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ocations of the Weekly Periodic Markets in Jinju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Merchants

진주시 요일장의 입지와 요일장 상인의 특성에 대한 연구

  • Lee, Jeon (Dept. of Geography, College of Educ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이전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0.08.14
  • Accepted : 2010.10.14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While periodic marketing systems have lasted for more than hundreds of years in Korea, the weekly (periodic) markets have emerged since the latter half of the 1990s in the densely populated urban areas. In Jinju, weekly markets are opened on eight densely populated area: Ehyeon Wellga Apt.(Monday market), Gumsan Apt.(Tuesday market), Juyak Hanbo Apt.(Wednesday market), Chojeon Apt.(Thursday market), Manggyeong Hanbo Apt.(Thursday market), Pyeonggeo Dulmalhanbo Apt.(Friday market), Gajoa Jugonggreenville Apt.(Saturday market), and Gaho Apt.(Saturday). The merchants of Jinju's weekly market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s follows: the migrating specialized(full-time) merchants, who sell fruits, fish, and other daily necessities: the farmer part-time women merchants in the sixties or in the seventies, who sell the agricultural products that they themselves have grown around the rural areas; and the vendor merchants, who sell mostly dduk-bok-ki, eo-mug(odeng), and other fast food. The origin and persistence of periodic markets are explained in terms of the concepts of central place theory, the economic/comparative advantage of periodic markets, and the traditional organization of time and inertia.

진주시에는 8개의 요일장이 열리고 있는데, 이 요일장은 시장주기와 입지라는 측면에서 전통적 정기시장인 5일장과 다른 특성을 나타낸다. 진주시에서는 요일장이 월요일에는 <이현 웰가아파트> 입구의 공터에서, 화요일에는 <금산 아파트단지>의 도로변에서, 수요일에는 <주약 한보아파트> 후문의 도로변에서, 목요일에는 <초전 아파트단지>의 도로변과 <망경 한보아파트> 입구의 공터에서, 금요일에는 <평거 들말한보타운> 인근의 도로변에서, 토요일에는 <가좌 주공그린빌아파트> 입구의 도로변과 <가호 아파트단지> 입구의 도로변에서 열리고 있다. 진주시 요일장에 상품을 출시하는 상인은 크게 세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진주시 요일장들을 함께 순회하며 전업 상업 활동을 하는 이동 상인들이다. 두 번째는 자가 생산한 농산물을 요일장에 출시하는 농민 상인들(60대 이상의 여성)이다. 세 번째는 주로 간식류를 판매하는 노점 상인들이다. 진주시 요일장의 형성 원인을 기존의 정기시장에 관한 이론을 동원하여 세 가지 이론으로 설명하는 것이 가능하다. 첫째, 진주시 요일장에 출시하는 상인들은 일정한 지점들을 순회함으로써 수요를 확보할 수 있다. 둘째, 진주시 요일장에 출시하는 상인들은 영업상의 고정지출비용을 줄이면서도 적정 수준 이상의 수요를 확보할 수 있다. 셋째, 일주일에 한 번씩 요일장이 열리는 것은 진주시민의 생활리듬에 맞는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