리 풍물시장의 현황을 관찰, 면담, 설문지를 통하여 많은 문제점과 나름대로의 대안을 살펴보았다. 여러 가지 문제해결의 요소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쌍다리 풍물시장의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기에 앞서 풍물시장의 이해 관계자들을 살펴보기로 하자. 쌍다리 풍물시장의 이해관계자는 크게 4가지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첫째로, 상설상인들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거리에서 노점상을 했던 도시빈민들이 대부분이며, 설문지에서 나타나듯이 낮은 학력, 소자본 그리고 노령인구층과 여자의 비율이 높다. 이들은 두 가지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데, 매장의 소유권과 5일장이다. 매장의 소유권은 이들에게 있어서 큰 희망이며, 5일 장날의 매상은 평소의 $5{\sim}6$배를 웃돌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풍물시장 번영회라는 그들의 이익을 대변할 수 있는 단체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풍물시장 번영회는 상설상인들의 이익을 도모할 수 있는 여러 노력들을 하고 있다. 둘째로는 이동상인들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장터를 떠돌아 다니며 상행위를 하는 부류로서 상설상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학력과 장년층이 많다. 이들은 5일장의 성쇄와 깊은 관련이 있으나, 5일장이 열리는 상설시장의 발전에는 아무런 흥미가 없다. 즉, 이동상인이 많이 모여드는 곳은 5일장이 크게 번창하지만, 그곳의 장이 패할 기미가 보이면 미련 없이 떠난다. 따라서 보다 많은 이동상인의 유치는 도시 5일장의 성쇄와 깊은 관련이 있다. 셋째로는 시당국을 들 수 있다. 시당국에 의해서 쌍다리 풍물시장은 노점단속에 반발하는 노점상들에 대응하기 위하여 생겨났으며, 5일장 역시 시당국에 의해서 부활된 것이다. 그러나 단기적인 측면만을 고려한 듯한 인상을 풍기는 쌍다리 풍물시장에 대한 행정은 대단히 아쉬운 부분이며 앞으로도 여러 가지 구조적인 문제점의 해결은 시당국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즉, 풍물시장에 관련된 이해관계자들 중 유일하게 조직과 행정력을 가지고 문제해결을 할 수 있는 주체인 것이다. 넷째로는 풍물시장을 이용하는 소비자를 들 수 있다. 이들은 주로 원주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대다수이며 쌍다리 풍물시장을 이용하는 이유는 저렴한 가격에도 원인이 있지만 민족의 정서가 어려있는 시골장터에 대한 향수 역시 큰 원인으로 꼽을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소비자 설문에서 구경거리를 위하여 장에 오는 소비자의 비율이 생각 외로 높게 나타남으로써 알 수 있다. 미국을 위시한 선진국들의 시장개방 압력과 우루과이라운드의 등장으로 우리나라는 경제, 사회문화적인 위기에 봉착해 있다. 1960년대 이후 계속되어 온 경제 제일주의 정책으로 우리 민족의 정서와 문화를 보존하는 일에 등한시하여 왔다. 이 때문에 우리 민족 고유의 뿌리를 점차 잃어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도시노점상을 정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정부에서 도시 5일장을 개장한 것은 역사의 아이러니라 아니할 수 없다. 이렇게 정부주도로 개장된 5일장이 운영되어 온 지 2년이 되어가고 있다. 개장 초기에는 시에서의 지원도 적극적이고 소비자들의 호응도 좋았으나, 최근에 들어 활성화의 속도가 둔화되면서 도시 5일장의 개념을 재정립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의 주도로 시작된 5일장이므로 정부의 적극적인 추진하에 풍물시장 번영회와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쌍다리 풍물시장의 5일장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도시 5일장의 개념을 ${\ulcorner}$국민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여건이 형성되고 있으므로 전통문화(향토문화)를 유지하고 시민들의 정서함양에 기여할 수 있는 여가공간 조성${\lrcorner}$으로 규정해야 한다. 이러한 개념 하에 5일장의 주체를 명확히 하기 위해 시청 지역경제과를 중심으로 지자제의 실시에 발맞춰 지역특색에 맞게 5일장을 활성화하기 위한 전학을 수립해야 한다. 서울대형백화점인 롯데 슈퍼백화점이 송파 큰장터나 그랜드 백화점의 향토물산전의 성공은 도시 5일장의 활성화 가능성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 PDF

The Locations of the Weekly Periodic Markets in Jinju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Merchants (진주시 요일장의 입지와 요일장 상인의 특성에 대한 연구)

