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사소통으로서의 수학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26초

초등학생의 수학적 모델링 적용과정에서 나타나는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5학년 수와 연산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in process of applying mathematical modeling to children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

  • 이지영;김민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5권1호
    • /
    • pp.41-71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lementary students' communication in process of applying mathematical modeling. For this study, 22 fif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were observed by applying mathematical modeling process (presentation of problem ${\rightarrow}$ model inducement activity ${\rightarrow}$ model exploration activity ${\rightarrow}$ model application activity). And the level of their communication with their activity sheets and outputs, observation records and interviews were also analyzed. Additionally, by analyzing the activity cases of and , this study researched that what is a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Whereas showed significant advance in the level of communication, who communicated actively on speaking area but not on every areas showed insensible changes. To improve communication abilities, cognitive tension and debate situation are needed. This means, mathematical education should continuously provide students with mathematical communication learning, and a class which contains mathematical communication experiences (such as mathematical modeling) will be needed.

현행 중학교 수학 교과서와 MathThematics 교과서의 비교 분석 - 수학적 의사소통 측면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athThematics textbooks with Korean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 focused on mathematical communication -)

  • 한혜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9권4호
    • /
    • pp.523-540
    • /
    • 2010
  •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to analyze MathThematics textbooks and Korean middle school mathematics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among the textbooks in the view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extbook developers made a variety of efforts to develope students'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Students were encouraged to communicate with others about their mathematical ideas or problem solving processes in words or writing by means of discussion, oral report, presentation, journal, etc. MathThematics textbooks provided student self-assessment opportunity to improve student performance in problem solving, reasoning, and communication. In communication assessment, students can assess their use of mathematical vocabulary, notation, and symbols, the use of graphs, tables, models, diagrams and equation to solve problem and their presentation skills. The assessment activities would make a posi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MathThematics textbooks provided a variety of problem situation including history, science, sports, culture, art, and real world as a topic for communication, however, the researcher found that some of Korean textbooks depends heavily on mathematical problem situations.

개념연결표의 활용이 예비교사들의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use of the Link Sheet i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mathematics learning)

  • 한혜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259-279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연결표의 활용이 예비교사들의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5명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미적분학 강좌 시간을 활용하여 한 학기 동안 수행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및 면담 결과에 의하면 개념연결표의 활용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예비교사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개념연결표의 활용은 예비교사들의 수학적 개념에 대한 이해와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을 발달시키는데 도움이 되었으며 수학의 유용성이나 가치 인식 및 자기주도적이고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담화 중심 수학 수업의 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s of Discourse-Based Math Instructions)

  • 홍금희;최재호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559-577
    • /
    • 2011
  • 본 연구는 수학교실에서 학생들에게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하고 의사소통에 있어서 자신의 아이디어를 표현하는 가장 기본적인 전달 방법인 말하기 경험을 확대하는 담화 중심 수학 수업을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해 봄으로써 담화 중심 수학 수업이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와 수학 학업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그 결과로 담화 중심 수학 수업은 수학 학업성취도의 향상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수학적 태도 중 융통성, 의지력, 호기심, 반성, 가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학적 태도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담화 중심 수업에 대한 설문 조사 및 서술형 평가 등을 통해 담화 중심 수학 수업이 학생들에게 문제 해결에 있어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보는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흥미와 호기심을 갖고 수업에 참여하도록 할뿐만 아니라 문제를 단순하게 푸는 차원을 넘어서서 원리를 발견하는 경험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볼 때 담화 중심 수학 수업은 수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 PDF

1996으로 1에서 100까지 만들기 과제 적용에 관한 연구

  • 김상룡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0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12
    • /
    • 2010
  •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6회 총 120분 동안 1996을 활용해서 1에서 100까지 수를 만들게 하는 활동을 한 결과를 제시하고 분석하였다. 이 퍼즐 과제 활동은 아이들의 수학적 사고를 많이 향상시켰으며, 수학적 성향을 강화시켰다. 특히, 이 과제에서 아이들은 협동의 이점을 알게 되었고 수학적 의사소통의 중요성도 경험하는 계기가 되었다. 무엇보다도 지수, 제곱근, 가우스 함수의 아이디어가 먼저 제시되고, 후속학습이 일어났다. 계산기가 어떻게 활용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아이디어도 제공했다.

  • PDF

수학논술을 활용한 수업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과정 분석: 확률과 통계 영역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Mathematical Processes in Mathematical Essay Lessons : Focused on the Probability and Statistics Domain)

  • 김규상;이재학;이광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3호
    • /
    • pp.543-565
    • /
    • 2014
  • 본 연구는 학생들의 수학논술 교수 학습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과정과 관련된 여러가지 특징들을 조사하고 수학 학습에서 학생 개개인에게 나타나는 긍정적인 변화를 분석하여, 수학논술이 '수학적 과정'을 학습하도록 하는 교수 학습활동의 대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학논술 과제를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확률과 통계 영역 분류에 따라 재구성 하였고, 고등학교 3학년 학생 8명을 대상으로 하여 수업을 실시한 후 수학적 과정 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학적 문제해결, 추론, 의사소통과 관련한 다양한 특징들이 나타났으며, 특히 수학논술 과제가 학생들의 일반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수학적 과정과 관련한 특징뿐만 아니라 보다 발생가능성이 낮은 특징들 또한 나타나도록 하는데 도움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초등 수학 수업을 위한 수학적 과정의 적용 (Applying the Mathematical Processes to an Elementary School Class for Mathematics)

