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쁨의 의미연구 - 러시아어와 한국어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Joy in Russian and Korean

  • 투고 : 2015.11.10
  • 심사 : 2015.12.09
  • 발행 : 2015.12.30

초록

본 연구를 통해 필자는 러시아어와 한국어에서 인간의 가장 원초적이고 본원적인 감정 중 하나인 "기쁨"이 어떻게 언어적으로 구현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과정에서 특히 "기쁨"이라는 개념이 러시아와 한국어에서 어떻게 기술되는지, 그리고 그러한 기술이 문화적 맥락과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러시아어와 한국어에서 "기쁨"이 가지는 의미적, 화용적 특징들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기쁨은 러시아어에서 주로 радость [기쁨]과 удовольствие [즐거움(만족)] 으로 기술되며, 전자가 보다 넓은 종교적, 정신적, 지속적, 문화적 맥락과 후자는 보다 구체적, 육체적, 순간적 맥락과 관련된다. 전자가 보다 거시적 맥락에서 의미와 투영대상을 찾는다면 후자는 보다 일상적인 맥락에서 욕망이 구체적으로 투영될 대상을 찾는다는 것이 전통적인 설명방식이었다. 하지만 오늘날 이러한 대립관계는 점차 약화되고, 기쁨의 대상이 되는 존재에 보다 초점을 맞추고, 그 존재의 실존적 관계에 보다 집중하는지 아니면 일상의 디테일에서 즉각적으로 느끼는 기쁨에 보다 초점을 맞추는지의 대립으로 전환되어 감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한국어에서 기쁨은 주로 "기쁨"과 "즐거움"이라는 두 개의 어휘로 구현되는데, 전자가 보다 정신적인 작용과 관련을 가지며, 그 유발하는 원인과 그 결과 사이의 논리적 관계에 대한 추론이 기저에 깔려있는 반면, 후자는 화자가 참여자로서 해당 상황에 개입하는 과정에서 즉각적으로 느끼는 감정과 연관된다. "기쁨"이 화자가 사전에 가졌던 기대와 계획, 예상과의 부합 혹은 충족으로 인한 흡족함에서 오는 것이라면 "즐거움"은 상황속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활동하는 화자에게서 즉각적으로 느껴지는 감정이다. 따라서 러시아어의 기쁨의 부차적인 개념 "즐거움(만족)(удовольствие)"과 한국어의 "즐거움"은 매우 중요한 의미적 자질을 공유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두 언어 모두 화자가 대상에 대하여 어떠한 태도와 입장을 취하는지에 따라 기쁨에 대한 2개의 변별적인 선택지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explains how the basic and instinctive emotion "joy" is verbally expressed in Russian and Korean. In particular, the main concern of this pater is on the cultural context with which the emotion "joy" is related and the ways in which the emotion "joy" has a wide range of uses. The semantic and pragmatic characteristics of the uses of the expression "joy"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cul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in both languages. In Russian, joy has two variants, radost' and udovol'stvie. It is very difficult to distinguish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however, the former is mainly connected with more mental, spiritual, cultural, and religious contexts, whereas the latter is mainly related with more concrete, instantaneous contexts and daily life. The former produces an impression that has a more wide, spiritual, and macroscopic attitude toward a situation, whereas the latter produces an impression that has a microscopic and instantaneous attitude toward a situation. Compared with the Russian expressions, the Korean equivalents, 기쁨 and 즐거움, have a very similar opposition like that of the Russian. The former is based on a more logical and causal relation between an anticipation or desire and the current situations, whereas the latter is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speakers in a situation and has a very instantaneous characteristic, like a udovol'stvie in Russian. Thus, it can be reasonable argued that the Russian udovol'stvie and the Korean 즐거움 share many similar semantic properties. In brief summary, in both languages there exists two distinctive variants that show a privative opposition to express the emotional concept of joy.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