  • Lee, Je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6 no.5
    • /
    • pp.517-536
    • /
    • 2010
  • While periodic marketing systems have lasted for more than hundreds of years in Korea, the weekly (periodic) markets have emerged since the latter half of the 1990s in the densely populated urban areas. In Jinju, weekly markets are opened on eight densely populated area: Ehyeon Wellga Apt.(Monday market), Gumsan Apt.(Tuesday market), Juyak Hanbo Apt.(Wednesday market), Chojeon Apt.(Thursday market), Manggyeong Hanbo Apt.(Thursday market), Pyeonggeo Dulmalhanbo Apt.(Friday market), Gajoa Jugonggreenville Apt.(Saturday market), and Gaho Apt.(Saturday). The merchants of Jinju's weekly market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s follows: the migrating specialized(full-time) merchants, who sell fruits, fish, and other daily necessities: the farmer part-time women merchants in the sixties or in the seventies, who sell the agricultural products that they themselves have grown around the rural areas; and the vendor merchants, who sell mostly dduk-bok-ki, eo-mug(odeng), and other fast food. The origin and persistence of periodic markets are explained in terms of the concepts of central place theory, the economic/comparative advantage of periodic markets, and the traditional organization of time and inertia.

  • PDF

A Study on the Existence, Marketing Behavior and Function of Urban Weekly Markets in Taegu City (도시 요일장의 형성과 이용 및 기능에 관한 연구)

  • Lee, Jae-Ha;Park, So-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 no.2
    • /
    • pp.113-131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xistenc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of market-participants, and function of urban weekly markets in Taegu City through observation, interview and questionnaire survey. There are four weekly periodic markets such as Seongso(Monday), Chilgok(Wednesday), Siji(Thursday), and Chilgok(Friday) which have recently developed near the new apartment areas on the outskirts of Taegu.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se markets originated from the agricultural cooperative's Friday markets, but were substantially established by mobile traders or merchants for the sake of their livelihood. Therefore, the existence of these markets is not explained by Stine's central place perspective but partially explained by Hay's economic locational and Bromley's socio-cultural perspective. Most traders are male, aged 30 to 40 years and have an educational level higher than high school. Most of them are living in Taegu and itinerantly visit more than two markets among the four markets by small truck. And most of them sell agricultural products and other food materials, except some who sell manufactured goods. Most consumers are housewives, aged 20 to 30 years and have an educational level higher than high school. Most of them are living within 1,000m and go there on foot. Most of them visit the markets around 3 to 5 p.m. on every market day. And they mostly buy vegetables, fruits, and fishes. Weekly markets provide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those who want to be merchants, and also contribute to the increase of farmers' income, because some traders(18.8%) are farmers who periodically visit markets to sell agricultural products. On the other hand, they function as a general food materials markets to neighboring residents. From these facts, both traders and consumers want weekly markets sustained. Therefore, these markets need to be protected by institutional assistance in spite of being informal markets.

  • PDF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Bus Service Evaluation (버스의 서비스평가 구조모형에 관한 연구)

  • 김갑수;도군섭;권대우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7
    • /
    • pp.135-14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2개의 사례지구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서비스평가 구조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의 가설로서 요인분석과 신뢰성 분석 등을 통해 구성된 '질적서비스에 대한 인식', '이동성에 대한 인식 '환승에 대한 인식', '경제성에 대한 인식'이란 인지서비스(Perceived service)를 나타내는 4개의 잠재변수는 '개인속성'과 '교통특성'이란 잠재변수의 영향을 받으며, 상호 구조적인 관계를 가지고 전반적인 만족도로 대표되는 '서비스평가'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한다. 모형추정결과, 기초적합지수(GFI)가 상인·월성 0.864, 지산·범물 0.807로 나타났고, 조정 적합지수 (AGFI)는 상인·월성 0.823. 지산·범물 0.759로 나타나 적합성은 대체로 양호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두 지역 모두에 있어서 잠재변수 간이나 잠재변수와 관측변수간의 인과계수의 유의성도 2, 3개의 인과계수를 제외하면 모두 5%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모형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상인·월성의 경우, 운전기사에 대한 인식치가 '서비스평가'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크며, 요금수준과 더불어 직접적으로 '서비스평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타 편리성, 쾌적성, 시설 및 운영성이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지산·범물의 경우, 쾌적성, 시설 및 운영성, 편리성이 '서비스평가'에 직접적으로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질적서비스에 대한 인식'은 버스의 현행 요금수준과 대기시간에, 그리고 유의성이 높다고 할 수 없지만 이용자의 연령과 버스이용빈도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patial Characteristics of Travelling Merchants and Consumers in Chongsan Periodic Markets of Okchon County, Korea (충북(忠北) 옥천군(沃川郡) 청산(靑山) 정기시(定期市) 출시자(出市者)의 공간적(空間的) 특성(特性))