  • 장혜원;김민선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9-37
    • /
    • 2013
  •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취지인 창의 인성 중 창의성 신장이라는 측면에서 이전보다 훨씬 강조된 요소인 '수학적 과정'은 수학적 문제 해결, 수학적 추론, 수학적 의사소통의 세 가지로, 학생에게 기대되는 수학적 활동을 의미한다. 이는 수학 수업 전반에서 추구되어야 할 행동 요소이지만 구체적 실행 방안을 갖추지 못한 채 모든 수업에서 구현한다는 막연한 생각은 그 실행을 요원하게 할 것이라는 우려를 낳는다. 2013학년도부터 수학적 과정을 반영한 교과서가 출간되고 교사들은 이에 근거하여 수업을 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교실수업에 제대로 반영될 수 있는가하는 것은 전적으로 교사의 의지에 달려있다고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수학적 과정을 강조하는 초등 수학 수업의 운용에 초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수학적 과정의 세 가지 요소에 대한 교수 학습시 유의점을 기본틀로 삼아 그에 기초하여 학교수학의 한 차시에 대한 수업 지도안을 고안하였다. 그리고 지도안을 대상 학년인 4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한 수업에서 학생 행동 및 반응을 관찰하고 분석함으로써 수학적 과정의 강화를 위한 효과적인 지도 방향을 탐색하였다.

  • PDF

초등학교 영재학급용 교수·학습 자료 개발을 위한 가변칠교판 활용 소재 발굴 (Discovery of Materials Using Rotatable Tangram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he Gifted Class)

  • 강민정;송상헌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69-186
    • /
    • 2020
  • 본 연구는 보통의 초등학생들에게도 익숙한 전통칠교판을 변형하여 만든 가변칠교판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영재학급용 교수·학습 자료 개발을 위한 소재 발굴을 목적으로 한다. 가변칠교판은 영재학급 학생들이 수학적 의사소통을 통해 정당화를 수 있다. 다만, 영재학급 학생이라도 초등학교 수준에서는 '기호화' 단계를 거치지 않으면 모든 크기의 삼각형, 직사각형을 찾아 정당화(증명)하기에는 어느 정도의 한계가 있다. 따라서 문자와 기호에 대한 탐구 과정이 필요한 학생들에게는 보충 학습 자료와 추가 발문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초등학교 영재학급용 교수·학습 자료 개발을 위한 가변칠교판이라는 소재는 영재학급 학생들의 수학적 추론능력과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을 발달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수학 문장제 표상능력 향상을 위한 웹 기반 시스템의 설계 (A Design of Web-Based System for Mathematical Word Problem Representation Ability Improvement)

  • 박정식;고대곤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185-196
    • /
    • 2001
  • 초등학생들은 수식보다 문장으로 나타낸 문제를 더 어려워한다. 이것은 수학적인 계산 기능보다도 문제표상에 요인이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수학 문장제 표상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문제의 요구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멀티미디어 자료와 의사소통을 필요로 하는데, 웹은 멀티미디어 구현과 상호작용적 의사소통을 촉진할 수 있기 때문에 수학 문장제 표상학습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수학 문장제 표상능력 향상을 위한 웹 기반 시스템을 설계하여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실험적으로 적용하였다.

  • PDF

숙련된 교사의 문장제 문제해결 지도 전략 - 미국 교사들을 중심으로 (Exemplary Teachers' Teaching Strategies for Teaching Word Problems)

  • 이광호;신현성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433-452
    • /
    • 2009
  • 본 연구는 미국의 숙련된 수학 교사들의 문장제 문제 해결 지도 전략에 대한 연구이며 그것들이 학생들의 문장제 문제 해결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한 연구이기도 하다. 관찰된 미국 교사들은 문장제 문제 해결 지도과정에 있어 공통적으로 문제의 배경에 대한 설명을 자세히 함으로써 학생들의 수학 문제해결에 대한 동기를 유발하는 공통점을 지녔고, 학생들이 문제 자체에 대해 분명히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들었으며 더 나아가 학생들 자신이 다양한 해결 전략을 이용하여 문제 해결을 것이 가능케 하였다. 또한, 교사와 학생들 그리고 학생과 학생의 '의사소통'을 강조하여 언제든 자신의 수학적 아이디어를 제시할 수 있는 자유스러운 분위기를 제공하였다. '의사소통'은 교사와 학생 그리고 학생들이 문제 풀이 자체에만 얽매이지 않고 배경지식을 활용하여 문제를 이해하는 과정을 가능케 하였고, 끊임없는 질문과 의문을 통해 문제 해결전략을 세우고 그 문제를 해결하고 다시 정리하고 반성하는 전반에 걸친 원동력이 되어주었다. 또한 이 연구는 Polya의 문제해결 전략 4단계를 보완하는 모델을 제공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