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미적 맥락

Search Result 662,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Effects of Conceptual Context on Implicit Memory (의미적 맥락에 대한 처리가 암묵기억에 미치는 영향)

  • 연은경;김민식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3 no.4
    • /
    • pp.9-21
    • /
    • 2002
  • Four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maintaining the same conceptual context across study and test would affect performance on a perceptual implicit memory task. The sense-specific theory of priming (Lewandowsky et al., 1989) predicts greater priming from a match in conceptual context across study and test compared with a condition in which the conceptual context is mismatched, whereas the transfer-appropriate-processing view (e.g., Blaxton, 1989) predicts no difference. In experiment 1 and 2, little or no effect of varying context was observed on a implicit task. In experiment 3 and 4, a process-dissociation procedure (proposed by Jacoby, 1991) was used to separate automatic influences from consciously controlled influence in implicit memory, which was measured by Korean word completion task. The results showed that conceptual context effect was observed in consciously controlled parts of implicit memory. These results suggest that only consciously controlled processing parts of implicit memory is sensitive to conceptual context.

  • PDF

Semantic activation of Korean ambiguous words and context effect (한글 다의 단어의 의미적 활성화와 맥락효과)

  • Jung, Woon-Sim;Shin, Hyun-J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2.10a
    • /
    • pp.413-421
    • /
    • 1992
  • 두 개의 실험을 통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한글 다의 단어의 의미처리과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1에서는 의미를 편향시키는 맥락이 없는 상황에서 다의어의 의미처리를 알아보고자 하였는데, 결과는 사용빈도가 높은 의미의 활성화 촉진의 정도가, 빈도가 낮은 의미에 비하여 크고 오래 지속됨을 보여주었다. 실험 2에서는 다의어의 의미를 하나의 의미로 편향시키는 맥락을 사용하였는데, 맥락에 부합하는 의미의 반응시간이 부합하지 않는 의미에 비하여 빨랐다. 그리고 처음에는(SOA가 짧을 때) 일차 의미와 이차 의미의 활성화가 동시에 이루어지지만, 시간이 경과할수록 일차 의미의 활성화촉진은 이차의미에 비하여 크고 오랫동안 유지됨을 보여주었다.

  • PDF

Exploring meaning of the context into the educational game (교육용 게임에서 맥락의 의미 고찰)

  • Park, Hyung-Sung;Baek, Young-Kyu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9 no.4
    • /
    • pp.11-2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a line of context into the game-based learning. By reason of that, in this study this system of the roles into interaction game, both variable and flexible, will be considered in terms of what it means and what it takes however, beyond certain reasons, it does not change applicably with the place under the category of players. Therefore, it is obvious that more systems above-mentioned need to be developed on the knowledge-based environment by using educational games as well as assigning the roles of them.

  • PDF

A semantic analysis of Polarity Items dare-mo/-demo in Japanese (일본어 극어 dare-mo/-demo의 의미 연구)

  • 변현아;이정민;남승호;정대호;최진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5a
    • /
    • pp.114-120
    • /
    • 2000
  • 본고는 일본어 극어 dare-mo/-demo의 의미를 밝히고 나아가 그 허용맥락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본고는 dare-mo/-demo의 의미가 다음 네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한다: 첫째는 변항적 성격의 비한정사 dare이고 둘째는 고저강세 유형, 셋째는 가능성의 척도(Likelyhood Scale)에 기반한 -mo/demo의 의미, 마지막으로는 이러한 척도를 형성시켜주는 맥락(context)이다. 이 네 가지 요인이 상호 작용하여, daRE-MO/DAre-mo/daRE-DEMO/DAre-demo 각각의 의미를 만들어 낸다. 또한 본고는 dare-mo/-demo의 분포를 통해 드러나는 극어들 사이의 의미 차이를 척도(scale)상의 양(quantity)과 질(quality)이라는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즉 -mo 결합형의 경우 양에 민감한 가능성의 척도가 고려되는 것에 비해, -demo 결합형에서는 양뿐 아니라 질에도 민감한 척도가 고려된다. 그 결과 -demo 결합형들은, 양적 측면과 연관하여 조건/명령/외연적 맥락 등에서 존재 양화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질적인 면에서 하한가(lower bound)까지 허용하는 강한 양보의 의미(derogative sense)를 갖는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 PDF

Conversation Context-Aware Backchannel Prediction Model (대화 맥락을 반영한 백채널 예측 모델)

