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응애

검색결과 470건 처리시간 0.026초

Multi-Tasking U-net 기반 파프리카 병해충 진단 (Multi-Tasking U-net Based Paprika Disease Diagnosis)

  • 김서정;김형석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9권1호
    • /
    • pp.16-2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Multi-Tasking U-net를 사용하여 영역 세분화 작업(Segmentation) 과 분류 작업(Classification) 이 동시에 수행되게 함으로써 파프리카 병과 충 진단을 수행하였다. 시설 농장의 파프리카에는 병의 종류가 다양하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비교적 발생빈도가 높은 흰가루병과 응애에 의한 피해, 정상 잎 3개의 클래스에 대해서만 진단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한 중추 모델로는 U-net을 사용하였다. 또, 이 모델의 Encoder와 Decoder의 최종 단을 활용하여 분류 작업과 영역 세분화 작업이 각 각 수행되게하여, U-net의 Encoder가 분류작업과 영역 세분화 작업에 공유되도록 하였다. 학습 데이터로는 정상 잎 680장, 응애에 의한 피해 잎 450장, 흰가루병 370장을 사용하였다. 테스트 데이터로는 정상 잎 130장, 응애에 의한 피해 잎 100장, 흰가루병 90장을 사용하였고, 이를 통한 테스트 결과로는 89%의 인식률을 얻었다.

구기자혹응애 (Eriophyes kuko KISHIDA) 및 그 혹(Gall)에 관한 연구. IV. 혹의 성장에 따르는 광현적(光顯的) 및 전현적(電顯的) 관찰 (Studies on Eriophyes kuko KISHIDA and its Galls. IV. Studies on the Growing Mite Gall under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s)

  • 김창효;천송중신;소인영
    • Applied Microscopy
    • /
    • 제2권1호
    • /
    • pp.17-31
    • /
    • 1972
  • 우기자혹응애 (Eriophyes kuko KISHIDA)의 기생에 의하여 구기자 나무 (Lycium Chinens MILL) 잎에 형성되는 흑 (mite gall) 의 행태적 변화를 광학현미경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광현적 관찰 : 구기자혹응애가 구기자나무의 어린잎의 뒷면 표피세포에 침입되면 먼지 표피세포가 이상비대를 하면서 혹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혹이 성장함에 따라 붕상조직과 해면상조직의 세포도 이상비대를 하게되고, 점차적으로 각 조직의 세포는 이상비대로 인한 불규칙한 형태적 변화를 일으켜 조직의 구별이 힘들게 된다. 이상비대한 혹세포의 핵은 건전세포의 핵보다 크며, 혹이 성장함에 따라서 핵의 크기도 커진다. 2. 전현적 관찰 : 혹이 성장함에 따라 혹세포의 mitochondria, golgi-apparatus. plastid 등은 퇴 화 및 붕괴되고, 특히 큰 흑의 이상비대한 혹세포에는 성상체 (star body) 와 환상 (ring form) 의 구조등이 나타난다.

  • PDF

점박이응애의 설비제정항성 발달과 교차저항성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Acaricide Resistance and Cross-Resistance in Tetranychus urticae(Acarina: Tetranychidae))

  • 김상수;이승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46-153
    • /
    • 1989
  • 정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의 감수성계통에 대하여 유기찬계 살충제인 carbophenothion, ethion과 유기소계인 dicofol, 유기주석계인 cyhexatin 및 합성 pyrethroid계인 biphenthrin등으로 단제루대도태를 실시하여 각 살충제의 저항성발달 차이와 약제상호간의 교우저항성의 유무 및 정도를 시험.조사하였다. carbophenothion과 ethion은 22세대와 24세대 도태에 서 각각 156배와 64.1배의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dicofol은 28세대 도태에서 39.7배로 biphenthrin은 24세대도태에서 13배로 화학적계통이나 동일계통내에서도 약종에 따라 저항성유발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Carbophenothion 도태계통은 도태에 관치하지 않은 ethion에 대하여 높은 수준의 교우저항성을 나타내었으나 dicofol과 biphenthrin에는 낮은 수준의 교우저항성을 나타내었고, ethion 도태계통은 carbophenothion에 대해서 고도의 교우저항성을 나타내었다. Dicofol이과 biphenthrin 도태계통들은 모두 carbophenothion과 ethion에 대해서 중도의 교우저항성을 보였으며, cyhexatin 도태계통은 ethion과 carbophenothion에 대하여 고도의 교우저항성을 나타내 었다.

