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9초

고등학생의 학습탄력성 요인이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감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 정도의 조절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n the Factors of Scholar Resilience for Self-efficiency and Scholar Attainment of High School Student : An Analysis on the Control Effects of Stress Scale)

  • 이신숙;강길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87-196
    • /
    • 2014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습탄력성에 관한 요인이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조절효과가 있는지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인과모형과 연구가설을 설정한 다음, G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고등학생 292명을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습탄력성 요인인 인지능력과 의사소통이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감에 미치는 영향은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트레스 정도가 낮은 고등학생일수록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감이 높다는 점에 그 의의를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학업성취감을 고취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대학생의 도형심리 유형, 긍정심리자본, 의사소통능력 간의 경로분석 (Path Analysis of Geometric Psychology typ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for University Students)

  • 김명숙;서호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355-36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도형심리유형과 의사소통능력과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이 매개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대학생들 3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척도의 신뢰도분석, 회귀분석, 경로분석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회귀분석을 통해 도형심리유형, 긍정심리자본, 의사소통능력의 변수들이 서로 긍정적인 회귀결과로 나타났다. 경로분석을 통해 도형심리 유형과 의사소통능력과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형심리의 각 유형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동그라미 유형은 의사소통능력에 대하여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인 복원력을 매개하거나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세모 유형은 의사소통능력에 대하여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인 자기효능감과 복원력을 매개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모 유형은 의사소통능력에 대하여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인 자기효능감을 매개하거나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에스 유형은 의사소통능력에 대하여 긍정심리자본을 매개하지 않고 직접적으로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들을 위한 의사소통향상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위와 같은 결과를 고려하여 도형심리유형별로 긍정심리자본이 적용된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플립러닝을 적용한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능력,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Flipped Learning on Self-effica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 이영실;은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67-576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Participants were 140 nursing students (experimental group=70, control group=70). The flipped learning was provided for 6 times (18 hour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March 7 and May 30, 2016.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test, paired t-test with SPSS/WIN 22.0.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self-efficacy (t=4.67, p<.00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6.55, p<.001),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t=3.57, p=.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the flipped learning has proven to be influential educational program for improving the self-effica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The flipped learning was an effective teaching program for nursing student, and need to develop other nursing major subjects.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유형이 자녀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s-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 on Adolescent’s Self-Efficacy)

  • 신향숙;장윤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9권5호
    • /
    • pp.189-202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s-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 on adoescent’s self-efficacy. The subjexts of this study were 625 students selected at random from first and second grade of high school in Daegu. A questionnaire was used as survey method. Factor analysis, MANOVA and cluster analysis for data analysis and Scheffe test for post-hoc analysis were employed. The ma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adolescent’s self-efficacy according to perceive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 In case that adolescents perceived their father’s communication style as reasonable, the degree of self-control, self-confidence and attribu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cases such as non-interferential or impulsive communication style. The adolescents who perceived the father’s communication style as reasonable showed higher preference of difficult task than those who perceived it as non-interferential style. The adolescents who perceived father’s communication style as reasonable and non-interferential showed higher attribution than those who perceived it as impulsive styl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adolescent’s self-efficacy according to perceived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 In case that adolescents perceived their mother’s communication style as reasonable, the degree of self-control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cases such as non-interferential and impulsive communication style. The adolescents who perceived their mother’s communication style as reasonable showed higher self-confidence than those who perceived as impulsive style.

  • PDF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자기효능감, 피로, 의사소통능력과 임상실습 만족도와의 관련요인 (Self Efficacy, Fatigu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 한세영
    • 의료커뮤니케이션
    • /
    • 제13권2호
    • /
    • pp.133-140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basic educational data for improvement of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with self-efficacy, fatigue and communication skill in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A survey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among 205 second- and third-year students enrolled in an dental hygiene program at three colleges located in A and B province from March 10 to April 10, 2018. Results: Satisfaction level of clinical practi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more satisfied with their majors, with more healthy subjective health status, more satisfied with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a higher self-efficacy, with a lower fatigue, and with better communication skill.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and communication skill an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fatigue. Factors affecting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in the subjects were communication skill, self-efficacy and fatigue. The total variance explained by all three variables was 20%. Conclusion: Further studies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including a broad range of strategies for clinical training are warranted by reflecting those related variables to improv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in dental hygiene students.