  • Yong-Seok Choi;Yo-Han Park;Wencke Liermann;Kong Joo Le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263-268
    • /
    • 2023
  • 백채널은 화자의 말에 언어 및 비언어적으로 반응하는 것으로 상대의 대화 참여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백채널은 보편형 대화 참여와 반응형 대화 참여로 나뉠 수 있다. 보편형 대화 참여는 화자에게 대화를 장려하도록 하는 단순한 반응이다. 반면에 반응형 대화 참여는 화자의 발화 의도를 파악하고 그에 맞게 반응하는 것이다. 이때 발화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표면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대화의 맥락을 이해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화 맥락을 반영한 백채널 예측 모델을 제안하고 예측 성능을 개선하고자 한다. 대화 맥락을 요약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체 요약과 선택 요약을 제안한다. 한국어 상담 데이터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는 현재 발화만 사용했을 때보다 제안한 방식으로 대화 맥락을 반영했을 때 성능이 향상되었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Joy in Russian and Korean (기쁨의 의미연구 - 러시아어와 한국어의 비교를 중심으로 -)

  • Kim, Jung-Il
    • Cross-Cultural Studies
    • /
    • v.41
    • /
    • pp.113-140
    • /
    • 2015
  • This paper explains how the basic and instinctive emotion "joy" is verbally expressed in Russian and Korean. In particular, the main concern of this pater is on the cultural context with which the emotion "joy" is related and the ways in which the emotion "joy" has a wide range of uses. The semantic and pragmatic characteristics of the uses of the expression "joy"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cul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in both languages. In Russian, joy has two variants, radost' and udovol'stvie. It is very difficult to distinguish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however, the former is mainly connected with more mental, spiritual, cultural, and religious contexts, whereas the latter is mainly related with more concrete, instantaneous contexts and daily life. The former produces an impression that has a more wide, spiritual, and macroscopic attitude toward a situation, whereas the latter produces an impression that has a microscopic and instantaneous attitude toward a situation. Compared with the Russian expressions, the Korean equivalents, 기쁨 and 즐거움, have a very similar opposition like that of the Russian. The former is based on a more logical and causal relation between an anticipation or desire and the current situations, whereas the latter is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speakers in a situation and has a very instantaneous characteristic, like a udovol'stvie in Russian. Thus, it can be reasonable argued that the Russian udovol'stvie and the Korean 즐거움 share many similar semantic properties. In brief summary, in both languages there exists two distinctive variants that show a privative opposition to express the emotional concept of joy.

A Study on the contextual meaning in "Dad's bathroom" Movie Space ("아빠의 화장실" 영화 공간에 나타난 맥락적 의미)

  • Jang, eun ju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491-493
    • /
    • 2010
  • 영화 속 공간의 개념은 각 영화의 감독에 따라 많은 의미가 부여된다. 그 공간은 영화 속의 이야기가 만들어지는 곳이기도 하며 주인공의 성격을 알려주는 장치로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영화 속의 시대를 말하기도 하고 일상의 삶과 스타일을 반영하면서도 허구의, 즉 감독의 상상 속을 표현하기도 한다. 그 공간에 대한 맥락적인 의미를 영화 '아빠의 화장실'의 '화장실'이라는 공간에 초점을 맞추어서 해석하고 궁극적으로는 디자인 스토리텔링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 PDF