  • Han, Ju-Seong;Kim, Bong-Kyeum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 no.1
    • /
    • pp.133-150
    • /
    • 1996
  •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arket cycle of travelling merchants and the spatial behavior of consumer's commodity purchasing. its reasons and purchasing region of each commodity in Chongsan of Chongsan Myun(village) periodic markets, that is one of the lowest central places in Okchon county. The data used are the results of interviews with 58 travelling merchants on June 22 and July 17, 1994, and questionaire survey taken to parents of students of Chongsan middle school of Chongsan Myun in Okchon county. Study area is typical agricultural regions taking the role of central places to provide rural service and is comparatively important periodic markets. Some of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Until 1980's. appearance of closed periodic markets is caused by the population decrease in rural region, income increase, and rising of living level according to the Five Years Planning of Economic Development, appearance of chain stores of agricultural co-coperative and of supermarkets,. changes in distribution mechanisim by increasing consignment volume of agricultural products through agricultural co-coperative, and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in Okchon county. These, too, became the reasons for the decline of the Chongsan periodic markets in Okchon county. (2) Most of the travelling merchants visiting the Chongsan periodic markets are in their 50's of age, and they sell the miscellaneous commodities and agricultural products. And about one-fourths of travelling merchants reside in regions with periodic markets and in Okchon of higher order central places. (3) Travelling routes visting periodic markets can be simplified to five types. Major types of travelling routes are Chongsan periodic market$\rightarrow$Wonnam$\rightarrow$Boun, and Chongsan periodic market$\rightarrow$Yungdong$\rightarrow$Yongsan. The patterns of travelling merchants visiting periodic markets are classified into the type of everyday visiting of periodic markets over three days of five days from merchant's residence to market, and the type of merchants or consumers visiting one day's of five days. On days that travelling merchants don't visit periodic markets they purchase the commodities in Seoul, Taejon and Chongju. (4) Consumers who use periodic markets are from thirties to fifties years of age and most of them are employed in agriculture. Consumers visit periodic markets on foot or by bus, and visit two or three times in a month, and mainly purchase the commodities for one or two hours from about ten o'clock in the morning. (5) Consumers purchase the necessaries of life in periodic markets, and other commodities are purchased in Taejon city, Youngdong, and Boun Eup(town). But consumers purchase the goods(convenience goods, shopping goods, and specialied goods) largerly in Chongsan, because additional expense and disadvantage after service with poor transportation service for purchased goods in others regions. Therefore, the hierarchies of central places by the consumer's purchasing behaviour can not be seem in dewellers in Chongsan and Chongseong Myun.

  • PDF

Analytical Approach of Eddy Interaction Model (Eddy Interaction Model의 해석적 접근)

  • Choi, Sung-Uk;Choi, Seo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5-69
    • /
    • 2015
  • 하천에서 유사이동은 하천환경과 하천형상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이므로 이를 해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유사이동은 일반적으로 이상흐름 (two-phase flow)이며 난류를 동반하기에 이를 해석하기에는 쉽지 않다. 이상흐름을 해석하는 방법으로는 유사를 연속상인 유사구름(sediment cloud)으로 표현하여 해석하는 Euler-Euler 모형이 있으며 입자를 직접 추적하여 해석하는 Euler-Lagrange 모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사이동 해석을 위하여 Euler-Lagrange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흐름의 진동성분을 고려하기 위하여 EIM (Eddy Interaction Model)을 사용하였다. 유체의 유속은 Dou (1987)가 제시한 경험식을 사용하였고 난류운동에너지와 소산률은 Nezu and Nakagawa (1993)가 제시한 식을 사용하였다. EIM에서 입자에 발생하는 와의 영향시간(eddy interaction time)을 계산하기 위해 Gosman and Ioannides (1983)가 제시한 eddy lifetime과 eddy crossing time을 사용하였다. 유사입자는 입자의 운동량방정식을 풀어 그 거동을 추적하였으며 일정 시간 후 입자의 수를 이용하여 농도를 계산하였다. 유체에 발생하는 유속의 진동성분에 의해 입자가 부상하고 중력에 의해 흐름에 따른 일정한 농도분포 형태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사의 입자크기와 흐름에 따른 농도분포를 계산하였으며, 이를 측정치와 비교하여 EIM의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 PDF

The Measurements of Thermodynamic Properties for the Solute Transfer in RPLC with a $C_{18}$ Stationary Phase ($C_{18}$ 정지상으로 구성된 역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용질전이의 열역학적 특성측정)

  • Cheong, Won Jo;Kang, Young Ryul;Kang, Gyoung Won;Keum, Young Ik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43 no.6
    • /
    • pp.656-662
    • /
    • 1999
  • We have obtained retention data of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phenol, and acetophenone at 25, 30, 35, 40, 45 and 50 $^{\circ}C$ in 30/70, 40/60, 50/50, 60/40, 70/30, and 80/20 (v/v %) methanol/water eluents using a $C_18$ phase with a high ligand density. We drew van't Hoff plots from the data, and computed enthalpies and entropies of solute transfer from the mobile to the stationary phase. The cavity formation effect was found the major factor that governs the solute distribution between the mobile and stationary phases. The hydrophobic effect became significant in highly aqueous mobile phases. We also concluded that the Shodex C18-5B stationary phase was a polymer-like phase with a high ligand density, and followed a partially adsorption-like mechanis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