  • PDF

구기자 혹응애(Eriophyes kuko KISHIDA)에 관한 생태학적 지견 (1) 그의 생태 및 생활사 (Some biological notes on Eriophyes kuko KISHIDA (1) Its biology and life history)

  • 김창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_6권
    • /
    • pp.59-63
    • /
    • 1968
  • 본 논문은 1963-1965년 사이에 구기자 혹응애의 생태에 관하여 조사 관찰한 결과의 일부를 보고한 것이다. (1) 구기자 혹응애의 기주식물은 순기자나무 까마중 및 고추 등이다. (2) 이동과 전파는 물리적인 매개체에 의하며, 풍향은 이동과 전파에 영향이 크다. (3) 1자당 산난수는 평균 $28.5\pm0.499$개이고, 란기간은 평균 $7.0\pm0.447$일이다. 유충기문은 평균 $4.33±\pm0.667$일이다. (4) 식입 후 경과일별 충영의 크기는 1일째는 평균 $290.5\pm0.3415\pm$ 이며, 25일째는 평균 $3260.5\pm0.5157\mu$이다. (5) 성충기간은 25-30일이고 식입 후 산난일은 6일 이다. (6) 연발생회수는 6-7회이며, 성충태로 충영내에서 월동하여 5월 하순에 제1회 성충이 나타난다.

  • PDF

간자와응애의 발육(發育)에 관한 연구(硏究) (Development of the Tea Red Spidermite, Tetranychus kanzawai)

  • 박상구;장영덕
    • 농업과학연구
    • /
    • 제22권1호
    • /
    • pp.49-53
    • /
    • 1995
  • 차와 딸기등 많은 밭작물에 피해(被害)가 큰 간자와응애에 대(對)한 형태(形態)와 온도별(溫度別) 발육기간(發育期間) 및 성충수명(成蟲壽命)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자와응애의 크기에 있어서 자성충(雌成蟲) 체장(體長) 및 체폭(體幅)은 0.40mm와 0.22mm이었고 웅성충(雄成蟲)은 0.31mm와 019mm로서 자성충(雌成蟲)이 현저히 컸다. 2. 온도별(溫度別) 발육기간조사(發育期間調査)에서 미숙기를 살펴보면 $16^{\circ}C$가 24.8일(日)로 가장 길었으며 $32^{\circ}C$가 6.7일(日)로 가장 짧은 것을 알 수 있었다. 3. 성충수명(成蟲壽命)은 $16^{\circ}C$, $20^{\circ}C$, $24^{\circ}C$, $28^{\circ}C$, $32^{\circ}C$에서 각각 31.5일(日), 13.4일(日), 8.4일(日), 7.8일(日), 5.8일(日)로 온도가 낮을수록 수명이 길었다.

  • PDF

가지에서 온도별 점박이응애 발육특성 및 생명표 통계량 (Effect of Temperature on Development and Life Table Parameters of Tetranychus urticae Koch (Acari: Tetranychide) Reared on Eggplants)

