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helping middle-aged women who experienced insecure attachment during personal growth experience positive changes by re-illuminating their own growth process. During this study period, 14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August 2020 to September 2021, and the interview contents were based on the narrative research methodology to examine the meaning of participants' experiences regarding unstable attachment and post-traumatic growth in existential contexts. The text was described in terms of, relational context, life context, etc. As a result of the study, three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unstable attachment and post-traumatic growth were selected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meaning in the existential context is the desire for recognition, perfectionism, unstable family environment, how to cope with stress, the courage to face the wounds, self-acceptance and affirmation, gratitude to the people around you, and the hope of life is the meaning in the participant experience. was interpreted as Second, the meaning in the relational context was interpreted as experiences with parents, husbands, childre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religion. Third, the meaning in the life context is the lack of care, the reproduction of control, the responsibility as the eldest daughter, the precious family, and the meaning and value of life is the present experience in which the various experiences with the parents in the past affect the lives of the current participants. interpreted in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experiences of insecure attachment during childhood and the post-traumatic growth process of participants using a narrative technique, and to suggest positive alternatives to their lives.
본 연구는 개인의 성장과정에서 불안정 애착을 경험한 중년여성이 자신의 성장 과정을 재조명함으로써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도록 돕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 기간은 2020년 8월부터 2021년 9월까지 총 14회기에 걸쳐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고, 면담 내용은 내러티브 연구방법론에 따라 참여자의 불안정 애착과 외상 후 성장에 관한 경험의 의미를 존재적 맥락, 관계적 맥락, 생애적 맥락 등으로 텍스트를 기술하였다. 연구결과는 불안정 애착과 외상 후 성장을 경험한 참여자 3명을 선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존재적 맥락에서의 의미는 인정 받기 위한 욕구, 완벽주의, 불안한 가정환경, 스트레스 대처방법, 상처를 마주할 용기, 자기수용 및 긍정, 주변 사람들에게 감사, 삶의 희망은 참여자 경험 속에서 의미로 해석하였다. 둘째, 관계적 맥락에서의 의미는 부모, 남편, 자녀, 대인관계, 종교와의 경험으로 해석하였다. 셋째, 생애적 맥락에서의 의미는 돌봄의 결핍, 통제의 재현, 장녀로의 책임감, 소중한 가정, 삶의 의미와 가치는 과거 부모와의 다양한 경험이 현재 참여자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현재의 경험 속에서 해석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내러티브 기법으로 참여자들의 어린 시절 불안정 애착 경험과 외상 후 성장 과정을 기술하고 그들의 삶에 긍정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