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홍영숙(2017). 휴학 경험을 형성하는 지방대학 남학생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질적탐구학회. 3(1). 1-28.
|
2 |
Bowlby, J.(1973). Attachment and Loss: Separation. Vol. II. New York: Basic Books.
|
3 |
Clandinin, D. J.(2013). Engaging in narrative inquiry. Walnut Creek, CA: Left Coast Press, Inc.
|
4 |
송현(2017). 외상 후 성장 과정 및 구조적 관계 분석: 정서와 인지 과정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5 |
Cann, A., Calhoun, L. G.,Tedeschi, R, G., Kilmern, R. P., Gil-Rivas, V.,Vishnevsky, T., & Danhauer, S. (2010). The Core Beliefs Inventory : A brief measure of disruption in the assumptive, world. Anxity Stress, & Coping, 23, 19-34.
DOI
|
6 |
김형란(2021). 성인애착불안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과 자기은폐에 매개효과. 차의과학대학 일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7 |
Bowlby, J.(1980). Attachment and Loss: Loss, Sadness and Depression. Vol.III. New York: Basic Books.
|
8 |
김은영(2016). 성폭력 상담자의 대리 외상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9 |
안하얀.서영석(2011). 성인애착이 대학생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청소년상담연구, 24(1), 89-106.
DOI
|
10 |
윤정민(2019). 기혼여성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성인애착, 스트레스 대처,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간의 구조적 관계.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11 |
Millar, J. (2003). Gender, poverty and social exclusion. Social policy and society, 2(3), 181-188.
DOI
|
12 |
Hazan, C, & Shaver,P.(1987). Concetpualizing romantic love an an attchnent pross. Journal of Persomality and Socil Personality, 52(3), 511-524.
DOI
|
13 |
Havighurst, R. J. (1972). Developmental tasks and education. New York: David McKay Company.
|
14 |
Clandinin, D. J., & Connelly. F. M (2000).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San Francisco: Jossey-Bass.
|
15 |
Jung, C. G. (1954).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New York: Madison.
|
16 |
Freud, Sigmund. "The Aetiology of Hysteria." (1896). The Freud Reader. Ed. Peter gay. New York: W.W. Norton &company, 1989.
|
17 |
Tedeschi, R. G., & Calhoun, L. G. (2004).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inquiry, 15(1), 1-18.
|
18 |
Tedeschi, R. G., & Calhoun, L. G. (1996).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stress, 9(3), 455-4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