  • 김주;이상구;김정만;권영립;김태흥;김지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63-168
    • /
    • 2008
  • 가지잎에서 점박이응애의 온도에 따른 발육 특성을 조사한 결과 17, 22, 27, 32, $37^{\circ}C$에서 점박이응애의 사충률은 $27^{\circ}C$를 기준으로 온도가 올라가거나 내려감에 따라 증가하였고, 부화율은 $17^{\circ}C$$37^{\circ}C$에서 낮았다. 발육기간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37^{\circ}C$에서 5.3일로 가장 짧고, $17^{\circ}C$에서 25.8일로 가장 길었다. 온도와 발육률의 관계를 직선회귀에 의해 분석한 결과 $r^2$값이 0.88 이상으로 본 실험에서 수행한 온도 $17{\sim}37^{\circ}C$범위에서 점박이응애의 발육은 직선회귀에 부합되었다. 발육영점온도는 전체약충기간이 암컷 $12.5^{\circ}C$, 수컷 $12.8^{\circ}C$이었고, 전체약충기간의 유효적산온도는 암컷 80.5,수컷 74.7일도였다. 성충의 수명과 산란기간은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짧아졌고, 암수의 비교에 있어서 암컷이 수컷에 비해 수명이 길었다. 온도에 따른 산란수는 $27^{\circ}C$에서 141.0개로 가장 많았으며, $37^{\circ}C$에서 78.0개로 가장 적어 온도에 따른 변이가 컸다. 온도에 따른 부화율과 암컷의 비율도 $27^{\circ}C$를 정점으로 온도가 높아지거나 낮아지면 감소하였다. 점박이응애의 $R_o$ (순증가율)는 온도가 $27^{\circ}C$를 정점으로 온도가 높아지거나 낮아지면 감소하였고, $r_m$ (내적자연증가율)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같이 높아져 $37^{\circ}C$에서 최고치인 0.5652였으며, ${\lambda}$ (기간증가율)도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높아졌다. DT (배수기간)와 T (평균세대기간)는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감소하였다.

참외 시설 재배 시 고온에서의 환기 처리에 의한 상대습도 상승과 흰가루병, 담배가루이, 응애 방제 및 개화 억제 (Ventilation at Supra-Optimal Temperature Leading High Relative Humidity Controls Powdery Mildew, Silverleaf Whitefly, Mite and Inhibits the Flowering of Korean Melon in a Greenhouse Cultivation)

  • 서태철;김진현;김승유;조명환;최만권;류희룡;신현호;이충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3-51
    • /
    • 2022
  • 본 연구는 참외 재배 지에서 흰가루병, 담배가루이 및 두점박이응애가 동시에 발생하였을 때 45, 40, 35℃(대조구)의 온도에서 측창으로 환기 처리 시, 온실 내 온·습도의 변화, 병충해 발생과 잎말림, 그리고 개화조절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였다. 3월 3일 '히든파워' 대목에 접붙여진 '알찬꿀' 참외를 40cm 간격으로 격리상에 심었고, 위에 언급한 병해충이 모든 처리구에서 발생한 6월 18일부터 7월 13일까지 처리하였다. 온실의 온도는 맑은 날에는 설정 온도 지점까지 증가되었고, 45℃ 환기 처리에서 고온 고습이 약 9시간 동안 유지되었다. 주간 최고 기온과 최저 상대습도 차이는 45℃ 환기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환기 처리 11일 후에는 흰가루병과 두점박이응애 피해가 45℃ 환기 처리에서 거의 회복되었지만 40℃와 35℃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처리 14일 후, 담배가루이와 두점박이 응애 밀도는 45℃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흰가루병 증상은 유의하게 감소하지는 않았다. 잎말림은 고온에서 유발되었으나 45℃에서도 심하지 않았다. 처리 26일 후, 새로 나온 줄기의 15 마디의 개화수를 조사한 결과, 45℃에서 암꽃이 전혀 나오지 않았고 수꽃은 1.2개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고온기에 45℃의 고온에서 2-3주간 환기 처리는 온실 내부의 고온 고습을 유도하여 흰가루병, 담배가루이, 두점박이응애를 통제하고, 개화를 억제하여 참외의 영양 생장을 회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되었다.

Etoxazole 저항성 점박이응애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서열 분석 (Analysis of Mitochondrial Gene Sequence in Etoxazole Resistant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 박상은;구현나;윤창만;최장전;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4-61
    • /
    • 2012
  • 점박이응애는 전 세계적으로 농업과 원예 분야에 경제적 손실을 일으키는 중요한 해충으로 많은 살비제에 대해 저항성이 발달하여 방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00년 8월 충남 부여의 장미 재배지에서 채집한 점박이응애가 etoxazole에 대해 3,700배의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이 집단을 실내에서 11년 동안 etoxazole로 500회 이상 도태하여 5,000,000배 이상의 저항성 계통을 얻었다. Etoxazole 저항성은 모계유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들 etoxazole 저항성이 모계유전을 하는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내 점 돌연변이와 관련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Etoxazole 저항성 계통과 감수성 계통의 CYTB, COX1, COX2, COX3, ND1, ND2, ND3, ND4, ND5, 그리고 ND6의 유전자 서열을 비교한 결과 저항성 계통에서의 점 돌연변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벚나무응애의 생태적 특성 및 약제방제효과 (The Ecology Tetranychus viennensis Zacher and its Chemical Control Effects)