고등학교 지구과학 탐구활동에서 소그룹의 상호작용 양식에 따른 반성적 탐구양식의 특징

  • Park, Mi-Ra;Jeong, Jin-U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9a
    • /
    • pp.231-244
    • /
    • 2005
  • 이 연구는 고등학교 지구과학 탐구활동에서 소그룹활동을 학생들의 대화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반성적 탐구활동이 교육과정별로 어떤 차이를 보이고 소그룹내의 상호작용특성에 따라 반성적 탐구양식의 차이가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학생들이 어떤 반성적 탐구양식을 보이며 어떻게 발달시키는지에 관한 이해를 제공하고, 수업속의 맥락은 이러한 반성적 탐구학습을 증진시키고 억압하기위해서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문제로 소그룹을 이용한 탐구활동 수업과 반성적 탐구활동수업 중 반성적 에피소드의 차이가 있는가, 소그룹내의 그룹상호작용의 특징에 따른 반성적 탐구유형의 차이는 있는가를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1학년 2개 학급을 선정 기존의 우리나라 교육과정에 의거한 탐구활동수업 4차시, 반성적 탐구교육과정 수업 4차시를 각각 실시하고 수업을 녹화 전사해서 언어행동 분석틀과 반성적 탐구의 3가지 맥락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두 교육과정 모두 도입에서 두 교육과정 모두 A-AD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전형적으로 자주 나타나며, 반성적 탐구 교육과정수업에서는 AD-SR가 주로 나오는 것으로 보아 과제활동초기에 역할 분담과 과제 활동의 전략을 세우며, 전략을 세울 때 영역개념을 이용하는 것을 안수 있었다. 우리나라 교육과정 수업에서는 반성적 탐구진술이 간단하고 계획과정이 짧으며, 주로 과제 맥락 내에서 반성적 탐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개부분에서는 두 교육과정모두 DI-DP, DI-A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나타나 자료 항목과 자료 패턴 그리고 인공물과 관련시키는 반성적 탐구가 공통적으로 나타나며 반성적 교육과정수업에서는 대체로 자료 맥락의 영역개념과 과제 맥락을 연결시키는 반성적 탐구가 잘 나타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주로 과제 맥락 내에서 반성적 탐구가 나타났다. 정리단계에서는 반성적 교육과정 수업에서는 DC-DP가 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 교육과정수업에서는 DC-DP DP-AD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나타났다. 정리활동에서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반성적 교육과정보다 자료 맥락의 영역개념을 더 자주 이용하고 다양한 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나오고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학습지의 활동이나 문제는 학생들에게 익숙하고, 자료 패턴을 가지고 행동결정으로 연결짓는 활동이 명확히 제시되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두 그룹의 상호작용 특징에 따른 반성적 탐구의 성향의 차이는 도입단계에서 그룹의 특징과 상관없이 A-AD, AD-SR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나왔으며 전개와 정리단계에서는 N그룹에서는 DP와 관련된 의미 있는 반성적 탐구가 나오는 반면 M그룹에서는 이러한 맥락의 반성적 탐구는 아주 드물게 나타나며, GN과 관련된 행동결정이 자주 보이고 있었다. 정리활동시 주로 하는 기록 활동에서 N그룹에서는 다양한 맥락에서 반성적 탐구를 하고 있는 것에 비해 비교 그룹에서는 서로 견제하고 확인하는 상호작용의 특징에서 나타나는 AD-SR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자주 나타났다. 반성적 탐구 척도 두 그룹을 비교 했을 때 CON 상호작용의 특징이 낮게 나타나는 N그룹이 양적으로 그리고 내용적으로 더 의미 있는 반성적 탐구를 했다

  • PDF

Exploring Narratives on Post-traumatic Growth of Middle-aged Women Who Are Attached to Instabilith (중년여성의 불안정 애착과 외상 후 성장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Bang, Eun-Jeong;Shin, Dong-Yeol
    •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
    • v.7 no.3
    • /
    • pp.77-83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helping middle-aged women who experienced insecure attachment during personal growth experience positive changes by re-illuminating their own growth process. During this study period, 14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August 2020 to September 2021, and the interview contents were based on the narrative research methodology to examine the meaning of participants' experiences regarding unstable attachment and post-traumatic growth in existential contexts. The text was described in terms of, relational context, life context, etc. As a result of the study, three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unstable attachment and post-traumatic growth were selected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meaning in the existential context is the desire for recognition, perfectionism, unstable family environment, how to cope with stress, the courage to face the wounds, self-acceptance and affirmation, gratitude to the people around you, and the hope of life is the meaning in the participant experience. was interpreted as Second, the meaning in the relational context was interpreted as experiences with parents, husbands, childre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religion. Third, the meaning in the life context is the lack of care, the reproduction of control, the responsibility as the eldest daughter, the precious family, and the meaning and value of life is the present experience in which the various experiences with the parents in the past affect the lives of the current participants. interpreted in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experiences of insecure attachment during childhood and the post-traumatic growth process of participants using a narrative technique, and to suggest positive alternatives to their lives.

A Case Study on Making the Meaning of a Teacher and a Student in a Graph (그래프에서 교사와 학생의 의미 구성에 대한 사례연구)

  • Song, Jung-Hwa;Lee, Chong-Hee
    • School Mathematics
    • /
    • v.9 no.3
    • /
    • pp.375-396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a mathematics teacher and a high school student make the meaning in a graph and how aspects of the interpretation of a graph are interacted during the signification process, and to suggest consider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a graph. The findings of a case study have led to conclusions as follows: All of them have a difficulty in making the meaning in a graph and construct the meaning as a nested signification model. In the process which they make the meaning, they interrelate cognitive, contextual, and affective aspects and construct interpretants. In this process, a teacher focuses on cognitive aspect, based on a qualitative approach. But a student considers contextual aspect more, based on a quantitative approach. This study suggests three consider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a grap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