병원간호사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희망,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능력, 의사소통능력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the Resilience of Hospital Nurses: Hope, Self-efficacy, Stress Cop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 김시은;한숙정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64-73
    • /
    • 2024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hope, self-efficacy, stress cop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on the resilience of hospital nurses. Methods: The sample of this study comprised 201 nurses working in the general hospital located in Seoul, Korea for the year of 2024.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the analyse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s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nurses' resilience were hope (β=.41, p<.001), communication (β=.33, p<.001) and stress coping ability (β=.15, p=.005). These factors had an explanatory power of 61.5% (F=32.92, p<.001) in resilience.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nurses' resilience, various trainings and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to enhance nurses' hope, stress cop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모의환자를 활용한 정신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이 자기주도적 학습, 학습 자기효능감,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sychiatric Nursing Practicum using Simulated Patients 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Learning Self-Efficacy, Satisfaction of Learning)

  • 김순옥;김현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396-408
    • /
    • 2014
  • 본 연구는 치료적 관계형성 및 의사소통, 정신간호사정 교육을 위해 개발한 모의환자를 활용한 정신간호 시뮬레이션 교육프로그램이 자기주도적 학습, 학습 자기효능감 및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단일군 전후설계 실험연구로 119명의 간호학과 3학년을 대상으로 8시간의 시뮬레이션 교육 중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시행 전보다 시행 후에 자기주도적 학습, 학습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들은 교육만족도와 중간정도의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정신간호 실습교육에 있어서 모의환자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이 효과적임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장중심의 정신간호 실습교육 및 정신간호 임상실무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LCSI를 활용한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 효능감,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LCSI- based self-growth program on self-efficacy, adjustment to college life of undergraduates)

  • 최영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469-3477
    • /
    • 2014
  • 본 연구는 일 개 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LCSI를 활용한 자기 성장 프로그램이 자기 효능감과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한 단일군 전후 실험 연구로 대학생 39명을 대상으로 2013년 10월 4주간 총 8회기의 LCSI 자기 성장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 자기 효능감과 그 하부 요인 자신감, 자기조절, 과제 난이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대학생활 적응과 그 하부 요인 학업적응, 사회적응, 정서적응, 신체 적응, 대학 애착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LCSI를 이용한 자기 성장 프로그램이 자기 효능감과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지며, 각각의 대상자 특성과 다양한 상황을 적용한 LCSI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제공한다면 의사소통이나 갈등 관리 등 여러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국내 간호대학생의 SBAR를 이용한 의사소통에 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n the Use of SBAR in Communication for Domestic Nursing Students)

  • 이미진;김화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171-182
    • /
    • 2024
  • 본 연구는 국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SBAR를 활용한 의사소통 연구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시행된 체계적 고찰이다. 문헌검색은 2023년도 6월까지 출간된 논문으로 데이터베이스는 RISS, KISS, DBpia, KCI를 이용하였다. 검색어는 '간호대학생', '간호', 'SBAR', '의사소통'을 사용하였다. 총 57편의 논문이 검색되었고, 최종적으로 17편이 포함되었다. 측정된 결과 변수는 의사소통 명확성,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 자신감, 비판적 사고능력, 자기효능감, 보고 자신감, 임상판단력, 의사소통 만족도 등에 대부분 유의한 결과가 확인되었으나 일부 연구에서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도 확인되었다. 이에 SBAR를 활용한 의사소통 중재의 툭성과 내용을 분석하고 효과를 평가하여 향후 SBAR를 활용한 의사소통 중재의 후속 연구를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종합병원간호사의 조직효능감, 자기효능감, 간호전문직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Efficacy, Self-efficacy, Nursing Professionalism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General)

  • 김현우;박은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7호
    • /
    • pp.75-82
    • /
    • 2023
  • 본 연구는 G시의 종합병원간호사 129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집단효능감, 간호전문직관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시행되었다. 분석은 빈도, 백분율,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 피어슨상관분석 및 단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자기효능감은 3.53점, 집단효능감은 3.66점, 간호전문직관 3.20점, 조직몰입은 3.47점이었다. 조직몰입 영향요인은 집단효능감(β=0.240, p =.003), 근무형태 중 주간(β=0.249, p =.003), 간호전문직관(β=0.229, p =.004)이었다(F= 10.478, p <.001). 그러므로 조직몰입 향상을 위해서 집단효능감을 향상할 수 있도록 병동별 의사소통프로그램, 협력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종합병원간호사의 근무시간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야간근무자 전담제도와 같은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 더불어 간호현장에서 현실에 실망하여 간호전문직관이 낮아지지 않도록 지지프로그램 개발도 필요하다. 또한 단위당 근무가 진행되는 간호사를 위해 병동별로 타인 이해하기를 중점으로 코칭프로그램 지원 및 친목활동 지원이 병행된다면 집단효능감 상승에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