  • 최경희;권용정;이순원;류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11-117
    • /
    • 1997
  • 벚나무응애의 기초적인 생활사와 발생실태를 조사하고, 과원에서의 벚나무응애 발생유무와 각종 살비제에 대한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벚나무응애는 벚나무에서 4월 중순부터 11월 중순까지 발생하였으며, 6월 발생최성기를 나타내었다. 조사원 20개구의 관행복숭아원에서는 발생과원율이 35%로 나타났으나, 5개 지역 25개구의 관행사과원에서는 벚나무응애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벚나무에서 월동처로의 이동시기는 10월 중순부터 11월 상순까지였고 활동개시기는 4월 상순이었다. 월동기간 동안 사충율은 약 54.9%정도였다. 각 처리온도구 16, 19, 22, $25^{\circ}C$에서의 난기간은 각각 14.3, 9.2, 6.8, 4.0일이어고, 유충기간은 6.8, 5.0, 2.8, 2.3일, 전약충기간은 6.5, 4.2, 2.6, 2.0, 후약충기간은 6.9, 4.7, 3.3, 2.3일로서 고온일수록 발육기간인 단축되었다. 암컷성충의 수명은 갹 온도별로 각 67.7, 60.7, 46.4, 34.0일이었으며, 산란수는 각 21.2, 44.3, 54.4, 64.7개 였다. 발육영점과 유효적산온도는 난이 $12.41^{\circ}C$, 56,88일도, 유충은 $12.30^{\circ}C$, 28.76일도 전약충이 $12.33^{\circ}C$, 25.59일도, 그리고 후약충이 12.37$^{\circ}C$, 29.3일도였다. 실내에서 성충에 대한 살비제별 방제효과 시험에서 아씨틴, 피리다벤, 프로지, 테부펜피라드, 펜피록시메이트 약제 처리구는 97.6%~100%로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치아스과 비스펜은 3.6%, 14.4%로 저조하였다. 난에 대한 방제시험에서는 무처리의 부화율 97.7%에 비해 방제가가 아씨틴이 84.1%로 다소 낮았고, 그외는 모두 98%이상으로 높았다.

  • PDF

농업해충 (복숭아혹진딧물, 배추좀나방 및 점박이응애)에 대한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준비된 고수와 계피 정유성분의 살충 효과 (Insecticidal activity of coriander and cinnamon oils prepared by various methods against three species of agricultural pests (Myzus persicae, Teyranychus urticae and Plutella xylostella))

  • 박부용;이명지;이상구;이상범;정인홍;박세근;전예진;이회선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2호
    • /
    • pp.137-140
    • /
    • 2017
  • 수증기 증류, 헥산 및 초임계 추출법에 의하여 추출된 고수 및 계피 정유성분을 통해 복숭아혹진딧물, 점박이응애 및 배추좀나방에 대한 살충효과를 검정하였다. 고수의 수증기 증류, 헥산 및 초임계 추출 정유성분의 살충 및 살비활성 결과, 수증기 증류 추출물은 복숭아혹진딧물 성충에 대해 $30.59{\mu}g/cm^2$ 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계피의 수증기 증류, 헥산 및 초임계 추출법 정유성분의 살충 및 살비활성 결과, 수증기 증류 및 헥산 추출물은 점박이응애 성충에 대해 각각 5.96, $4.64{\mu}g/cm^2$ 의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초임계 추출에서 복숭아혹진딧물 성충에 대해 $6.50{\mu}g/cm^2$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고수와 계피의 수증기 증류, 헥산 및 초임계 추출 정유성분을 이용한 친환경 방제 가능성을 보여준다.